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3일 "지난해 12대 주요 경제지표가 박근혜 정부 때보다 개선됐고 1인당 국민소득은 3만1496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인구 5000만명 이상 규모를 가진 국가 중에서 미국·독일·일본 등에 이어 세계 7번째로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국가의 반열에 올랐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경제가 전례없이 위기라는 보도가 연일 계속되는 가운데 이같은 정보는 우리를 곤혹스럽게 한다. 경제 위기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당당히 세계 열강의 반열에 진입하고 있다. 물론 선진국이 되는 것이 반드시 다 좋은 것은 아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우리는 힘차게 달리던 젊은 시기를 지나 서서히 소멸하는 단계로 접어든 것일 수도 있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서 보여주는 그런 열기로 가득 찬 시대는 아득한 기억으로만 남았다. 젊은이들은 좋은 직장, 결혼, 육아, 집 장만과 같이 기성 세대들이 큰 의미를 부여하는 삶의 목표를 자신의 인생 밖으로 하나 둘 밀어내고 있다. 이들은 결핍이 없고, 그래서 애써 달성해야 하는 목표도 없어진 것이다. 


스티브 잡스의 스탠포드대 연설 중 '항상 갈망하고 우직하게 나가라(stay hungry, stay foolish)'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숫타니파타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경구를 연상시키는 말이다. '헝그리정신'이라는 말에도 잡스나 숫타니파타의 진실 한 조각이 담겼다. 다시 말해 결핍이 없으면 동력도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외로워야 하고 배 곯아야 하는가. 그러나 어쩌랴 우리는 억지로 배곯을 수도 없으며, 조금만 고개를 돌려보면 인터넷 동호회에 게임, 사회관계망서비스 등 사회적 관계도 풍성하게 펼쳐져 있다. 어느새 외로울 수도 배곯을 일도 없어진 나라가 되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사람들이 아이를 낳으려고 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달려갈 생각도 옅어졌다.


우리가 세계사에 유래 없을 정도의 성취를 이루는 동안 기성세대와 이 사회의 새로운 동력이 될 젊은 세대의 경험이 극명하게 단절됐다. 외롭고 배곯아봐야 한다는 말은 자칫 젊은 세대에게는 고루한 잔소리로만 들릴 뿐이다. 그럼에도 젊은 세대에게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상대적 박탈감은 커졌고, 사회적 지위가 모호해져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진지하게 삶과 성공에 대해 질문해야 한다. 경쟁을 통해서만 달성되는 성취는 식상하고, 행복과 같이 개인주의적 만족으로도 에너지는 발전되지 않는다. 모든 존재하는 것은 움직이고, 움직여야 존재로서 가치를 가진다. 우리가 주워 섬기는 행복이나 경쟁적 성취는 '움직이는 존재'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지 못하다. 화가는 쉼없이 그릴 때 완전하고 달리기 선수는 트랙을 질주할 때 완전하다. 그림을 팔고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것은 잘 움직여온 전체 과정의 한 단면일 뿐이다. 


완전함으로부터 존엄과 성공과 행복이 달려 나온다. 우리가 바른 방향을 잡고 그 방향으로 꾸준히 움직여갈 때 어떤 특정한 사회적 지점과 만나게 되고 그 위치에너지로부터 우리 삶이 온전해진다. 아웃사이더나 인사이더 어느 한쪽의 포지션에 머물지 않아야 한다. 더 정확히는 아웃사이더의 위치에서 인사이더(사회 주류)를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바로 그 방향에서 우리 삶을 온전하게 하는 위치에너지가 나온다.


멈추는 순간 삶은 빛을 잃는다. 다시 스티브 잡스의 'stay hungry, stay foolish'를 곱씹어보면 'hungry'는 굶주림과 결핍, 즉 변방이나 아웃사이더의 시각을 견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지 아웃사이더로 머물러서는 곤란하고 사회와 역사의 중심을 노려봐야 갈망이 생기고 그 갈망이 인간을 움직이게 한다. 


당장이라도 중심으로 치고 들어갈 것 같은 갈망이 서린 눈빛을 가져야 한다. 행복과 성취는 그 에너지 낙차의 흐름에 달려나오는 열매일 뿐이다. 행복과 성취를 추구할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서있는 지점을 인식하고 자신이 바라보는 방향을 이해해야 한다. 중심을 노려보는 아웃사이더의 눈빛을 잃지 말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9.01.16 (18:53:59)

명문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수피아

2019.01.16 (22:42:17)

"멈추는 순간 삶은 빛을 잃는다" -아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1.17 (03:41:18)

구조론의 정수를 보통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로 제대로 풀어주시는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31
1966 개구리 소년 흉기는? image 10 김동렬 2022-06-10 1420
1965 확실성의 구조론과 불확실성의 엔트로피 image chow 2022-06-09 1295
1964 가속 진화의 이유 외 chow 2022-06-08 915
1963 버니어캘리퍼스 image chow 2022-06-08 970
1962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역할 (환빠는 알아서 꺼져주길) dksnow 2022-06-08 1027
1961 탈냉전의 청구서 dksnow 2022-06-08 931
1960 인간과 알파고, 까마귀 chow 2022-06-06 957
1959 인간은 권력하지 않는다 chow 2022-06-03 958
1958 선거 후기 1 레인3 2022-06-02 1124
1957 목요 격주 온오프 모임 image 김동렬 2022-06-02 880
1956 곡성과 라쇼몽, 아킬레스와 거북이, 상대성이론 chow 2022-05-31 1110
1955 다이아몬드는 왜 가치가 있는가? chow 2022-05-29 1075
1954 움직이면 시간이 천천히 간다? chow 2022-05-28 1128
1953 삼성과 남한 dksnow 2022-05-27 1046
1952 교육은 진보하되 퇴보하지 않는다 1 이상우 2022-05-27 895
1951 정모 다음주로 연기합니다. 1 김동렬 2022-05-26 939
1950 짚신벌레가 번식하는 이유 chow 2022-05-24 989
1949 왼손잡이와 정규분포 chow 2022-05-24 992
1948 손잡이의 원리 2 chowchow 2022-05-20 1105
1947 목요 정기 온 오프 모임 image 김동렬 2022-05-19 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