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19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917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29324
4113 니체와 톨스토이 9 김동렬 2014-03-03 9937
4112 철학이란 무엇인가? 9 김동렬 2014-03-05 11215
4111 소크라테스의 변명 10 김동렬 2014-03-07 11364
4110 회의주의와의 싸움이 철학이다 5 김동렬 2014-03-09 8444
4109 5분만에 통달하는 철학 image 17 김동렬 2014-03-10 11445
4108 시간이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3-11 11317
4107 철학과 비철학 1 김동렬 2014-03-11 7645
4106 완전성의 철학 3 김동렬 2014-03-12 7920
4105 노자, 장자, 니체 13 김동렬 2014-03-14 10689
4104 철학은 힘이 세다 13 김동렬 2014-03-17 8270
410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482
4102 가장 특징적인 장소는 어디인가? 7 김동렬 2014-03-19 8334
4101 구조론연구소의 방법 image 18 김동렬 2014-03-20 10322
4100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image 154 김동렬 2014-03-21 17808
4099 구조론이 좋은 이유 6 김동렬 2014-03-23 7519
4098 구조론자의 마음 9 김동렬 2014-03-23 8670
4097 철학의 세 가지 질문 9 김동렬 2014-03-24 10491
4096 도교와 유교 image 2 김동렬 2014-03-25 9053
4095 구조론이 어렵다면 image 8 김동렬 2014-03-26 8986
4094 징검다리 건너기 문제 image 19 김동렬 2014-03-31 14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