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6022 vote 0 2008.12.10 (10:58:48)

구존론을 공부하다가 한가지 여쭙니다..

우주압력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밀어낸다...에서..

우주압력이 높은쪽의 반대쪽..
즉, 질량이 높은별(또는 우주압력이 낮은곳)에 다른 별들이 충돌하여..
질량들이 계속 더해질경우에 그 질량이 더해짐으로써 우주압력이 더 낮아진다고 봐도 무방한건지요..

그럼 그 척력의 크기도 계속 커짐으로써 평형상태에 도달하는게 더 어려워지는게 아닌지요...

김동렬

2008.12.10 (11:59:29)

표면과 이면이 있습니다.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말이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질량은 지극히 일부일 뿐입니다. 많은 부분이 가려져 있습니다. 그 나머지 가려진 부분에 대해서는 물리학계에 의해 더 연구가 되어야겠지요.

예컨대 고속도로에서 자동차의 속도가 빨라지면 차간거리는 멀어지고 밀도는 낮아집니다. 그러나 총 에너지량이 감소한 것은 아닙니다. 운동에 의해 밀도가 낮아지지 않으면서도 밀도가 낮아지는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풍선에 펑크가 나면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그 부분의 밀도가 낮아집니다. 그러나 풍선내부 공기압의 방향성이 결정되면서 공기압 전체가 그 한 점에 집중됩니다. 엄청난 압력을 받게 되지요.

빽빽하게 들어찬 스치로폴과 널널하게 흩어진 돌은 어느쪽이 더 밀도가 높을까요? 이런 부분은 자연에서 매우 복잡하게 나타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10
66 한국사회를 무식하게 분석하면, 1 르페 2009-01-30 4814
65 한국 진보의 잘못: '합리성'과 '영성' 2 눈내리는 마을 2009-01-29 4907
64 사랑의 구조 1 르페 2009-01-25 4602
63 구조론 아카데미 건의 image 3 도플솔드너 2009-01-24 4340
62 GUJORON VS PARTICLE PHYSICS (based on external force) 3 눈내리는 마을 2009-01-23 5512
61 구조론을 읽고 김동렬 2009-01-20 5518
60 질이라 함은.. 9 도플솔드너 2009-01-20 4892
59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226
58 허전함과 뻑적지근함 2 르페 2009-01-16 5207
57 만나기 1 ahmoo 2009-01-14 4473
56 큰넘을 잡았구려. image 2 dallimz 2009-01-14 4905
55 파일업로드 테스트 image 1 김동렬 2009-01-14 4695
54 아무님의 교육 5단계론에 대한 생각. 3 르페 2009-01-11 4664
53 문화발전의 5단계 1 르페 2009-01-11 5485
52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09-01-11 4399
51 구조분석의 문제. 2 김동렬 2009-01-08 4613
50 과제물 제출 2 꼬치가리 2009-01-07 4378
49 질 입자 운동 량 찾기 image 2 dallimz 2009-01-06 6363
48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4994
47 질문합니다. 4 도플솔드너 2009-01-03 4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