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출생직후 스트레스가 유전자 변화시켜
연합뉴스 | 입력 2009.11.09 10:01
(서울=연합뉴스) 생애 초기에 충격과 스트레스를 받으면 유전자에 변화가 생겨 평생 행동상의 문제를 겪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BBC 뉴스가 보도했다. 독일 막스 플랑크 정신의학연구소 과학자들은 갓 태어난 생쥐 새끼들을 어미로부터 떼어 놓는 실험을 통해 이런 충격적인 경험이 이들의 장기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갓 태어난 생쥐 새끼들을 하루 3시간씩 열흘 동안 어미로부터 떼어놓고 영양 공급은 제대로 해 주는 매우 약한 스트레스 실험에서도 새끼들은 `버림받은' 느낌을 받았으며 이런 생쥐들은 이후 평생 동안 스트레스 상황에 잘 대처하지 못하며 기억력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학자들은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들이 유전자를 바꾸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면서 이는 생애 초기의 스트레스 경험이 어떻게 장기적인 행동을 `프로그램'하는 지 밝혀주는 분자 수준의 연구라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이런 효과는 초기의 스트레스 경험이 일부 유전자의 DNA를 바꾸는 이른바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으로 이런 변화는 두 단계에 걸쳐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우선 생쥐 새끼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해 바소프레신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DNA를 바꿔놓게 된다. 바소프레신 유전자에는 이로써 영구적인 표지가 남게 되며 이런 표지는 훗날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하도록 프로그램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또 행동과 기억에 문제가 있는 어른 생쥐에 바소프레신의 효과를 차단하는 약물을 주입하면 이들의 행동이 정상으로 돌아온다는 실험 결과를 통해 바소프레신이 행동과 기억 문제와 관련이 있음을 입증했다.
학자들은 생쥐 실험에 이어 사람도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우울증과 같은 문제로 이어지는 지 연구중이다. 이 연구에 대해 영국 브리스톨 대학의 한스 류얼 교수는 "영유아기에 겪은 학대나 방치 등의 나쁜 경험이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 형성에 기여한다는 강력한 증거"라면서 이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의 후성유전학적 메커니즘에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평가했다.
-----------------------------------------------------------------------------------------------------------
암 정복 단서 제공하는 후성학 등장 | ||||
| ||||
| ||||
| ||||
| ||||
유전정보가 염기서열에 담겨있다는 고정관념이 바뀌고 있다. 유전자가 발현되는데는 염기서열과 함께 메틸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DNA에서 메틸화 현상을 밝혀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새로운 학문 후성학을 만나보자. | ||||
| ||||
| ||||
| ||||
포스트게놈시대를 맞이해 게놈프로젝트의 연구결과를 의학이나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일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물체의 기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데, 그 핵심은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의 기능과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일이다.유전자와 단백질 사이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는 지난 수십년 동안 유전학(genetics)을 바탕으로 진행돼 왔다. 즉 어버이로부터 자손에게 전해지는 유전정보는 DNA라는 언어로 쓰여 있으며, DNA 염기서열의 변화와 재조합에 의해 형질의 변화가 발생한다는 관점이다.그러나 DNA 염기서열에 변화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유전자 기능에 변화가 나타나고, 이 변화가 어버이로부터 자손에게 전해진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전현상의 이해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이나 기능의 변화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리고 그 변화가 어떻게 자손에게 전해지는지 밝히는 ‘후성학’(後成學, epigenetics)의 등장이다 |
알려진 내용만으로는 의미있는 점을 포착하기 어렵소.
구조론의 핵심은 1이라 할 수 있는데, 인체 내에 수 조개의 세포가 있더라도
유전자가 복제되는 순간 1개의 세포에서만 1이 되오. 세포가 둘이면 이미 다른 이야기가 되오.
둘을 동시에 통제할 수 없으니깐. 중요한 변화는 그 1의 순간에만 일어나오.
후성학은 부분적인, 제한적인 영향 정도로 보겠소. 자동차로 치면 오너의 튜닝 정도라 할까.
나는 유전자를 통제하는 유전자가 있다고 보오. 물론 추정이지만.
컴퓨터라도 OS를 구동하는 하나가 더 있소. 그 유전자는 특정한 환경에서만 작동한다고 보오.
그 특수유전자가 작동할 때만 대진화가 일어나오. 환경의 변화가 그 특수유전자를 작동하게 하는 키
역할을 한다고 보오. 호르몬이 그 유전자를 작동하게 하는 키 역할을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중요한 점은 작은 후성학적 변화가 축적되어 큰 변화(대진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오.
그냥 큰 변화를 일으키오. 권총의 방아쇠를 당기듯이, 전원의 스위치를 켜듯이. 쾅~! 그런데 위 본문으로 보아서는
작은 변화(소진화)에 해당하므로 구조론적인 해석이 필요한지는 모르겠소.
동굴생물이 빛을 못받아 스트레스를 받아 장님이 되었을까?
태초의 수프에서 태어난 최초의 존재는 자궁속의 태아처럼 생존이 무척 쉬웠을거요. 죽음이나 질병, 천적, 번식도 없었을 테고.
차츰 생존경쟁이 시작되면서 열악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완전한 원형에서 한 페이지씩 뜯어먹으며 진화를 시작했을거요.
유전자에 있어서 출력의 입력전환은 불가능하다고 보오.
후성 유전학은 어쩌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유전학의 내부 메커니즘의 일부가 아닐까 짐작되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