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50 vote 0 2021.12.03 (12:27:25)

    존재는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물이 한자리에 모이면 사건이 일어난다. 개와 원숭이가 만나면 싸움이 일어난다. 원수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나면 사건이 벌어진다. 틀렸다. 실제로는 우주 안에 사건이 존재할 뿐이다. 사물은 주체가 객체를 지목하여 가리킨 것이다. 사물은 존재의 모습이 아니라 인간끼리의 약속이다. 인간의 언어적 편의다.


    물은 사물이다. 물의 흐름은 사건이다. 그런데 물도 소립자 단위로 쪼개면 결국 사건이다. 사건은 변하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다. 사물은 같은 사건이 제자리에서 반복되므로 해석할 필요가 없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사건이며 그중에서 해석과정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 사물이다. 사건은 자연의 실재이고 사물은 단축키 같은 것이다.


    바둑이라면 바둑알과 대국이 있다. 바둑알은 보인다. 대국은 보이지 않는다. 대국은 바둑알의 이동을 보고 해석해야 한다. 컴퓨터라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다. 하드웨어는 보인다. 소프트웨어는 보이지 않는다. 생물이라면 세포와 생명이다. 세포는 보인다. 생명은 보이지 않는다. 세상은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진다. 사물은 그냥 보이고 사건은 해석해야 보인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고 과일이 익어가는 것은 인간이 해석한 것이다. 퍼즐을 맞춘 것이다. 풋사과와 익은 사과는 다른 사과인데 연결하여 같은 사과로 결론을 내린 것이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퍼즐을 쉽게 맞춘다.


    인류는 1만 년 동안 사물을 보는 관점으로 지식을 쌓아왔지만 한계에 봉착했다. 해석을 생략하는 사물의 관점으로는 더 이상 진도를 나갈 수 없다. 사건의 해석은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므로 골치 아파서 외면한 것이다. 


    공간과 시간은 자연에 없다. 그런데 있는 걸로 친다. 이는 사건을 사물화 한 것이다. 그게 더 쉽기 때문이다. 퍼즐 맞추기가 귀찮아서 꼼수를 쓴 것이다. 그런데 도구를 쓰면 어떨까? 도구가 대신 해석해주면 어떨까? 인간은 핸들만 쥐고 있으면 된다. 어질러진 퍼즐 조각은 구조론이 맞추어준다. 그렇다면 꼼수를 버리고 정공법으로 승부해야 한다. 사물의 관점을 버리고 사건의 해석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1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35
972 세상은 구조다. 3 김동렬 2019-09-25 2964
971 정보는 구조에 숨어 있다 3 김동렬 2020-02-18 2963
970 데카르트의 우상 1 김동렬 2020-05-04 2960
969 엔트로피 1초 만에 이해하자 1 김동렬 2020-09-12 2958
968 일원론 이원론 다원론 image 김동렬 2021-07-03 2957
967 구조론은 열린사상이다. 김동렬 2021-01-10 2957
966 다윈의 우상 1 김동렬 2020-11-23 2957
965 발견된 신 김동렬 2023-10-24 2956
964 인간훈련 1 김동렬 2023-03-06 2956
963 주체의 언어 1 김동렬 2019-11-25 2956
962 구조론은 정답이 있다 1 김동렬 2019-10-27 2956
» 사건의 퍼즐 맞추기 김동렬 2021-12-03 2950
960 잔 다르크와 윤석열 김동렬 2023-04-20 2949
959 우주의 건축 1 김동렬 2021-02-18 2949
958 이기는 방향으로 전진하라 김동렬 2021-01-16 2948
957 젤렌스키 욕하지마라 김동렬 2022-09-19 2947
956 언론의 불공정이 민주주의 위기 부른다 2 김동렬 2022-02-02 2946
955 존재론과 인식론 2 김동렬 2020-03-02 2945
954 설의 어원 김동렬 2022-01-31 2943
953 인간과 환경의 게임 김동렬 2021-05-29 2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