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read 5748 vote 0 2023.03.18 (11:27:20)




https://youtu.be/eNmzWRwJ-SI


우연히 유튜브에 떠서 봤는데 재밌네요.

구조론적 관점으로 보면 더 재밌을거 같습니다. 


  •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DNA를 변화시킨다 vs 아니다.
  • 어떤 사람의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1만년 후에 쌍둥이로 복제가 가능하다 vs 안된다.
  • 유기체의 사회적 선택
  • 코로나 면역반응이 후세에 전달되는 메카니즘
  • 라마르크가 돌아왔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3.03.18 (19:44:25)

내용이 길어서 안 봤는데 

구조론을 배우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입니다.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습니다.

이건 제가 자연선택을 비판하려고 옛날부터 주장한 거. 

그런데 구조론으로 보면 유전자는 입자입니다.

노블 교수의 유기체가 정확히 뭘 뜻하는지 모르겠는데 아마 유기농 장사를 하려는듯.

유기체는 의미가 모호하므로 

유전자가 입자인데 비해 구조론의 질 포지션을 커버하고 싶은 것으로 추측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말하는 원인은 입자입니다.

핀셋으로 찝을 수 있는 입자는 유전자입니다.

유기체라는 말은 체가 붙었으니까 입자에 해당되는데

후성유전 어쩌고 하는거 보니

입자가 아니라 질 곧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의미하고 싶은듯


결론..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다.

유전자는 입자이므로 그 이전의 질 개념을 말하고 싶으면 

상호작용으로 말해야지 입자를 찍으면 안 된다.

입자를 찍어서 말하며 질 개념을 반영하면 그게 한의학의 기 비슷하게 된다.

포스의 힘으로 진화했다고 말하면 피곤하다.


구조론은 유전자 안에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고 봅니다.

맞는 생태적 지위를 찾아낼때까지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다윈생각.. 우연히 변이 중에 하나가 살아남는다.

구조생각..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가 일어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650
183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출간 파티 image 7 오리 2023-06-07 5795
1836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784
1835 독립형 엔지니어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09-11-21 5781
1834 어느 쪽이 낫소? image 13 김동렬 2013-05-02 5765
1833 왜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2-07 5760
» 노블 vs 도킨스 1 오리 2023-03-18 5748
1831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5748
1830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747
1829 추가할거 알려주오. 8 김동렬 2009-12-30 5736
1828 왜 태어났습니까? 10 김동렬 2013-07-22 5733
1827 채찍과 당근 5 오세 2010-02-08 5700
1826 족같은 글이란? 4 김동렬 2015-09-30 5699
1825 한국 고대사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15-11-24 5686
1824 공간이란 뭘 까요? 8 율리 2008-10-07 5680
1823 한의원의 문제 image 13 김동렬 2015-01-09 5675
1822 과학의 25가지 난제들 2 김동렬 2012-04-19 5675
1821 [일 이야기] 착취하라. 5 ░담 2011-02-19 5674
1820 s k i n . . image 3 조영민 2010-05-18 5658
1819 SK, 한국 프로야구의 최대한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4-29 5651
1818 질문.. 관점을 포착하라 11 김동렬 2013-04-25 5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