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287 vote 0 2019.04.22 (19:42:28)

    제 1 원리

   

    세상이 호박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말하면 당신은 믿지 않을 것이다. 호박은 작다.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담을 수 없다. 제 1 원리라 하겠다. 논리의 최종보스가 있다. 큰 것이 작은 것을 이긴다. 거기에 연동되어 모든 것이 결정된다. 모든 것을 해명하려면 모든 것을 아우르는 가장 큰 그릇을 들고나와야 한다.


    그것은 질서이며 질서는 큰 것과 작은 것 혹은 이기는 것과 지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2에는 1이 들어갈 수 있지만 1에는 2가 들어갈 수 없다. 2는 큰 것이고 이기는 것이며 1은 작은 것이고 지는 것이다. 어떤 것이 큰 것이고 이기는 것인가? 호박이든 수박이든 참외든 곤란하다. 감자나 토마토라도 거절된다.


    어떤 것이든 곤란하다. 어떤 것은 인간의 인식과 대칭된 것이기 때문이다. 인식은 존재와 대칭된다. 인간의 인식이 있기 전에 자연의 존재가 있었다. 인간은 자연의 존재를 가리켜 지목한다. 그것은 대하는 것이니 About이다. About은 a+by+out인데 A는 턱으로 가리키는 보디사인이다. By는 바로, out는 사물의 끝단이다.


    밖by+out은 안이 끝나는 지점이다. A가 끝나는 지점에서 B가 시작된다. 이 안에 구조가 있다. 그것은 연결이다. 자연과 인간은 그렇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추론할 수 있다. 추론의 최종보스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가장 큰 것이어야 한다. 동시에 이기는 것이어야 한다. 가장 큰 것은 인간과 자연의 대칭 그 자체다.


    거기서 얻어지는 것은 구조다. 수학이 사건의 결과측을 본다면 구조는 원인측을 본다. 수학이 나타난 자연의 질서를 규명한다면 구조론은 그 질서가 조직되는 과정을 해명한다. 구조론은 수학보다 크고 수학을 이기는 것이다. 최초에 에너지의 활동이 있었다. 에너지는 활동하므로 서로 충돌한다. 충돌하면 엮인다.


    엮이면 보다 효율적으로 되고 효율적으로 되면 이긴다. 이기면 의사결정할 수 있다. 충돌했을 때 의사결정이 시작되는 시작점이 있어야 한다. 큰 것이 이기는 이유는 시작점이 큰 것에 있기 때문이다. 2와 1이 충돌한다면 시작점은 1.5다. 1.5는 2 안에 있다. 그러므로 2가 1을 이긴다. 손흥민과 축구공이 충돌한다.


    변화의 시작점은 손흥민의 몸 안에 있다. 조금이라도 큰 쪽에서 변화는 시작된다. 축구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지정하는 변화의 시작점은 손흥민의 몸 안에 있다. 거인과 난쟁이가 충돌한다면 변화의 시작점은 거인에 있고 어른과 아기가 충돌한다면 변화의 시작점은 어른에 있다. 대칭의 축이 큰 쪽에 속해 있다.


    세상이 호박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말하면 당신은 웃을 것이다. 감자라면 어떻겠는가? 역시 거절될 것이다. 호박이나 감자는 작기 때문이다. 세상이 원자로 만들어져 있다고 말하면? 세상이 숫자로 만들어져 있다고 말하면? 원자가 가장 큰 개념은 아니다. 집은 벽돌로 짓는다. 벽돌이 가장 원초적이다? 아니다. 


    벽돌을 결합시키는 모르타르가 있다. 돌집이라면 중력이다. 원자의 결합력이 원자보다 큰 개념이다. 숫자는 가장 큰 개념이 아니다. 숫자는 사건의 원인측이 아닌 결과측이다. 관측자가 있기 때문이다. 수학은 관측자인 인간의 인식 맞은편에서 대칭된 존재의 세계에 해당한다. 사건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이다.


    가장 큰 것은 인식과 존재의 엮임이다. 구조다. 물질보다 에너지가 크고 수학보다 구조론이 크다. 사건은 사물보다 크다. 사물이 벽돌을 의미한다면 사건은 그 벽돌들의 결합력까지 포괄한다. 인간은 인간보다 크다. 작은 인간은 개인이고 큰 인간은 사회다. 작은 인간은 돈과 행복을 탐하고 큰 인간은 권력을 탐한다.


    오판하는 이유는 작은 인간을 보고 큰 인간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개인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개인이라는 벽돌과 사회성이라는 결합력으로 존재한다. 흐르는 물은 고인 물보다 크다. 에너지가 크다. 산 것은 죽은 것보다 크다. 더운 음식은 식은 음식보다 크다. 언제라도 큰 것에서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4.23 (04:06:22)

"가장 큰 것은 인식과 존재의 엮임이다. 구조다."

http://gujoron.com/xe/108287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13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905
4463 선악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7-22 12579
4462 조직의 탄생 image 김동렬 2017-09-18 12574
4461 스티브 잡스의 성공원인 image 2 김동렬 2012-02-01 12567
4460 김두수님 글을 읽고 김동렬 2005-04-18 12566
4459 유시민의 국민정당이 성공하려면 김동렬 2002-09-24 12564
4458 서태지-노무현-황우석 김동렬 2005-12-12 12557
4457 벤처, 어떻게 할 것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0 12556
4456 통제가능성이 중요하다 image 2 김동렬 2017-06-29 12555
4455 당신도 직관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12-16 12554
4454 이물질이 특이점을 차지하기 image 2 김동렬 2013-10-28 12554
4453 스님들의 방법 image 김동렬 2018-03-07 12550
4452 이보다 쉬울 수 없다 image 김동렬 2017-01-16 12549
4451 구조론 나머지 부분 김동렬 2007-10-20 12548
4450 Re..이회창이 된다면 한가지 분명한 것은.. 김동렬 2002-09-27 12544
4449 빠른 길은 직선이다. image 김동렬 2017-04-06 12541
4448 복지 이야기 조금 12 김동렬 2011-01-25 12539
4447 ( ) 하는 그것이 ( )다. image 김동렬 2017-05-30 12538
4446 노동은 과연 신성한 것인가?(수정) 김동렬 2007-05-28 12538
4445 성공하는 작품의 공식 image 5 김동렬 2012-01-11 12537
4444 이길 마음이 있어야 이긴다 image 2 김동렬 2017-12-28 12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