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192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84
2133 교육은 진보하되 퇴보하지 않는다 1 이상우 2022-05-27 946
2132 목요 정기 온 오프라인 모임 image 김동렬 2022-04-27 953
2131 가속 진화의 이유 외 chow 2022-06-08 956
2130 탈냉전의 청구서 dksnow 2022-06-08 967
2129 목요 정기모임 공지 image 김동렬 2022-04-20 972
2128 달콤한 인생의 역설 3 chow 2024-02-24 977
2127 정모 다음주로 연기합니다. 1 김동렬 2022-05-26 983
2126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공지 image 2 김동렬 2022-06-16 987
2125 인간은 권력하지 않는다 chow 2022-06-03 999
2124 인간과 알파고, 까마귀 chow 2022-06-06 999
2123 목요 정기 온 오프 모임[시간 당김] image 2 김동렬 2022-05-04 1007
2122 서울 서울 하지만 dksnow 2022-05-01 1008
2121 버니어캘리퍼스 image chow 2022-06-08 1009
2120 추가정보를 질문하고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하는 인공지능 chowchow 2022-05-13 1010
2119 짚신벌레가 번식하는 이유 chow 2022-05-24 1025
2118 왼손잡이와 정규분포 chow 2022-05-24 1031
2117 기술에 대해 정확히 말하기 dksnow 2023-01-16 1048
2116 역설에 따른 노래 이전의 발성에 관한 이야기 SimplyRed 2022-06-16 1054
2115 유전설과 환경설 chowchow 2022-05-17 1059
2114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역할 (환빠는 알아서 꺼져주길) dksnow 2022-06-08 1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