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read 1817 vote 0 2018.09.09 (06:54:18)

올해초에 땅값의 원리에 대해 쓴 글을 소개한다.

http://gujoron.com/xe/929837


땅값의 본질은 한마디로 '미래가치의 현재화'다.

미실현된 기대가치를 지금 시점의 돈으로 바꾸는 게임이다.

주식이나 선물과 비슷하게 미실현가치를 다루긴 하지만 차이가 있다.

주식이 투자를 유도하는 기능이 있는 반면, 

땅은 그렇지 못하고 미래가치를 앞당겨서 소비해버리는 경제왜곡의 장치로 작동하기 쉽다.


미래가치가 현재화되는 수단은 이자율이고 할인율이다.

소위 은행 '나와바리'다.

그동안 전체적으로 땅값집값 오른 것은 경제성장도 있지만, 수십년에 걸쳐 꾸준히 금리가 내린 것이, 즉 할인율이 내린 것이 주된 원인이다.


요즘 미국이 기준금리 올린다는 얘기가 나돌던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9/07/0200000000AKR20180907166551072.HTML

한은도 이를 뒤따른다면 땅값집값 저절로 내려간다. '미실현 기대가치'도 내려가기 때문이다.

금리는 가계부채에 직결된다. 대출받아 집 산 사람들은 이중으로 고통이다. 

하지만 은행은 이래도 벌고 저래도 번다. 은행 폭리도 손봐야 한다. https://mnews.joins.com/amparticle/22079153


보유세는 금리를 건드리지 않고 미래가치의 현재화를 다스리는 수단이다.

기술적으로 보유세(종부세) 올리고 거래세(양도세 취득세) 낮추면 공급물량도 많아진다.


'대출받아 겨우 내 살 집 마련한' 계층을 보호하면서도 

가진 자에게 '자랑스러운' 납세의 기회를 줄 수 있는 수단이다.


특히 '미래가치'를 중시하는 영역인 교육부문의 재정에 기여할 수 있다.

땅을 통해 미리 얻은 '미래가치'를 교육이라는 '미래가치'에 미리 투자하니 안성맞춤이 아닌가?

보유세는 교육재정에 기여할 정도로 충분히 거둬야 한다.


이런 흐름이라면 납세자에게 명예도 줄 수 있다.

명예도 주고 표도 얻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9.09 (19:54:02)

어떻게 보면 남과 북이 토지문제를 놓고 지구촌의 큰 실험장이 되고 있는 느낌이 드는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3]달타(ㅡ)

2018.09.11 (10:56:06)

보유세 만큼 무서운게 없습니다.
유지비가 많이 들면 남는게 없죠!!
그런데 말입니다.
보유세를 과격하게 올리면 부작용을 감당할
실무자들을 제대로 기관 배치가 되었는가?
사람이 필요할 때 입니다. 현장에서 타격을 주고
충격을 반감시켜줄 실무자가 절실할 때 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9.13 (17:04:20)

추가증세 4천억이면 약하군요.
수원대 1개대학 적립금이 4천억인데..
40조원은 되어야 교육재정에 보탬이 될 터인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094
1538 생각의 정석 7회 3 오세 2013-08-08 4104
1537 설국열차를 탈출하라 - 제민포럼 4 ahmoo 2013-08-12 4447
1536 생각의 정석 8회 (충격대예언-박근혜의 운명에서 2013년 하반기 트렌드로 변경) 2 오세 2013-08-14 4937
1535 영장류 연구의 권위자 프란스 드발의 헛소리 2 오세 2013-08-15 4464
1534 뭘까요? image 17 김동렬 2013-08-16 5487
1533 이 거짓말에 대해 논해보시오. 7 김동렬 2013-08-18 5050
1532 어디서 본 역겨운 글 image 2 김동렬 2013-08-19 5185
1531 아빠 어디가, 사승봉도가 무인도? image 1 김동렬 2013-08-19 6694
1530 페이스북에서 본 어이없는 글 2 오세 2013-08-21 7069
1529 생각의 정석 9회 오세 2013-08-22 3213
1528 중국은 왜 대포와 시계를 만들지 못했나? 2 김동렬 2013-08-24 6158
1527 여전한 서구의 인종주의 6 김동렬 2013-08-25 5069
1526 인류 부채한도 담 |/_ 2013-08-27 3498
1525 생각의 정석 10회 오세 2013-08-28 4024
1524 쉬운 구조론 문제 30 김동렬 2013-09-02 5128
1523 생각의 정석 11회 오세 2013-09-05 3764
1522 한 번 뒤집는 류시화, 두 번 뒤집는 구조론 7 오세 2013-09-07 4648
1521 이중구속, 엄마의 의도는? 22 김동렬 2013-09-08 9679
1520 최소작용의 원리 5 김동렬 2013-09-11 7180
1519 생각의 정석 12회 -미쿡특집- 4 오세 2013-09-12 4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