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98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260
1935 기독교란 대체 무엇인가? 3 오세 2009-11-07 6548
1934 이것이 거북선이다. image 김동렬 2015-10-19 6547
1933 구조론 심리학3. 남자들이여, 치마를 입어라! -오세 image 관리자* 2012-10-21 6545
1932 仁流 image 덴마크달마 2023-05-10 6542
1931 ChatGPT의 훈련 방법 image chow 2023-03-24 6507
1930 生의 모델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02 6501
1929 유대인이 창의적인 이유 1 김동렬 2013-11-01 6495
1928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5-10 6490
1927 대학에 적응 못하는 아들문제 image 11 김동렬 2014-05-06 6486
1926 한옥 짓는 순서 2 김동렬 2012-05-07 6484
1925 하도와 낙서 image 3 김동렬 2015-07-14 6483
1924 질문 - 부조리란 무엇인가? image 11 김동렬 2013-01-28 6482
1923 지하철 시 감상 image 9 sus4 2014-02-19 6475
1922 아이패드와 eBook 혁명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1-31 6458
1921 핑크 플라밍고식 건축이 문제 image 김동렬 2015-08-03 6455
1920 좋은 일. 3 아제 2010-07-19 6448
1919 소비의 격 - 구조로 본 소비의 다섯 수준 3 오세 2010-10-01 6442
1918 선거의 구조 ░담 2010-04-22 6427
1917 질 입자 운동 량 찾기 image 2 dallimz 2009-01-06 6408
1916 류현진과 정현욱의 차이 3 눈내리는 마을 2009-03-18 6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