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108 vote 0 2019.05.14 (15:43:51)

555555.jpg

      
   

    입자라는 개념은 황당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말이 안 된다. 언어적으로 불성립이다. 궁극적으로는 장이 있고 장은 방향을 가진다. 방향이 특정하게 꼬이면 입자가 된다. 세상은 대칭이다. 대칭을 만드는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초끈의 진동은 웃긴 표현이고 방향전환으로 보는게 자연스럽다.


    전자의 위치가 없어야 하는 이유는 계속 방향을 바꾸기 때문이다. 장은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므로 장에 속하는 어느 위치든 거리는 같다. 영화 스크린에서 주인공 춘향과 몽룡의 거리는 3미터지만 그림자에 불과하고 원본인 디지털 필름에는 거리가 0이다. 즉 장은 거리의 간격을 인정하지 않아야 한다.


    전자구름이 확률로 표현되는 이유는 방향을 계속 바꾸고 있으므로 방향이 바뀌면 없거나 있기 때문이다. 가운데서 포착될 확률이 높다. 일반인들은 경험적 직관을 따른다. 문제는 경험한 것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나오는 모노리스는 사실 설득력이 없다.


    부족민은 움직이지 않는 것에 반응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은 수학적 직관을 따른다. 보어는 그런 직관을 배제한다. 아인슈타인은 머리 속에 모형을 만들어놓고 있기 때문에 양자역학을 반대하는 것이다. 그 모형은 틀린 것일 수 있다. 더 높은 의사결정단위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모형을 찾을 수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5.16 (03:11:36)

" 더 높은 의사결정단위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모형을 찾을 수 있다."

-http://gujoron.com/xe/1089055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06:28:08)

문제는 경험한 것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06:30:03)

시간이 되신다면 모노리스에 대해 조금만 살을 붙여주셨으면 합니다. 영화를 아직 보지 않아서 유추해내기 어렵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5.16 (10:18:51)

영화를 안 보면 별로 의미가 없지요.

스포일러이긴 한데 하여간 외계인이 인류의 진화를 촉발할 의도로

돌기둥을 하나 세워놨다는 거.


소설판에 의하면 각변의 비율이 1:4:9인데, 이건 1, 2, 3의 제곱수이다. 자연적인 확률로는 나오기 힘들며, 스스로 인공물임을 주장하는 사각형 덩어리. 다만 영화에서는 비주얼적인 문제로 비율을 다르게 만들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11:07:48)

감사합니다.
작정하고 봐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64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6503
4501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875
4500 이해하지 말고 반응하라 image 2 김동렬 2012-01-22 11459
4499 콤플렉스형 인간 완전성형 인간 image 10 김동렬 2012-01-23 12464
4498 상대어를 버리고 절대어를 훈련하라. image 6 김동렬 2012-01-26 13200
4497 완전한 승리를 얻는 방법 image 4 김동렬 2012-01-31 11315
4496 스티브 잡스의 성공원인 image 2 김동렬 2012-02-01 12566
4495 완전한 전쟁은 가능한가? image 김동렬 2012-02-02 10970
4494 구조론으로 본 한의학 image 12 김동렬 2012-02-02 11996
4493 인생의 정답 image 6 김동렬 2012-02-05 16700
4492 바른생활 필요없다 image 7 김동렬 2012-02-06 13279
4491 세상을 꿰는 첫 단추 image 1 김동렬 2012-02-08 11576
4490 이기는 법 image 2 김동렬 2012-02-12 12257
4489 신당을 창당한다면 image 61 김동렬 2012-02-13 29207
4488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2 김동렬 2012-02-14 10461
4487 상호작용이 진화의 원인이라는 증거 image 김동렬 2012-02-15 12595
4486 질의 마인드를 훈련하라 image 6 김동렬 2012-02-15 10865
4485 절대어를 훈련하라 image 7 김동렬 2012-02-16 11894
4484 결따라 가라 image 4 김동렬 2012-02-20 11234
4483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639
4482 플러스는 없다 image 6 김동렬 2012-02-22 1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