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SimplyRed
read 5916 vote 0 2023.05.06 (16:01:05)

신대륙발견 이후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이 전 지구에 보급되는 것은 필연적인 방향이었다.

감자는 춥고, 거친 환경에서도 잘자라며 토지크기 당 생산력이 매우 높다. 고구마 또한 마찬가지다. 

보관이 쉽지 않아, 세금으로 낼 수 있는 품목이 아니었으며, 재배기간도 짧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찾아오는 기근 때마다 소중한 먹거리가 되었다.

감자와 고구마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경로를 살펴보면 감자는 추운 북쪽지방에서부터 들어오고, 고구마는 따뜻한 남쪽지방으로 들어온 것이 재미있다.


유럽 각 국가에서는 감자를 받아들이는 데 결과가 상반된 에피소드가 있는데, 
영국에서는 엘리자베스1세가 감자를 권장하려다, 솔라닌중독에 걸려 감자 보급이 19세기에 와서야 이루어졌다고 하고,
프랑스와 프로이센에서는 감자를 군사가 지키게 하고, ‘귀족만이 먹을 수 있다.’ 라고 하여 오히려 보급을 촉진했다고 한다.

이는 구조론에서 말하는 반대를 건드려 움직이게 하는 유체역학의 내용과 이중의 역설의 실례 중 하나이다.


영국에서는 감자에 대해 잘 알지 못한채 의도적으로 보급하려 하면서, 역설이 작동하여 반대의 결과가 나왔지만,
더 큰 차원에서의 감자의 생산력 혁신은 막을 수 없는 전지구적인 것이었기에 결국 보급된 것이 이중의 역설인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474
2099 [re]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1 김동렬 2006-05-17 9381
2098 류시화가 가짜인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3-12-09 9291
2097 강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image 7 양을 쫓는 모험 2010-05-11 9280
2096 한 해가 저문다, 음악이나 듣자 image 11 ahmoo 2011-12-21 9273
2095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9262
2094 동렬님께... 3 kkh 2006-01-24 9211
2093 거짓과 진실의 작동원리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4-21 9174
2092 괴목 테이블은 곤란 image 12 김동렬 2015-08-04 9162
2091 조선의 젖가슴 image 4 김동렬 2015-01-12 9160
2090 화투의 밸런스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27 9128
2089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9123
2088 부(富)의 비교 -구조론적 관점- 5 오세 2010-09-10 9079
2087 올해 북극 빙하는 줄었나 늘었나? image 김동렬 2014-10-20 9041
2086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940
2085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937
2084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937
2083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927
2082 먼 미래에 백인이 멸종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image 5 가혹한너 2009-01-31 8916
2081 아해 오감도 이상 image 1 김동렬 2014-04-28 8846
2080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