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최근 지진대의 활동이 심상찮습니다.


20180226081401275nezs.jpg


최근 걸었던 카트만두도 2015년 진도7.8의 큰 지진이 나서 수많은 사람이 죽었습니다. 
인류와 문명은 지진의 위험에 속수무책입니다.


걸으면서 이 생명로드의 의미를 되새겨봅니다.
후쿠시마 핵재난이 발생한 시점부터 지구촌에는 이미 수요가 발생해 있습니다. 

'안전에 대한 조직적이고 실효적인 대응' 말입니다.
마치 핵무기가 등장하고 전쟁이 인류생존을 위협하게 되니까 유엔이 결성된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유엔은 국가권력의 집합이어서 할 수 있는 일이 있는가 하면 능력밖의 일도 많습니다. 
국가권력은 그 나라 내부의 이해관계에 의해 창출되는 것이고 그들이 모였다고 해서
지구전체의 공공적 가치를 구현하기는 어렵기 마련입니다.
강대국의 입김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고, 국가마다 다르긴 하지만 자본권력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유엔은 핵발전소문제에 대해서는 무기력하기만 합니다.

원래 의사결정의 위임이 발생하는 모든 곳에 권력이 소재하기 마련입니다. 
지구촌의 위기관리에 대한 수요가 이미 발생해있는 것입니다. 
그 역할에의 수요가 오래전부터 발생해 있고 누군가 공급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도 그걸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니 보고도 못 본 체 하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지구촌에도 유엔과 쌍을 이루면서 상호보완적 기능을 하는 무언가의 실체가 필요합니다.
옷감 짤 때 씨줄과 날줄로 엮듯이, 가정에도 부모의 역할이 있듯이,
지구촌은 유엔의 국가권력집합과는 또다른 안전판의 역할이 필요합니다.
필요한 정도를 넘어 없어서는 곤란합니다. 
그게 보이지 않습니까?

생명로드는 바로 그 길로 가고 있습니다. 
아무도 가지 않지만, 그게 보이기 때문에 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람들은 머지않아 그 중요성을 알아차리겠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071
1839 소그드인의 뿌리 3 김동렬 2016-04-01 5818
1838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812
1837 독립형 엔지니어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09-11-21 5808
1836 노블 vs 도킨스 1 오리 2023-03-18 5806
1835 왜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2-07 5787
1834 어느 쪽이 낫소? image 13 김동렬 2013-05-02 5785
1833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780
1832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5774
1831 추가할거 알려주오. 8 김동렬 2009-12-30 5767
1830 왜 태어났습니까? 10 김동렬 2013-07-22 5758
1829 채찍과 당근 5 오세 2010-02-08 5736
1828 공간이란 뭘 까요? 8 율리 2008-10-07 5721
1827 과학의 25가지 난제들 2 김동렬 2012-04-19 5716
1826 족같은 글이란? 4 김동렬 2015-09-30 5715
1825 한국 고대사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15-11-24 5712
1824 [일 이야기] 착취하라. 5 ░담 2011-02-19 5707
1823 한의원의 문제 image 13 김동렬 2015-01-09 5700
1822 질문.. 관점을 포착하라 11 김동렬 2013-04-25 5685
1821 s k i n . . image 3 조영민 2010-05-18 5681
1820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