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198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03
593 지난 정모 준비 메모 담 |/_ 2013-04-24 3395
592 냥모님의 글 퍼옴 image 3 김동렬 2013-04-23 3998
591 의견을 말해보시오. image 6 김동렬 2013-04-22 3946
590 감기교육 - 제민칼럼 4 ahmoo 2013-04-18 4045
589 페이스북에서 퍼온 역겨운 글 1 김동렬 2013-04-18 4050
588 이현세의 헛소리 비판 17 김동렬 2013-04-09 12234
587 유명한 UFO 사진 image 5 김동렬 2013-04-04 5430
586 공간을 보다. image 아제 2013-04-04 3593
585 태양열을 이용한 스털링 엔진 image 1 김동렬 2013-04-03 11225
584 아래에 추가 image 5 김동렬 2013-04-03 3981
583 좆의 어원 image 8 김동렬 2013-04-01 14913
582 남북전쟁이 일어난 이유 image 4 김동렬 2013-03-28 9831
581 노동은 박멸된다 담 |/_ 2013-03-28 3787
580 성 노동자 어떻게 바라볼까? 7 김동렬 2013-03-25 6184
579 역설은 없다. 담 |/_ 2013-03-21 3365
578 잠재적 전쟁상태 현대의 종교 눈내리는 마을 2013-03-21 3605
577 입체적 사고의 문제 7 김동렬 2013-03-18 5562
576 피라미드는 삼각형인가? image 냥모 2013-03-18 6093
575 개체무죄 집단유죄 1 담 |/_ 2013-03-14 3322
574 문제 - 해명해 보시오. 15 김동렬 2013-03-12 4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