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밀레의 만종이 아름답다구?
까놓고 이야기하자.
뭐가 아름답냐?

전문가들이 모여서
이 시대의 아름다움을 대표시킬 것을
밀레의 만종으로 하자고
사바사바한 것에 불과하다.

빨간 색이 눈에 잘 띄는 것은 기계적인 반응이다.
꽃이 아름다운 것은 기계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벌과 나비를 유인하자는 거다.
미인이 아름다운 것도 마찬가지로 기계적인 반응에 불과하다.

밀레의 만종이 아름다운 것도 역시 기계적인 것이다.
주파수대가 넓은 빨간색이 시신경을 자극하므로서 눈길을 끌 듯이
밀레의 만종이 전문가들이 눈길을 끄는 것은
그 당시에는 그것이 이전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그림이었기 때문이다.

눈에 익은 99명이 있는데
1명이 새로 전학을 오면 당연히 눈길을 끈다.
인간의 눈은 새로운 것에 기계적으로 반응한다.

만종은 새롭기 때문에 눈길을 끌었다.
지금은 새롭지 않다.

만종을 보고 '우와 예술이야' 하고 감탄하는 것은
박물관에 가서 국보를 보고도 입을 벌리고 감탄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듯이
(그대가 박물관의 안내원이라면 절망하게 된다. 고려청자 국보를 보여줘도 놀라하는 사람 한명도 없다)
교양된 것에 불과하다.

그건 주관적인 미도 아니고
객관적인 미도 아니고
선생님이 가르친 것에 불과하다.

우리 솔직해 지자.
밀레의 만종이 아름답다는 것은
100점을 맞아내기 위한 그대의 전술에 불과하다.

여기가 출발점이다.
익숙한 거짓을 지워버리고
원점에서 새로 시작하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91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881
6135 2등인류 중국 2 김동렬 2022-04-28 2717
6134 호남 가서 약자혐오 이준석 1 김동렬 2024-02-01 2717
6133 구조론과 원자론의 차이 1 김동렬 2019-12-24 2719
6132 연결과 단절 1 김동렬 2022-03-20 2720
6131 바람이 분다 김동렬 2023-08-22 2720
6130 엔트로피 총정리 김동렬 2021-12-16 2721
6129 구조론의 차원 image 김동렬 2021-11-24 2726
6128 역사는 물리학이다 김동렬 2023-03-30 2726
6127 사건과 전략 1 김동렬 2020-12-01 2727
6126 구조학 출범 김동렬 2023-03-31 2728
6125 권력의 자유주의와 보상의 사회주의 1 김동렬 2020-08-09 2730
6124 존재와 인간 김동렬 2022-11-02 2731
6123 진보는 가능한가? 김동렬 2022-01-20 2732
6122 한국인의 뿌리 image 1 김동렬 2022-12-06 2732
6121 게임에의 초대 김동렬 2021-11-21 2733
6120 머피의 법칙 김동렬 2023-04-21 2734
6119 구조론은 진보다 2 김동렬 2020-10-19 2736
6118 방향성과 차원 1 김동렬 2020-02-28 2737
6117 원인은 조절장치다 김동렬 2021-05-02 2738
6116 구조론 한 마디 김동렬 2021-12-01 2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