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614 vote 0 2008.03.06 (16:22:06)

구조체의 이해

● 구조체 - 구조체는 겉과 속으로 되어 있다. 겉은 입력과 출력으로 되어 있고 속은 심(心)과 날개로 되어 있다.

 

● 구조체의 세부 - 구조체 (┳)는 입력, 저장, 제어, 연산, 출력을 나타낸다. 각각 원인, 작용, 판정, 반작용, 결과가 된다.

● 에너지의 순환 - 모든 기기, 장치, 도구, 생명체, 자연물은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을 반영하는 형태로 구조체의 기본패턴을 공유한다.

● 구조체의 전개 - 하나의 구조는 다른 구조와 만나 더 큰 구조를 형성한다. 구조체는 tree 모양으로 점점 확대되지만 최초의 패턴은 유지된다.

● 디지털 구조와 아날로그 구조

디지털 구조체는 입구와 출구가 따로 있는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관(管)의 내부에 제어의 저울이 있어서 반복적인 일처리를 한다. 전자시계의 시간 포지션은 언제라도 시간을 가리킨다.

아날로그 구조체는 특정 조건에서 외부의 사물과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관(管) 형태를 성립시킨다. 특정 조건에서 일시적으로 일처리를 한다. 기계시계의 특정 시간 포지션은 하루에 두 번만 그 시간을 가리킨다.

 

구조체의 관찰

자연에서 구조체는 나무를 닮아있다. 나무라면 구조체 (┳)에서 속부분인 ┳ 만 보이고 겉부분인 (  )는 보이지 않는다. 나무를 키우는 태양이나 나무를 지탱하는 흙이 겉의 (  )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나무의 속은 생물학적으로 죽어 있다. 껍질도 죽어 있다. 그런 면에서 나무는 속과 껍질이 (  )를 이루고 살아있는 수관부가 ┳를 이루는 디지털구조체라 할 수 있다. 나무는 하나의 긴 파이프인 것이다.

인간도 입에서 항문까지 하나의 긴 파이프다. 자동차도 주유구에서 머플러까지 하나의 긴 파이프다. 칼이나 망치도 에너지를 운반하는 하나의 파이프다. 에너지가 손잡이로 들어가서 칼날로 빠져나오고 있다.

모든 구조체는 파이프다. 파이프는 관(管)이고 관은 피리다. 피리 속에는 소리를 내는 부분이 있다. ┳ 부분에서 소리를 낸다. reed이고 성대(聲帶)이다. 그것이 외부에 있을 때는 아날로그 구조체가 된다.

물고기나 양서류 중에는 아가미가 겉으로 돌출되어 있는 종이 있다. 동물은 소화관이 있어서 대부분 몸통이 관(管) 형태이지만 소화관이 없이 위액을 먹이에 주입시켜 소화시킨 다음 빨아들이는 미생물이나 거미류도 있다.

칼이 식재료를 썰 때 칼날과 도마는 협착하여 일시적으로 관(管)을 성립시킨다. 야구공은 배트와 충돌하는 순간 관(管)을 성립시킨다. 공과 배트 사이에서 작용, 반작용의 판정이 일어난다. 아날로그 구조체다.

자연물에서 구조체가 잘 관찰되지 않는 이유는 아날로그 구조체의 경우 외부의 사물과 만나 일시적으로 일을 성립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생명체나 혹은 인간이 만든 도구라면 관(管) 형태가 쉽게 관찰된다.

송곳이나 칼이나 전선(電線)은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속이 비어있지 않다. 관(管) 형태가 아닌 것처럼 보여진다. 그러나 전선(電線)이 단단한 금속이라도 전자를 전달하는 하나의 긴 파이프다.

크레인의 유압장치는 분명하게 관(管)의 형태를 보인다. 총알을 전달하는 총도 분명하게 관의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힘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바늘도 관(管)이고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연필도 관(管)이다.

구조체는 겉과 속, 심과 날개, 입력과 출력을 가진다. 겉과 속은 과일의 껍질과 알맹이로 관찰되고 관(管)과 reed로 관찰된다. 심과 날개는 사람의 몸통과 팔다리로 관찰된다. 입력과 출력은 입과 항문으로 관찰된다.

이들 중 하나라도 없는 구조는 없다. 단지 감추어져 있을 뿐이다. 특히 자연물에서는 일이 특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에너지 작용이 주어졌을 때 순간적으로 겉과 속이 성립할 뿐 상시적으로 그것이 드러나 있지 않다.

인간이 만든 도구들은 반복사용에 의해 일이 특정되므로 구조가 잘 드러난다. 무리하면 연필을 이쑤시개로도 쓸 수 있지만 연필은 주로 글쓰기에 사용되므로 글쓰기 기능에 맞추어 구조가 관찰되는 것이다.

산은 언뜻 보아서 나무의 모습을 닮아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뒤집어보면 정확하게 나무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산이나 강의 형태, 혹은 나무의 형태는 지구의 중력을 반영하고 있다. 심이 한쪽으로 몰려 있는 것이다.

도시구조나 허파의 구조, 인터넷의 구조도 tree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도시는 자동차와 사람이 강물처럼 통행하고 허파는 공기가 통행하고 인터넷은 정보가 통행하고 강과 나무는 물과 영양분이 통행한다.

중력이 제거되었을 때 구조는 겉과 속, 심과 날개, 입력과 출력을 반영하는 스위치 모양이다. 스위치는 정확하게 (┳)다. ┳가 한쪽으로 기울면 ON, 반대쪽으로 기울면 OFF된다. 달걀이나 건전지 모양도 마찬가지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89 구조론 집필계획 김동렬 2008-03-28 11974
1888 구조론의 의미 김동렬 2008-03-14 13616
1887 나는 왜 사랑을 말하는가? 김동렬 2008-03-10 15860
» 구조체의 이해(업데됨) image 김동렬 2008-03-06 15614
1885 쿨하다는 것 2 김동렬 2008-03-02 16292
1884 쿨하다는 것 김동렬 2008-03-01 15792
1883 구조론의 의미 김동렬 2008-02-28 12111
1882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08-02-27 11573
1881 구조론과 결정론 김동렬 2008-02-26 16222
1880 구조는 통합형의 모형을 제시한다 김동렬 2008-02-23 13853
1879 아래에 추가 김동렬 2008-02-23 13896
1878 달마실이 가는 길 김동렬 2008-02-20 11252
1877 세 가지 깨달음에 대해 김동렬 2008-02-20 14579
1876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08-02-19 14210
1875 구조론 총론 김동렬 2008-02-13 12616
1874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2-10 16757
1873 소통의 부재 김동렬 2008-02-06 15441
1872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김동렬 2008-02-02 17002
1871 미라이 공업의 경우 김동렬 2008-02-01 17361
1870 글쓰기와 글읽기 김동렬 2008-01-31 13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