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015 vote 0 2011.09.15 (11:32:51)

0907.jpg


일단 팔이 굵다.


0909.jpg


오른팔이 더욱 굵다.


09087.jpg


강속구 투수들 중에 날씬한 선수들이 많은데, 날씬한 몸으로 채찍처럼 휘어서 강속구를 던질 수 

있지만 묵직한 돌직구는 손아귀 힘이 절대적이고 그 손아귀 힘은 굵은 팔뚝에서 나오는 거다.


200808052045221101_1.jpg


팔씨름 하면 잘할거 같다. 넥센 박병호도 팔이 굵어서 홈런을 잘 치는 거다.



박주영이 못하는 이유는 상체가 약해서라는 것이 나의 추측이다. 물론 상체가 두껍다고 다 잘하는건 아니지만

한국 축구선수들은 대개 하체가 발달한데 비해 상체가 받쳐주지 못한다. 상하체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순발력이

떨어지는 거다. 특히 박주영은 웨이트를 해서 상체를 키워야 파워가 나온다고 생각한다. 이동국도 그렇지만 

하체에 비해 상체가 약해서 상하체밸런스가 맞지 않다. 원톱은 특히 파워가 중요하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몸만 봐도 대개 알 수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1.09.15 (12:39:47)

오승왈트는 상하체 밸런스 뿐만 아니라 던지는 순간의 지면과 몸의 밸런스도 좋소.


던지는 동안 손아귀에 모두 힘이 들어가는 게 아니라, 그 짧은 시간에도 손에 힘이 들어갈 때와 뺄 때가 있소. 채는 순간엔 힘이 들어가야 하는데, 아귀 힘은 팔뚝 중에서도 손목과 팔꿈치 사이의 근육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양모의 추측이오.


최근 몇 년 동안 검도를 쉬었지만, 검도도 마찬가지 치는 순간 아귀에 힘을 주는데, 계속하다보면 손목과 팔꿈치 사이의 근육이 빵빵해지오. 어깨와 팔꿈치 사이의 근육은 팔 스윙과 관련이 있소. 어떤 운동을 할 때 힘이 모이는 지점이 있음.


직구(포심 패스트볼)는 커브, 슬라이더와는 다르게 심을 채는 방향 때문에 공의 회전이 위로 가게 되어있소. 하여 투수가 150km의 빠른 공을 던지려고 하면 컨트롤이 불안정하고 공이 뜨는 경우가 많고, 공이 뜨다보면 구속이 빨라도 장타를 맞기 일수요. 그런데 오승환의 돌직구는 빠르면서도 낮게 깔려서 설령 친다고 해도 파울이나 땅볼로 이어짐.


빠른 공이 낮게 깔린다는 것은 공을 놓는 지점(릴리즈 포인트)와 관련이 있고, 그것은 곧 지면과 몸의 밸런스와 관련이 있다는 추측. 과거 선동렬도 그랬지만, 오승환의 폼도 던진 후 몸 전체가 튕겨져 나갈 듯한 투구폼. 


에너지와 밸런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12 무슨 방법 없나요? 6 까뮈 2017-03-09 1853
411 약국 마스크 문제 1 레인3 2020-03-09 1852
410 블록체인 위에 올려진 백과사전, 에브리피디아 mowl 2018-11-05 1852
409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2-13 1852
408 토요 독서모임 장소 변경 사전 공지 2 챠우 2016-10-28 1851
407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9-04 1851
406 새해맞이 홍어 도전 벙개 image 3 수피아 2019-01-27 1850
405 yes인가 no인가 챠우 2019-12-19 1849
404 지구생명체에 가장 큰 영형을 미치는 것 - 태양 1 스마일 2017-11-19 1849
403 aosabook 1 눈마 2016-10-16 1848
402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05-07 1848
401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11-06 1847
400 당대표 이해찬 !! 1 다원이 2018-08-25 1846
399 구조론 광주모임 탈춤 2015-08-08 1846
398 정부의 HTTPS 차단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風骨 2019-02-19 1844
397 AI(강화학습)나 사람이나 거기서 거기 image 4 챠우 2018-11-28 1844
396 함량미달 아니정 부루 2017-12-06 1844
395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5 ahmoo 2017-03-16 1844
394 little children 2006 눈마 2019-04-01 1843
393 어떤 제도가 만들어지는 과정 2 이상우 2019-10-30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