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1725 vote 0 2022.08.24 (17:49:49)

Chapter 6: Is ‘why’ science?

 

사람들은 '?'라고 질문하는 것이 과학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어릴 때부터 사람들의 그런 태도가 납득되지 않았다. 사실이지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언어의 의미는 맥락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넓은 의미에서 '?'라고 묻는 것이 과학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깊이 들어가면 '?'가 오히려 사유를 방해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필자의 경험으로도 그렇다. ''라고 하니 생각이 콱 막혔다. 골치가 아파졌다. 도무지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

People ask ‘why?’ and regard it as science. I haven’t been able to understand such an attitude since I was young. Of course, it is not very wrong. Because the meaning of language differs depending on the context. In a broad sense, the question of "why?" is a science to some extent, but if you go deep, you can see that 'why?' rather interrupts reasoning. It is the same with my experience. When I said 'why', I couldn't think. I was in trouble. I haven't made any progress.

 

'?'는 아기들이 엄마의 관심을 끌려고 하는 말이다. 아기들은 끝없는 '?'로 엄마를 지키게 한다. 아기는 사건의 내막이 궁금한게 아니고 단순히 마이크를 엄마한테 넘기는 것이다. 핑퐁처럼 랠리를 이어가는 것이다. 아이에게 그것은 즐거운 게임이다. 한편으로 엄마들은 '왜 그랬니?' 하고 아기를 추궁한다. 왜 그랬을까? 동기? 목적? 의도? 심술? 욕심? 그런거 없다. 아이는 그저 사건에 말려든 것이다. 어쩌다보니 그렇게 되었다. 긴밀한 상호작용의 구조에서 탈출하지 못한 것이다. 상호작용의 반은 내 책임이 아닌데 아기는 억울하다. 엄마가 '?' 하고 추궁하면 아기는 울음을 터뜨린다. 엄마는 '왜 대답을 못해?' 하고 다그치지만 아기는 원래 그 상황에서 대답을 못한다.

"Why?" is a word that babies try to attract their mother's attention. Babies let their mothers protect themselves with endless 'why?'. The baby is not curious about the truth of an event. They are simply handing over the answer of the event to their mothers. It is to continue the rally like Pingpong. It's just a fun game for babies. Meanwhile, mothers also question the babies, 'Why did you do that?' Why did the babies do that? Motive? Purpose? Intent? Grumpy? Greed? In fact, there is no such a thing. The child is just being dragged into an event. It just happened by chance. The babies just failed to escape from the structure of close interaction. Half of the interaction is not babies’ responsibility, so babies feel unfair and bursts into tears. The mother presses hard "Why can't you answer?" but the baby can't answer in that situation.

 

어원으로 보면 'because'에는 꾸짖는다는 뜻이 있다. '왜냐하면'은 영어 번역투 문장이고 우리말로는 '꾸짖자면'이 된다. 꾸짖다는 '+짖다'로 꾸의 반복이다. 질문questionque-는 쿠오바디스QuovadisQuo-와 같은데 우리말로는 '?'에 해당한다. '?'를 반복하는게 꾸짖음cause이다. 한자로는 '?'에 해당한다. 그것이 무엇인고? '~?'의 어원은 call인데 원시인이 위험요소를 포착했을 때 동료에게 알리는 고함소리다. 영어 의문사에 많은 Wh-는 까?que-, cause의 변형이다. 왜 나를 호출했느냐다. When, Where, Why, How, Who, Whom, Whose, What에 반복되는 Wh-들 말이다.

The etymology of 'Because' means 'scold'. So Korean '때문에because' is not an accurate translation, but can be translated as '꾸짖다scold'. Scolding꾸짖다 is ‘+짖다’, and the syllable ‘’ is repeated. Question's que- (‘ and que’ has the same pronunciation) is the same as Quovadis's Quo-, which in Korean corresponds to '?' Repeating '?' is scolding(cause). In Chinese characters, it means '?' It corresponds to ‘~?’ of interrogative sentences. The etymology of '?' is call, which is a shout that a primitive person informs a colleague when he or she catches a danger. A lot of ‘Wh-’ in English sentences is the variation of que-(cause). Why did you call me? When, where, why, how, who, whom, whose, and what are the repeatition of ‘wh-’.

 

'?'는 호출의 의미가 있다. '나 불렀어?' 이런 뜻이 된다. 엄마의 추궁하는 '''왜 나를 불러냈니?' '왜 일을 크게 만들어 내 귀에까지 들어오게 만들었니?' '나하고 한바탕 해보자는 거니?' 이런 의미가 되기 쉽다. ?'가 사건이 아니라 사람을 주목하게 하는 것이다. 아이가 엄마의 시선을 피하고 딴전을 피운다. 엄마는 '?'로 제압하여 엄마를 쳐다보게 만든다. 때때로 '?'는 아이에게 상처를 준다. 어린이가 원하는 것은 보호자의 개입인데 말이다. 아기는 엄마가 내편인지 확인하고 싶다. '엄마는 언제나 네 편이란다.' 이런 말을 듣고 싶어한다. 엄마의 ''는 아기를 제압하고 몰아세운다. '네 편은 없어. 항복해.' 아기에게는 이렇게 받아들여진다. 윽박지르는 말로 들린다.

‘Why?’ has a meaning of calling. It’s the same "call me? And there is also "why" that mothers are scolding. "Why did you call me out? Why do you make things big and make me hear? Do you want a fight with me?" This is mother’s ‘why?’. ‘Why’ attracts people’s attention, not an event. The baby avoids the mother's eye and does something else. Sometimes "Why?" hurts the babty. What the baby wants is parental intervention. “I am always on your side.” The baby wants to make sure that the mother is on my side. The mother's 'why' subdues and interrogates the baby. “There is no side of you. Give up.” This is how it is accepted by the baby. It sounds like a bad scolding.

 

왜는 호출이다. '원인이 결과를 호출한다. 거기서 부름과 응답의 대칭이 성립한다. 원인의 추궁은 대칭의 추적이다. AB가 한 배를 타고 있다면 그 배가 호출부호가 된다. 배의 이물에 앉은 사람이 갑자기 일어서면 배가 흔들려서 요동이 고물까지 전달된다. 고물에서 졸고 있던 사람이 깜짝 놀라서 '~?'를 외친다. 그런 거다. AB의 맞물려 돌아가는 메커니즘이 있다. 발견해야 한다.

‘Why’ is a call. The cause calls the effect. That's where the symmetry of call and response is established. The questioning of the cause is the tracking of symmetry. If A and B are in the same boat, it becomes a call sign. When a person sitting on a stem of the boat suddenly stands up, it heaves and fluctuates to a stern. The person who was dozing off in the stern is astonished and shouts ‘?call’ There's a mechanism that works in interlocking with A and B, and we have to find it.


'바람은 왜 부는 것일까?' 이런 질문은 좋지 않다. 바람이 누구를 호출했느냐는 의미다. 나는 '에서으로의 법칙'을 적용해서 문제를 풀곤했다. '바람이 부는 메커니즘이 뭐지?' 이런 질문이 옳다. 바람은 '에서에서 으로으로' 이행한다.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어간다. 기압골의 이동이 기단의 불균일을 균일로 풀어낸다.

The question of 'Why is the wind blowing?' is not good. It means “Who summoned the wind?” I used to solve the problem by applying the law of 'from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echanism of blowing the wind?' is right. The wind goes from 'from' to 'to'. The wind blows from high pressure to low pressure. The movement of trough resolves the unevenness of air mass.

 

배고픔은 호출이고 식사는 응답이다. '?'는 배고픔이고 응답은 밥이다. 세상을 호출과 응답의 메커니즘으로 보는 관점이 사건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왜를 사건의 호출로 보면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니다. 다만 사건을 호출해야 하는데 사람을 호출하므로 분위기가 험악해지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는 자연과학보다 사회과학에 어울리는 말이 될 수 있다.

Hunger is a call and a meal is a response. 'Why?' is hunger and bread is the answer. The view of the world as a mechanism of call and response helps to identify events. It is not very wrong to see ’why‘ as a call to an event. However, the atmosphere is getting worse because the event should be called but the person is called. In that sense, 'why?' is more suitable for social science than natural science.

 

나무위키는 '?''과학에 대한 오해와 통념'의 일종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는 사회과학에 필요한 말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생각이 있는 사람이 쓴 나무위키 항목이다. 왜는 인간의 행위동기를 질문한다. 사회과학은 동기를 규명한다. 그러나 깊이 들어가면 사회과학에도 쓰지 말아야 하는 말이다. 인간의 행위는 대부분 동기가 없다. 동기는 일방작용이고 인간의 행위는 상호작용이기 때문이다. 상호작용은 에너지가 사건을 격발한다.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하는 이유는 어떤 동기나 목적 때문이 아니라 에너지가 있는 사람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환경이 먼저 인간을 집적거렸고 인간은 그냥 반응한 것이다. 왜 그러는게 아니고 거기에 빠진 것이다. 늪에 빠진 사람에게 '너 왜 빠졌니?' 하고 물으면 답답하다. '누군 빠지고 싶어서 빠졌나?' 나는 가만 있었는데 발이 빠지니까 빠진 거지. 설명하기가 힘들다.

Namuwiki criticizes "Why?" as a kind of "misunderstanding and common idea about science." 'Why?' is described as a necessary word for social science. It is a content written by a person who has thoughts. ‘Why’ questions the motive of human behavior, and social science investigates motive. However, if you go deep, you should not use it even in social science. Most of human behavior has no motive. Because motive is one-sided and human behavior is interaction. Energy triggers an event under interaction. The reason why humans behave is not because of any motive or purpose, but because of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f energetic people. The environment touched humans first, and humans just reacted. If some ask 'why are you doing this', the answer is no reason. You shouldn’t ask ‘why’ to a person who falls into a swamp, There is no one who wants to fall into a swamp. He just says “I stayed still, but I already fell into a swamp.” It's hard to explain.


사이언스의 어원은 ''이다. 과학의 근본은 헤아림이다. 나무위키에도 나오지만 그리스인이 유일하게 자연을 계량의 대상으로 보았다고 한다. 동양인은 세상을 동기나 목적으로 보고 뭔가 이득이 되는 요소를 찾으려고 했고, 아랍인은 세상을 신의 뜻으로 보고 신의 의도를 헤아리려고 했고, 그리스인은 유별나게 세상을 계산과 헤아림의 대상으로 봤다고 한다.

The etymology of science is 'calculation'. The basis of science is ‘counting’. It also appears in Namuwiki. It is said that the Greeks were the only ones who saw nature as an object of measurement. The Asians saw the world as a motive or purpose and tried to find something beneficial, the Arabs saw the world as God's will and tried to assume God's intentions, but the Greeks saw the world as an unusual object of calculating and counting.

 

자연은 동기가 없다. '?'가 없다. 자연은 그냥 그렇게 된 거다. 톱니의 맞물림이 있을 뿐이다. '?'라고 묻지 말고 '에서으로'를 살펴야 한다. 자연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중심에서 와서 주변으로 가고, 전체에서 와서 부분으로 가고, 원인에서 와서 결과로 가고, 연결에서 와서 단절로 가고, 시작에서 와서 종결로 간다. 막연히 ''라고 묻지 말고 서로 톱니가 맞물려 돌아가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변화를 계량해야 한다.

Nature has no motive. There is no 'why?'. Nature is just like that. There is only an interlocking of cogs. You should not ask 'why?' but look at 'from-to'. Where does nature come from and where does it go? It goe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from the whole to the part, from the cause to the effect, from the connection to the disconnectio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stead of vaguely asking "why," you should identify the mechanism by which the cogs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measure the change.

 

메커니즘의 의미는 비가역성에 있다. 결과가 다시 원인으로 돌아가는 가역성이 적용되면 순환의 오류에 빠진다. 그 경우 사유는 제 자리에서 맴돌게 된다. 한 걸음도 앞으로 가지 못한다. '에서으로'는 일직선으로 날아가는 화살이다. A에서 B로 활을 쏜다. A B는 톱니가 맞물려서 서로 연동되어 돌아간다.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톱니가 맞물려서 사건이 연동되기 때문이다. 톱니가 맞물리면 방향이 생기고 순방향으로 가지만 역방향으로 못 간다. 톱니가 맞물리는 이유는 닫힌계 때문이다. 닫아걸면 밀착되고 밀착되면 수학적 법칙이 작동하여 일은 그렇게 흘러간다.

The mechanism is irreversible. There is reversibility the effect goes to the cause again, it falls into a circular error. In that case, the reasoning hovers in its place. You can't go a step forward. From-to is an arrow that flies in a straight line. You shoot a bow from A to B. A and B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goes forward. What is happening in the world is because the event is interlocked.When the cogs are interlocked, the event goes a forward direction, but it cannot go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eason why the cogs are interlocked is because it is a closed system. When closed, it becomes close, and when closer, the mathematical law operates, and the interlocking of cogs and forward direction occur.


세상을 메커니즘으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에서으로'가 메커니즘이다. 위치에너지에서 운동에너지로 간다. 깔때기의 입구에서 꽁무니로 간다. 상호작용에서 일방작용으로 간다. 사건에서 사물로 간다. 유체에서 강체로 간다. 주최측에서 선수로 간다. 쏘아진 화살은 일직선으로 날아간다. 왜냐고? 화살을 쐈기 때문이다. 누가 쐈지? 메커니즘이 쐈다. 동력원이 엔진을 쐈다. 광원이 스크린에 빛을 쏜다. 우주는 온통 일방향으로 가는 깔때기의 연결이다.

You have to get the eyes to see the world as a mechanism. 'From-to' is the mechanism. It goes from potential energy to kinetic energy. It goes to the exit from the entrance of the funnel. It goes from interaction to one-side action. It goes from events to objects. It goes from the fluid to the solid. It goes from organizers to players. The shot arrow flies in a straight line. Why? Because it is shot. Who shot it? The mechanism shot. The power source fired the engine. The light source shoots light on the screen. The universe is all about connecting funnels in one direction.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 구조론의 힘 6장: 왜는 과학인가? 천분의일 2022-08-24 1725
172 구조론의 힘 5장: 이론적 확신의 힘 천분의일 2022-08-22 1299
171 구조론의 힘 4장 : 의사결정 메커니즘의 힘 천분의일 2022-08-19 1555
170 구조론의 힘 3장: 만남의 힘 천분의일 2022-08-17 1418
169 구조론의 힘 2장: 도구의 힘 천분의일 2022-08-15 1440
168 구조론의 힘 1장: 차원의 힘 천분의일 2022-08-13 1309
167 쉬운 구조론 11장: 모닥불도 구조가 있다 천분의일 2022-08-11 1302
166 쉬운 구조론 10장: 비행기는 날아야 뜬다 천분의일 2022-08-09 1289
165 쉬운 구조론 9장: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천분의일 2022-08-06 1403
164 쉬운 구조론 8장: 셈이 수에 앞선다 천분의일 2022-08-04 1283
163 쉬운 구조론 7장: 유체가 강체에 앞선다 천분의일 2022-08-02 1196
162 쉬운 구조론 6장: 의리가 차별을 이긴다 천분의일 2022-07-30 1351
161 쉬운 구조론 5장: 닭이 달걀을 앞선다 천분의일 2022-07-27 1394
160 쉬운 구조론 4장: 대칭과 비대칭 천분의일 2022-07-25 1360
159 쉬운구조론 3장: 지식의 탄생 천분의일 2022-07-23 1394
158 쉬운구조론2장: 상대성이론의 위엄 천분의일 2022-07-21 1340
157 쉬운구조론 1장: 메커니즘의 의미 천분의일 2022-07-19 1304
156 구조론칼럼 9장: 의리냐 이념이냐 천분의일 2022-07-17 1139
155 구조론칼럼8장: 탈근대 이후의 전망 천분의일 2022-07-14 908
154 구조론칼럼 7장: 지렛대의 정치 천분의일 2022-07-12 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