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75 vote 0 2023.01.30 (19:34:56)


    황당한게 자연발생설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생'이라는 개념이다. 그런데 발생이 뭐지? 미생물에 의해 생물이 번식한다면 쉽다. 발생이 뭐냐고? 그건 미생물에게 물어봐. 문제를 떠넘기면 된다. 그런데 자연발생설로 가면 발생론이라는 새로운 과학과 철학이 태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한다는 거야? 발생의 메커니즘이 뭐야? 이거 대박이다. 창조설 찜쪄먹고 진화론 압도하는 새로운 학문으로 발생학이 등장해 주시는 거다. 그런데 왜 아무도 자연발생설을 뒷받침하는 발생론을 논하지 않는가?


    언어가 과학에 앞선다는 말은 이런 의미다. 얼버무리기 없다. 인간들이 말을 애매하게 한다. AI 하는 사람들이 창발이라는 단어를 쓴다. 그런데 창발이 뭐지? 뜻을 알고 쓰는 사람은 없다. 비겁한 짓이다. 이런 것을 끝까지 물고 늘어져야 한다. 말을 똑바로 하라는 공자의 정명사상에서 배워야 한다.


    어떤 사람이 혼자 길을 간다면 지구와 대칭이다. 두 사람이 함께 간다면 옆사람과 대칭이다. 대칭이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대칭이 자리를 바꿨다. 창발은 자리바꿈이다. 무에서 유가 출현한 것이 아니라 숨어 있던 것이 드러난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자리바꿈이고 방향전환이다.


    변화는 계를 중심으로 일어난다. 계 내부에 밸런스가 있다. 그것은 갑자기 개입한다. 사람들은 깜짝 놀라서 창발이라는 말을 한다. 창발은 계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다가 뒤늦게 알아채는 것이다. 자연의 모든 변화는 밸런스의 재조립이다. 창발은 기존에 없던 다른 형태의 밸런스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생겨난 것이 아니라 복제된 것이다. 닫힌계 안에서 밸런스의 격발에 의해 존재는 기능을 획득한다.


    격발 이전에 전달이 있다. 발생론을 쓰려면 먼저 전달론을 써야 한다. 전달은 대칭을 따라간다. 첫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이 발생이라면 두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은 발생한 기능의 전달이다. 도미노가 둘이면 전달과 발생이 구분된다. 창발은 전달과 발생의 구분이다. 불을 켜는 것이 발생이면 불이 옮겨붙는 것은 전달이다. 인류의 대부분의 착오가 발생과 전달을 헷갈린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6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86
6612 차령산맥은 없다 image 김동렬 2023-12-15 1972
6611 김건희의 뇌물공화국 김동렬 2024-02-22 1972
6610 중국 축구 수수께끼 풀렸다 1 김동렬 2023-11-23 1974
6609 구조문제 김동렬 2023-01-13 1975
» 발생이 먼저다 김동렬 2023-01-30 1975
6607 본질지향에서 도구지향으로 김동렬 2022-04-23 1978
6606 자발적 변화 김동렬 2023-01-25 1978
6605 왼손잡이 문제 김동렬 2022-05-22 1979
6604 물리적 실재 김동렬 2022-11-27 1982
6603 진화론의 완성도 김동렬 2022-12-08 1984
6602 입력과 출력 김동렬 2024-01-20 1986
6601 헤어질 결심 - 한국 지식인의 저급함 김동렬 2024-05-01 1986
6600 전두환 11월에 죽다 1 김동렬 2023-11-23 1992
6599 과학의 시련 김동렬 2023-01-29 1993
6598 힘과 짐 김동렬 2023-08-16 1993
6597 국힘의 컨닝실패 2 김동렬 2023-11-05 1993
6596 딜레마 1 김동렬 2023-01-20 2000
6595 구조론은 김동렬 2023-08-30 2002
6594 생각을 하자 image 1 김동렬 2022-11-26 2006
6593 동작을 이수진의 배신 12 김동렬 2024-06-0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