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26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32866
4700 방향성에 목숨을 걸어라 김동렬 2021-10-15 4182
4699 청개구리 현상 김동렬 2023-06-18 4182
4698 출산파업 성공에 적응하라 1 김동렬 2021-08-05 4184
4697 정상에서 만나자 김동렬 2022-11-29 4185
4696 신은 자살했는가? 1 김동렬 2021-08-08 4187
4695 진리 시리즈 총정리 1 김동렬 2021-10-01 4189
4694 비행기가 뜨는 진짜 이유 image 김동렬 2023-05-16 4189
4693 새로운 지평을 열다 1 김동렬 2018-11-25 4190
4692 더러워서 피하는 전여옥 김동렬 2023-05-30 4190
4691 추미애 윤석열 마이클샌델 김동렬 2020-11-26 4192
4690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9-11-09 4193
4689 세계관의 문제 김동렬 2021-12-30 4193
4688 인생은 실전이다. 병만아. 3 김동렬 2019-07-28 4195
4687 한빛미디어 박태웅 4 김동렬 2023-05-09 4196
4686 윤석열의 표정 2 김동렬 2021-09-06 4199
4685 성공의 비결은 운과 의리다 1 김동렬 2018-10-27 4200
4684 신데렐라의 재해석 4 김동렬 2020-02-12 4201
4683 일원론과 다원론 김동렬 2021-07-01 4201
4682 허선아, 개새끼들의 전성시대 김동렬 2020-12-31 4203
4681 윤석열이 정치판에 기어나온 이유 김동렬 2021-04-05 4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