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070 vote 0 2017.04.07 (13:19:45)

k.jpg

 


   
    우리는 대상을 관측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자기를 관측하고 있다. 스킨십을 한다면 상대방의 몸을 빌어 자기 몸을 만지는 것이다. 자신이 자신을 만지면 뇌가 알기 때문에 상대방의 몸을 빌어 만짐으로써 뇌를 속인다. 자기가 만지면 뇌가 알기 때문에 간지럽지 않고 남이 만지면 뇌가 속으므로 간지럼을 탄다. 


    손으로 꽃병을 만지면서 우리는 꽃병을 관측했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지구 중력을 관측한 것이다. 반드시 매개하는 것이 있다. 우리는 관측대상 내부의 질서를 관측하려고 하지만 외부를 배제했을 때 내부는 깨진다. 관측할 수 없다. 구조론은 사건을 다루므로 사건은 매우 흔하게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매우 드물다.


    우주의 탄생은 매우 어렵다. 우주는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대칭은 오히려 우주를 붕괴시킨다. 자발적 대칭성 깨짐에 의해 우주가 건축되는 확률은 낮으며 실험실의 과학자라도 수억번의 실험으로 겨우 의미있는 자료를 건진다. 우주에 에너지가 무한에 가깝게 많으므로 확률을 얻어 겨우 우주가 일어났다.


    우리는 추론을 통해 연역의 방법으로 객관적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관측자의 주관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있는 그대로의 물 그 자체를 알 수 있다. 그것은 관측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관측을 부단히 배제함으로써 도달된다.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모두 제거했을 때 마지막 남는 것이 그것이다. 


    관측이 쓰이지만 관측으로 얻은 정보 그 자체는 의미가 없다. 그것은 추론의 단서일 뿐 지식은 연역에 의해 얻어지며 관측은 그게 그것인지 맞춰보는데 쓰인다. 강호동과 옥동자의 씨름대결이면 강호동이 이긴다. 그런데 그 강호동 맞아? 지금 착오로 김호동을 말하고 있는거 아녀? 이 때문에 관측이 필요한 거다.  

    

ㅣ.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zuna

2017.04.07 (20:22:20)

"플랑크 스케일"이란 불확정성원리와 연결되는데, 속도란 반드시 떨어진 두 점이 있어야 결정되는 양이고 위치는 한 점을 말하는데 무한히 무한히 작게 두 점을 좁혀서 거의 한 점 가까이 가는 것이 수학의 극한인데 물리적으로는 마지막에 플랑크 스케일에 걸려서 그 밑으로는 못내려 가는 겁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315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23321
3783 볼테르와 그의 친구들 2 김동렬 2015-04-06 6135
3782 존재는 정靜이 아니라 동動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5-31 6140
3781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4-09-08 6150
3780 시간여행의 딜레마 image 김동렬 2014-11-20 6150
3779 대결하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4-21 6150
3778 비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4-11-02 6151
3777 자연법칙의 이해 2 김동렬 2014-09-15 6153
3776 진화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9-22 6160
3775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62
3774 동의 동을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1-04 6166
3773 공자와 예수, 소크라테스 image 2 김동렬 2016-03-02 6167
3772 구조론의 관점부터 받아들이자. image 4 김동렬 2016-05-03 6171
3771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75
3770 사건을 일으키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5-01-06 6178
3769 진짜 이야기는 이런 거다 김동렬 2016-07-09 6186
3768 빚이 있어야 경제가 발전한다 4 김동렬 2018-08-30 6188
3767 구조론은 업그레이드 된 인과율이다. image 6 김동렬 2015-07-24 6192
3766 방향성으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5-01-02 6197
3765 구조론 사람 1 김동렬 2018-08-02 6198
3764 더 높은 층위의 세계가 있다 image 3 김동렬 2016-04-19 6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