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스마일
read 1819 vote 0 2018.08.30 (19:06:58)

요새 이사철이라서 여기저기 인터넷으로 집값을 검색해보면

답십리래미안위브는 투기꾼들이 몰려왔거나

아니면 옆동네하고 집값올리기 경쟁을 하거나

그 동네안에서 뭔가 움직이고 있다.

호가가 이주만에 4억이 올라갔다. 8월초만해도 8억 7천정로 기억하는데

지금은 13억이라니 투기꾼들의 놀이터가 된 것이 분명하다.


문재인정부가 들어서고 나서 주위사람들의 불만을 들어보면

건보료 올라가고 세금을 너무 많이 낸다고 불만인데

세금을 국가가 올리나 투기꾼들이 올리고 있는지 잘 보고 있어야한다.

세금이 올라가고 건보료가 올라가는것은

자산소유주들의 자산이 올라간 것인데

최근 4~5년 집값이 올라갔는데 건보료와 세금이 오르지 않을 이유가 없다.

세금과 건보료는 정액제가 아니라 정률제이다.


그리고 지금은 투기꾼들이 집값을 올려놓고

한두채 거래로 집값이 올라가는 데

집을 한채만 가지고 실 거주하는 사람들은 투기꾼들 때문에

세금을 더 내어야 한다.

투기꾼들이 호가를 조정하여 시장질서를 어지럽히는데

국가는 손 놓고 볼 수 없다.

이 과정에서 집값은 올라가고 집을 가진 사람들은 그 다음해 세금을 더 내어야 한다.


집을 한채가지고 있으면서 투기꾼때문에 세금을 더 내어야 하는

1채 실 소유주들은 세금때문에 불만 이라면

정부를 욕하지말고 내 동네에 돌아다니는 투기꾼들을 보면 바로 신고해야 한다. 


지금 세금은 정부가 올리는 것이 아니라 투기꾼들이 올리고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달타(ㅡ)

2018.08.30 (19:13:59)

투기꾼에 실채 뒤에는 현금을 어마어마하게
재워두고 투자 수익을 노리는 거대 세력이
있습니다. 한두명 잡아 실적을 낼것이 아니라
거대한 은닉재산을 찾아 거대하게 세금을 물리던지
환수해서 사회에 환원시켜야 종료 됩니다. ㅎㅎ
프로필 이미지 [레벨:14]곱슬이

2018.09.03 (11:29:57)

중위권 가처분소득이 상당히 늘었기때문에 실수요자가 늘었다는 사실을 직시하지 않고,  투기누르기에만 힘쓰면 말짱도루묵.  공급을 늘릴만큼 늘려 자동으로 잡히도록해야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592 직업 테스트 16 아란도 2014-07-28 5410
4591 스티브 잡스가 문을 열다. 20 양을 쫓는 모험 2010-01-28 5407
4590 김동렬님의 천재론의 교육방법을 읽다가. image 5 눈내리는 마을 2009-09-30 5380
4589 학문의 역사를 발송하고 2 김동렬 2007-09-13 5364
4588 찐따 퇴치 대작전 1 이상우 2010-12-09 5363
4587 녹조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13-08-19 5362
4586 책이 출간 되었습니다. image 56 양을 쫓는 모험 2011-05-19 5359
4585 다스 채용공고 놀이 image 1 ahmoo 2011-11-14 5349
4584 초등학교 교실 왕따보고서 (사진수정) image 1 15門 2013-06-16 5347
4583 힐링캠프 설경구 편을 보셨는지요... 15 우승재 2013-04-02 5345
4582 벤처 모임을 만듭니다. 6 챠우 2016-01-26 5331
4581 조선일보 기자는 뭐하고 살까? image 2 김동렬 2009-07-16 5329
4580 뽑을 이를 뽑아라. 5 김동렬 2012-11-26 5291
4579 압록강 풍경 image 11 김동렬 2009-04-27 5287
4578 이상한 글을 쓰는 분이 있는데 김동렬 2008-05-01 5286
4577 가혹한너님 그런 말씀 마세요. 김동렬 2009-05-25 5281
4576 경주 건달(깡패)이야기. 혼자 다 먹으려다 칼맞는 수가 있다. 대칭-균형 당당 2014-05-19 5276
4575 천안함 수수께끼 8 김동렬 2010-04-15 5248
4574 ' 마가렛 대처' 의 말? 17 아란도 2013-05-30 5242
4573 선차아회 후기 1부(그냥..이런 차행사가 있다고 보시라고 올린 것임) image 3 아란도 2014-03-27 5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