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42 vote 0 2018.07.30 (09:59:31)

    https://news.v.daum.net/v/20180730050605621?d=y


      
   모든 종이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려고 한다는 전제부터가 틀렸습니다. 유전자 남겨서 뭐하게? 유전자 남겨서 쌀이 나오냐 떡이 나오냐? 생존전략과 세력전략이 있는 것이며 인간은 세력전략을 쓰는 것이지요. 


    "자신의 번식능력을 포기하는 대신 자식이나 손주를 도와 결과적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리는 이득을 얻는다."[기사발췌]


    이런 식의 어떻게든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린다는 생각은 틀렸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어머니설, 할머니설, 세대갈등설 다 부분적으로 맞는 말이지만 전체적으로 틀렸습니다. 유전자를 퍼뜨리는게 아닙니다.


   진화의 근본은 유전자를 퍼뜨리기 위하여 등의 무슨 위하여 곧 어떤 이득에 있는게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있으며 게임에 이기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득은 없다는 거지요. 종의 목적은 환경의 통제입니다.


    호르몬이 중요한데 동물이든 사람이든 무리 중의 누군가 출산을 하면 자신의 출산을 중지하고 어머니 행동을 합니다. 개가 고양이 새끼를 키운다든가 하는 것인데 자기 새끼는 낳지 않고 남의 새끼를 키웁니다.


    진화생물학 - 모든 종은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려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어머니 가설, 할머니 가설, 세대갈등설은 모두 자기 유전자를 남길 확률을 높이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구조생물학 - 모든 종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신이 우위에 서려고 한다. 그 방법은 집단 안에서 역할을 가지는 것이다. 집단 안에서 역할을 얻을 수 있다면 굳이 자기 유전자를 남겨야 할 이유가 없다. 


    어떤 목적이나 의도로 설명하는 것은 전부 잘못된 것입니다.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은 바다를 향한 강렬한 열망 때문이 아니고 지구의 중력 때문입니다. 유전자를 남기려는 의도는 없고 단지 환경에 대한 우위가 있습니다.


    왜 우위인가? 우위가 아니면 열위이고 열위는 결정권이 없기 때문에 어떤 판단도 하지 않습니다. 이기는 선택과 지는 선택이 있으며 환경을 이기는 결정이 남아서 결과적으로 진화가 되는 것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7.30 (19:16:23)

놀라운 통찰입니다. 구조론의 탁월함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339
1515 마지막 낙원 담 |/_ 2013-09-23 3864
1514 생각해볼만한 거짓말 8 김동렬 2013-09-23 5445
1513 인간 언어의 원리 1 김동렬 2013-09-26 5138
1512 구조론 생각의 정석 13회 오세 2013-09-26 3905
1511 이것이 불편한 진실 image 7 김동렬 2013-09-30 4643
1510 신뢰의 시스템이 우리의 살 길이다 - 제민포럼 1 ahmoo 2013-10-01 3281
1509 유전적 성적 이끌림 4 김동렬 2013-10-01 10566
1508 김조광수 김승환 커플 image 5 김동렬 2013-10-02 15097
1507 생각의 정석 14회 오세 2013-10-10 3873
1506 글 잘 쓰는 방법 7 김동렬 2013-10-11 8370
1505 브레인스토밍은 효과가 없다. 5 김동렬 2013-10-16 8321
1504 생각의 정석 15회 image 오세 2013-10-17 3217
1503 빈곤층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는? 13 김동렬 2013-10-17 6165
1502 바그다드 까페 image 11 김동렬 2013-10-20 6611
1501 질 입자 힘 운동 량 찾아보기 image 7 김동렬 2013-10-21 4747
1500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 1 김동렬 2013-10-21 5062
1499 보물찾기: 나란 무엇인가? 3 오세 2013-10-22 4204
1498 생각의 정석 16회 1 오세 2013-10-23 3433
1497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393
1496 맘에 드는 작품을 찾아보세요. image 10 김동렬 2013-10-27 6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