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351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5480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45298
2450 ‘성(性)스러운’ 법정? image 김동렬* 2012-10-21 8052
2449 진화 구조 창조 1 김동렬 2012-07-06 10902
2448 구조론이 주문하는 삶의 태도 image 3 김동렬 2012-07-04 10140
2447 구조를 사랑하라 image 3 김동렬 2012-07-04 10095
2446 연역하는 방법 추가 image 1 김동렬 2012-07-02 9912
2445 연역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7-01 10311
2444 구조가 싫은 분들께 19 김동렬 2012-06-30 9759
2443 구조론과 수학 image 6 김동렬 2012-06-29 10625
2442 디테일에 대한 오해와 이해 image 3 김동렬 2012-06-26 12341
2441 결 도 리 법 질서 image 2 김동렬 2012-06-24 10178
2440 죽음의 두려움에 대하여 image 8 김동렬 2012-06-22 16827
2439 성장이냐 복지냐? image 11 김동렬 2012-06-19 11811
2438 믿음이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2-06-19 13453
2437 미의 기원은 의사결정 원리 image 2 김동렬 2012-06-13 14227
2436 원형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2-06-11 10111
2435 창조론은 없다. image 6 김동렬 2012-06-08 10990
2434 연역적 사고 image 4 김동렬 2012-06-06 16165
2433 존엄이 깨달음이다. image 2 김동렬 2012-06-05 10859
2432 애플의 불편한 진실 image 7 김동렬 2012-06-04 10730
2431 야구가 재미있는 이유 image 7 김동렬 2012-05-25 12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