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다원이
read 1715 vote 1 2018.08.21 (00:53:37)

선문답 - 질문에 답하려 하면 실패. 물었으니 답해야 한다는 이 프레임에 빠지면 즉시 패배. 묻는다는것 그 자체를 복제하는게 갈 길이다.
선승이 물을 때는 답을 바라는 게 아니라, (너같은 초짜에게 답을 바라지도 않는다 마는) 너도 나처럼 깨달은 경지에서 물음을 던지는 입장이 되어야 한다. 라고 외치는 것. 그걸 모르고 질문에 대한 정답을 맞추려 하는 순간, (스승이 이미 예견한 대로) 당신은 이미 졌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8.21 (09:11:18)

거대한 산을 작은 플라스틱 모형에 잡아가두면 곤란합니다.

물음에 답하려는 무의식을 보라는 관점은 하나의 단서에 불과합니다. 

그게 작은 힌트 하나는 되겠지요.


복제는 깨달음이 아니라 모방이고 표절입니다.

복제를 할 수 있는 복제의 자궁을 건설해야 깨달음입니다.


셰익스피어 소설을 읽고 그것을 복제하여 적과 흑을 쓰면 깨달음이지만

셰익스피어 햄릿을 읽고 햄릿 2부나 속편을 쓰면 그냥 표절입니다.


산이 '야 나는 얼마나 높냐?' 하고 물으면 

에베레스트 형님은 높이가 8848미터인데요? <- 이렇게 받으면 오백방을 맞아야 합니다.


질문에 답을 했으니까 질문의 관점을 획득하지 못한 거지요.

바다가 '야 나는 얼마나 깊냐?' 하고 받아야 좀 아는 거지요.


산과 바다는 대칭을 이루어 호응이 됩니다.

질문에 답하지 않고 대칭을 이루어 호응시키는 방법으로 완성해야 합니다.


그런게 없이 그냥 따라하는건 호응이 아니지요.

시인이 댓구를 쳐도 운을 띄우면 라임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림의 반을 그리면 나머지 반을 채워서 완성시키는 것이 호응입니다.

그냥 똑같이 따라하는건 어린이 행동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8.21 (15:15:09)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692 그냥 이런영상 한번씩 보고 있다오 1 폴라리스 2009-06-12 3396
4691 이제는 현직 대통령도 존중해줘야 할 때 image 4 EUROBEAT 2009-06-12 4425
4690 혜안이 밝으신 님께 묻고 싶습니다. 1 수정부 2009-06-13 3784
4689 조중동 개그 (뒷북조심) 4 르페 2009-06-13 4531
4688 홍매실 image 4 안단테 2009-06-15 10045
4687 오류가 발생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조론적 대안은 무엇일까요? 12 통나무 2009-06-16 3673
4686 나도 했다. 그래서 너도 할 수 있다. 허벅지9 2009-06-18 4109
4685 다시 바람이 분다 image 눈내리는 마을 2009-06-18 3589
4684 6월은 호국보훈의 달 image 9 김동렬 2009-06-18 6835
4683 내가생각하는 구조론 4 꾸이맨 2009-06-18 3585
4682 공포감 극복 8 곱슬이 2009-06-19 4218
4681 20년 후불제 알바구함 11 곱슬이 2009-06-19 4431
4680 그즤같긔 image 4 꾸이맨 2009-06-20 3599
4679 아다모를 아세요? 12 르페 2009-06-20 4458
4678 불가리아 카를로보 image 13 풀꽃 2009-06-22 4840
4677 먼저 사람이 되라 1 지여 2009-06-22 3925
4676 잠자는 미녀?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09-06-23 4376
4675 고난 8 곱슬이 2009-06-23 3967
4674 Mother 뒷이야기.. 7 꾸이맨 2009-06-24 3462
4673 '탕탕탕...' 경찰이 방아쇠를 당길때는...? 1 노란고양이 2009-06-24 3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