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5]김미욱
read 1784 vote 0 2019.05.25 (14:42:54)

인류라는 단위가 출현한 이후 인류는 자연의 소통원리를 인류 질서의 근간으로 뇌에 세팅해온 바 그 자연의 질서를 인류의 시스템으로 환원하는 데 있어 언어만큼 강력한 도구는 없다고 생각한다.

구조론은 사고모형과 개념배열에 있어 어떤 학문과도 짝짓기가 가능하다는 보편성으로 인해 가히 인류의 '교과서'라 칭할 만하다. 데카르트가 이름 짓지 못하고 비트겐슈타인이 해내지 못한 일이다.

요즘 구조론에서 강조하는 '통제가능성'의 개념은 구조론의 맥락에서 볼 때 새로운 인류의 미래를 설계할 이상적 용어로 손색이 없다. 트럼프도 시진핑도 빠져나갈 구멍이 없다. 언어부터 통제하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12 글을 다른곳으로 가져가도 되는지 여쭙습니다.() 2 아란도 2008-01-08 5815
411 인간이 추구해야할 것이 완전성인가요? 56 골목대장 2016-01-14 5815
410 안녕하세요 2 나그네 2007-02-19 5816
409 김지하, 진중권, 변희재 14 노매드 2013-01-11 5837
408 반갑습니다. 패칸 2006-05-26 5845
407 푸리에 급수 image 11 오리 2019-08-04 5846
406 나도 뱀직구 image 냥모 2013-09-21 5854
405 동북아 지질지도 image 1 수원나그네 2014-10-20 5859
404 [천안함 침몰] 사고원인의 연역적 접근 image 16 양을 쫓는 모험 2010-04-25 5861
403 힘있는 글쓰기와 글나눔에 항상 감사... 1 맑음과 향기 2007-05-29 5863
402 인문고전 독서법 리뷰 - 리딩으로 리드하라 image 2 아란도 2011-01-03 5880
401 미디어법 강행하면 5 오리 2009-07-21 5885
400 고도로 집중하면 머리가 터진다?? 3 鄭敬和 2010-10-29 5897
399 진재난민 가설주택 image 1 김동렬 2011-04-07 5898
398 좇아 왔습니다. 1 갈대꽃 2006-05-24 5899
397 한국인의 뿌리는? image 김동렬 2009-02-24 5908
396 안녕하세요. 2 이른새벽 2006-08-01 5913
395 어른이날, FREE HUGS 체험기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5-06 5924
394 함박눈 같은 옥매화 구경하세요... image 8 안단테 2009-04-15 5925
393 1% 나무 2006-06-22 5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