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96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1974
2085 [re]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1 김동렬 2006-05-17 9174
2084 류시화가 가짜인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3-12-09 9162
2083 강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image 7 양을 쫓는 모험 2010-05-11 9149
2082 한 해가 저문다, 음악이나 듣자 image 11 ahmoo 2011-12-21 9125
2081 거짓과 진실의 작동원리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4-21 9053
2080 괴목 테이블은 곤란 image 12 김동렬 2015-08-04 9019
2079 조선의 젖가슴 image 4 김동렬 2015-01-12 9010
2078 화투의 밸런스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27 8991
2077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8953
2076 부(富)의 비교 -구조론적 관점- 5 오세 2010-09-10 8937
2075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8906
2074 동렬님께... 3 kkh 2006-01-24 8888
2073 올해 북극 빙하는 줄었나 늘었나? image 김동렬 2014-10-20 8884
2072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779
2071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770
2070 먼 미래에 백인이 멸종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image 5 가혹한너 2009-01-31 8746
2069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730
2068 아해 오감도 이상 image 1 김동렬 2014-04-28 8694
2067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691
2066 마루치 아라치의 기원 2 김동렬 2011-02-14 8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