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47 vote 1 2023.01.25 (17:10:25)

    세상은 변화다. 

    변화에는 두 가지가 있다.
    그것은 강제적 변화와 자발적 변화다.
    인류는 강제적 변화를 알지만 자발적 변화는 모른다.
    구조론은 닫힌계 안에서 내부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자발적 변화를 추적한다.


    강제적 변화는 외부 요인에 의해 일어난다. 강제적 변화는 의사결정과정이 외부에 노출된다. 원인과 결과를 보면 된다. 원인은 변화가 일어나기 전이고 결과는 변화가 일어난 후다. 변화과정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는다. 원인 단계에서 결과가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정론의 오류에 빠진다.


    자발적 변화는 내부요인에 의해 일어난다. 자발적 변화는 의사결정과정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원인과 결과의 논리만으로는 변화를 추적할 수 없고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전체 의사결정과정을 봐야 한다. 외부에서 같은 작용이 가해지더라도 내부사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비결정론을 따른다.


    자발적 변화는 닫힌계 내부 밸런스의 붕괴에 따른 코어의 이동에 의해 변화가 일어난다. 변화는 하나의 밸런스에서 다른 밸런스로 갈아타는 것이다. 자발적 변화에는 내부에 조절장치가 있다. 강제적 변화는 내부가 없으므로 조절장치가 없다. 자발적 변화의 내부 조절장치는 기능을 가진다.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도구다.


    구조는 만유의 도구다. 우주 안의 모든 존재는 동일한 의사결정구조를 가진다. 구조론은 기능주의다. 기능이야말로 우주 안에서 가장 강력한 언어다. 기능은 조절장치다. 도구와 기능과 조절이야말로 우주를 이해하는 핵심이다.


    참과 거짓을 가려내는 방법은 간단하다. 내부에 기능과 도구와 조절의 의사결정구조가 없으면 그것은 거짓말이다. 어떤 주장을 하든 그 주장 안에 반드시 힘의 방향을 꺾는 구조를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기능은 메커니즘 안에 숨어 있다. 그것은 수평과 수직의 만남으로 되어 있다. 거기에서 힘의 방향이 꺾어진다. 반드시 그것이 있다.


    인류는 많은 도구를 사용하지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생각하는 도구가 없다. 생각의 기능을 조절하는 도구가 인류에게 없다. 구조론이 등판하는 이유다.


    외부를 내부화하는 방법으로 조절한다. 망치와 송곳은 조절할 수 없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모든 기계장치는 그것을 내부로 끌어들인다. 즉 조절한다. 손으로 바느질을 한다면 조절되지 않으므로 솜씨가 필요하지만 재봉틀은 간격이 조절되므로 솜씨와 관계가 없다.


    생물의 진화도 마찬가지다. 종의 진화가 원핵에서 진핵, 단세포에서 다세포, 겉씨에서 속씨, 체외수정에서 체내수정, 갑각류의 겉뼈에서 척추동물의 속뼈로 이행하는 것은 모두 외부에서 확률적으로 일어나는 의사결정을 내부에서의 필연적인 의사결정으로 바꾸는 것이다. 그것은 외부의 것을 내부로 들여오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185 세상은 변화다 김동렬 2023-01-27 1516
6184 조절장치 2 김동렬 2023-01-26 1684
» 자발적 변화 김동렬 2023-01-25 1547
6182 용감한 추신수 김동렬 2023-01-24 1914
6181 인생의 전부 김동렬 2023-01-24 1644
6180 생각의 기술 김동렬 2023-01-24 1504
6179 다이몬의 소리 김동렬 2023-01-23 1815
6178 연결지향적 사고 김동렬 2023-01-20 1783
6177 딜레마 1 김동렬 2023-01-20 1548
6176 연결 김동렬 2023-01-19 1446
6175 빌드업 김동렬 2023-01-19 1833
6174 생각의 도구 1 김동렬 2023-01-18 1479
6173 진리충격 김동렬 2023-01-18 1596
6172 라고한다의 법칙 김동렬 2023-01-17 2003
6171 자기소개 하지마라 김동렬 2023-01-16 2758
6170 양질전환은 없다 1 김동렬 2023-01-14 2069
6169 기본모순 김동렬 2023-01-13 1897
6168 구조문제 김동렬 2023-01-13 1507
6167 무당의 어원 김동렬 2023-01-13 1829
6166 감시자 문제 김동렬 2023-01-12 1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