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111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58
1730 성립의 조건은 상호이다. 1 현강 2020-08-04 1208
1729 정은 동으로부터 연출된다. 1 현강 2020-08-03 1307
1728 처음은 결합이다 13 현강 2020-08-02 1736
1727 량의 되먹임 현강 2020-08-01 1322
1726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30 1225
1725 거주비용 관련:부동산정책 2 약속 2020-07-29 1281
1724 핵융합 이터 설계 아나키(÷) 2020-07-28 1386
1723 다섯가지 집합 image 다음 2020-07-28 1370
1722 아무님 인터뷰 진행 9 mowl 2020-07-27 1837
1721 입자도 관계이다 현강 2020-07-27 1342
1720 라인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현강 2020-07-26 1253
1719 진리에 대한 주저리 1 다음 2020-07-26 1195
1718 다 같은 라인이 아니다 현강 2020-07-25 1224
1717 그림 공부 image 현강 2020-07-24 1484
1716 과거, 미래, 우리들의 사정 5 현강 2020-07-23 1433
1715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23 1146
1714 타자성에 관하여 현강 2020-07-23 1271
1713 그린벨트해제관련 1 약속 2020-07-19 1500
1712 가장 큰 피해자는 세입자 3 약속 2020-07-17 1489
1711 원인과 결과 약속 2020-07-17 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