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3295 vote 0 2011.01.31 (19:44:05)

나는 외로울 때

구조론 공부를 한다.

 

체계의 가지를 줏어 모아

따닥따닥 모닥불을 피우고 있노라면

 

몸이 저절로 따뜻해지고..

별은 등대처럼 내 하늘에서 반짝인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1.01.31 (20:35:10)

나는 삶이 무료하고 고독하고 비참한 이유를 구조론을 통해서 더 적나라하게 보았다.

그것이 더 나를 비참하게 했다.

왜 비참할까?

왜 비참하다고 느껴질까?

왜 끝없이 심연속으로 가라앉는 나를 발견하고 또 발견하게 될까?

나를 본다는 것이 정말 힘겨운 일임을 알았다.

비참한 이유...존엄을 스스로 얻지 못해서...성취감이 없어서..열정을 쏟을 데가 없어서... 쏟을 곳을 찾지를 못해서...

에너지를 발산하지 못해서...인간으로 스스로 홀로 서기를 하지 못해서... 존재를 증명하지 못해서...중심으로 가지 못해서...신을 대면하지 못해서...

모든 존재가 비참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알까...?

존재 스스로 너무도 비참해서 막을 걷어내고 뛰쳐나가고 싶은 심정을 보았을까...?

비참하고 비참하고 너무 비참해서 돌 것 같은 상황을 알까?

속을 본다는 것, 속을 보아 준다는 것... 비참하다고 말할 때 그 말뜻이 뭔지를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왜 구조론은 나를 보게 만들어 나의 비참함에 불을 지르는 것이오.

비참함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왜 이리 노골적으로 보게 만드는 것이오.

이 비참함을 참을 수가 없는데, 도저히 견딜 수가 없는데...이제 출구를 찾아야 하는데...사실 방향을 잘 모르겠는데...

그래도 내가 비참함의 한 가운데 있었다라는 사실을 안 것은 수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러나 그래도 그것을 안 것이 어디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2011.01.31 (21:00:37)

운명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1.01.31 (21:18:15)

운명을 넘어서고 싶다면..발칙한거요?

숙명은 진즉에 버렸으나..때로는 숙명에 끌려가기도 하오.

내힘이 센지 숙명 니힘이 센지 겨뤄보는 한판 승부라는 생각도 드오. 운명은...

역시나 ..그래서 운명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11.02.02 (00:25:29)

나는 운명을 완성하고 싶어서 여길 들락거리오.

 

솔직히 구조론 출간 책만 사놓고 아직 한권도 끝까지 읽지 못했소.

20세 이후에 재미있어 보이는 장편소설들을 읽기 힘들었소.

너무 빠지면 아무것도 못하고 마니까...

사춘기 이후, 책 한권을 제대로 읽기가 힘들었소.

책만 사놓고 목차만 보고 만것이 수두룩하오.

부끄러운 일이어도 할수 없소. 

진득하지 못하고 얇디얇은 나의 기타등등 삽질에도 후회 없소. 

 

어쩌다가 너무나 간절할 때 밤새워 읽는 적은 있으나 자주 그러지 못하오.

(사실은 언제나 간절하오만) 

 

아직까지 순전히 감으로 이해하고 있소.

살아가면서 들락거리면서 이해하고 있는 중이요.

 

몇박며칠 캠프를 갈 수 있는 날을 그리워하고 있소.

 

모든 것은 내가 만들어 왔고 내가 만들어 가는 것이오.

모든 것은 내가 원했던 것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054
1857 출사표 image 12 바람21 2021-09-14 3249
1856 불평이 심한 아이는 어떻게 할까요? 9 이상우 2021-09-01 2840
1855 바른 정의란 무엇인가 1 다음 2021-08-30 2170
1854 데이터 무용론과 3중구조 이금재. 2021-08-25 2444
1853 교사가 가져야할 태도 이상우 2021-08-23 2976
1852 이재명, 이낙연 레인3 2021-08-21 2823
1851 자율주행 시대가 온다 1 이금재. 2021-08-04 3690
1850 언어화의 강력함 2 이금재. 2021-07-28 3987
1849 자율주행은 매우 쉽다 1 이금재. 2021-07-28 3495
1848 머신러닝과 구조론 - 3. 강화학습과 자율주행 1 이금재. 2021-07-25 3251
1847 라고한다의 법칙 다음 2021-07-24 3430
1846 머신러닝과 구조론 - 2. 강화학습 image 2 이금재. 2021-07-23 3692
1845 머신러닝과 구조론 - 1. 지도학습 image 1 이금재. 2021-07-22 3635
1844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39 오리 2021-07-19 4139
1843 빠삐용 이금재. 2021-07-15 3577
1842 무한에 대한 단상 2 다음 2021-07-10 3687
1841 김혜연의 트로트 '뱀이다' 이대로 괜찮은가? 3 수피아 2021-06-15 5251
1840 초끈이론의 의미 1 이금재. 2021-06-05 5199
1839 과학적 실재론 논쟁 image 1 다음 2021-06-03 4910
1838 Growth hacking이라는 사기 윤민 2021-06-03 4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