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133 vote 0 2017.02.22 (15:43:36)

       

    신이 있다면 그를 만나고 싶다. 피뢰침이 벼락을 맞듯이 뾰족한 곳에 가 있어야 신을 만나게 된다. 뾰족한 곳에 기어올라가거나 혹은 여럿이 모여서 뾰족하게 인간탑을 쌓을 수 밖에 없다. 뾰족한 집단의 대표성을 만들어낼 수 밖에 없다.


    때로는 한 사람이 신이기도 하고, 때로는 한 하늘이 신이기도 하고, 때로는 한 세월이 신이기도 하다. 한 사람의 전부를 만났다면 신을 만난 것이며, 한 하늘의 전부를 보았다면 신을 본 것이며, 한 세월의 정수를 보았다면 신을 겪은 것이다.


    한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좋다. 한 사람은 내 안의 전부를 끌어내는 장치다. 만날 사람을 만났을 때 내 영혼의 바닥까지 밖으로 끌어내지게 되는 것이다. 거울을 통해 나를 보듯이 한 사람을 만났을 때 상대방 마음에 비친 나 자신을 본다.


    신을 만나지 않아도 좋지만 신이 있어야 한다.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좋지만 사람이 적어도 거기에 존재하여 있어야 한다. 비로소 착수할 수 있게 된다. 이 세상에 70억 명이나 있다는데 그중에 사람이 하나도 없다면 그것은 다른 문제다.


    인생은 의미 아니면 허무다. 허무는 여기서 끝이고 의미는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다. 이 스테이지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면 마음의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여행자가 북극성을 찾듯이 신을 바라보아야 한다.


    신은 인간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존재하지만 모두의 소원을 들어주지는 않는다. 대표자 한 명의 소원을 들어줄 뿐이다. 신의 입장에서는 하나가 전부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운명의 하나가 되거나 그 하나에게 위임하거나뿐이다.


    인간은 신을 만나기 원하며 그 이전에 신이 거기에 있기를 원한다. 내가 거기에 있어야 신이 거기에 있다. 나를 만나는 만큼 신을 만난다. 나를 부정할 때 신이 부정된다. 의미를 부정할 때 신은 사라진다. 다음 단계를 부정할 때 신은 없다.


20170108_234810.jpg


    종교의 신으로 오해하면 곤란합니다. 이건 다른 이야기입니다. 신을 완전성이라는 단어로 바꾸어도 됩니다.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일관성 문제입니다. 내 인생에 있어서의 모든 의사결정들이 전부 하나로 연결되어 분명한 방향을 드러내야 그 낱낱의 결정들이 유의미해집니다. 


[레벨:11]큰바위

2017.02.22 (18:58:24)

이미 완전해져 있다. 

인간은 이미 신이 되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748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37828
2274 대중의 권력화가 문제다 1 김동렬 2019-12-23 3111
2273 맨 처음 이야기 2 김동렬 2019-12-23 3347
2272 구조론과 원자론의 차이 1 김동렬 2019-12-24 2797
2271 맨 처음 이야기 한 번 더 1 김동렬 2019-12-25 4972
2270 아킬레스와 거북이 1 김동렬 2019-12-25 4535
2269 거대한 전복의 시작 1 김동렬 2019-12-26 3374
2268 구조론과 범신론 3 김동렬 2019-12-27 3532
2267 주체의 언어라야 한다 1 김동렬 2019-12-27 4318
2266 우주의 건축법 1 김동렬 2019-12-27 3002
2265 인류의 가장 위대한 지식은 인과율이다 1 김동렬 2019-12-28 3121
2264 불은 빛나지 않는다 2 김동렬 2019-12-29 4473
2263 신과 인간 1 김동렬 2019-12-30 2898
2262 모든 숭배는 우상숭배다 1 김동렬 2019-12-31 3077
2261 보통사람의 보통생각은 보통 틀린다. image 3 김동렬 2019-12-31 3206
2260 원인과 결과 사이 1 김동렬 2019-12-31 3213
2259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1 김동렬 2020-01-01 3507
2258 엘리트의 패배공식 1 김동렬 2020-01-02 4026
2257 목적이냐, 상호작용이냐? 2 김동렬 2020-01-06 3411
2256 구조론은 사건의 원자론이다 1 김동렬 2020-01-06 2664
2255 진보를 진보하라 1 김동렬 2020-01-06 2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