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Chapter4: The power of dicision-making mechanism

 

나는 과학자들이 비겁하다고 생각한다. 치열하지 않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자세가 결여되어 있다. 아인슈타인이나 뉴턴도 '영원불변의 우주관'을 믿었다고 한다. 정상우주론이니 하는 것은 그냥 얼버무리는 말이다. ‘조또 알게 뭐냐.’ 이런 거다. 모르니까 모른다고 하는건 괜찮은데 그걸 이론이라고 우기면 안 된다. '잘모름이론.' 말이 돼? 어차피 인간이 세상을 다 알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아는데까지는 알아봐야지. 자세가 글러먹었다. 우리가 자연의 모든 변화를 한 방에 설명하는 보편적 원리에 대한 탐구를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I think scientists are cowards. They don’t do their best. There is no the spirit that "I am not to regret to die in the evening if I listen enlightenment in the morning." Even Einstein and Newton also believed in 'immutable universe'. The steady-state theory is an inaccurate word. It's like, "Who knows? No one knows." You can say you don't know if you don't know, but you shouldn't argue that it's a theory. Have you heard of ‘Don’t know theory’? Does it make sense? Humans don't know the whole world anyway, but we should try to find out the unknown world. The basic attitude is wrong. You must not give up on the quest for universal principles that embrace all the changes in nature.

 

신의 '전지전능'과 비슷하다. 깊이 파고들면 전혀 말이 안 되는 소리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신은 '1+1=3'이 되게 할 수 없다. 신은 자살할 수 없다. 신은 신노릇을 그만둘 수 없다. 수학은 연역이고 연역의 변경은 자기부정이다. 신이 자기가 한 말을 뒤집는 것이다. 전지전능은 초딩들이 생각없이 떠드는 말이다. 그래도 느낌은 전달된다. 영원불변이니 무한이니 하는 알쏭달쏭한 말로 좋은 시를 쓸 수는 있지만 문학과 과학은 다른 거다.

It is similar to the 'almighty' of God. If you study in-depth, you can see that it makes no sense at all. God can‘t make '1 + 1 = 3'. God can't even commit suicide. God can't quit his role by himself. This is a paradox of almighty of what God himself said. Mathematics is deduction and a change of deduction is self-denial. Almighty is a word that a spoiled adult speaks without thinking. Of course, you could express your feelings with unclear words such as being eternal and infinite universe and write good poems.

But literature and science have different places to seek.

 

구조론은 사건으로 본다. 사건은 시작과 끝이 있다. 영원한 시공간은 없다. 자연에 물질운동이 있을 뿐이다. 공간과 시간은 물질의 변화를 설명한다. 바람이 분다. 바람은 있고 '분다'는 없다. '분다'는 바람의 이동을 설명하는 말이다. 중력이니 인력이니 하는건 얼버무리는 말이다. 그냥 '차가 가네. 가는구나.' 하면 무식을 들킨다. 글자 배운 사람이라면 '파워트레인'을 설명해야 한다. 의사결정 메커니즘을 설명해야 한다. 그냥 바람이 부는게 아니고 낮에 공기가 데워져서 팽창했다가 밤에 공기가 수축하므로 공기가 이동하여 계를 균일하게 만드는 것이다. 합당한 메커니즘이 있다.

Gujoron sees the world through an event. The event has a beginning and an end. There is no eternal time and space. There is only material movement in nature. Time and space explain the changes in materials. The wind blows. There is wind and there is no 'blowing'. Blow is a term that explains the movement of the wind. The word, gravity is not unclear word. If you just say, 'The car is on its way,' it turns out to be ignorant. Anyone who has learned letters should be able to explain 'powertrain'. You should be able to explain the decision-making mechanism. It's not windy for no reason. The air heats up during the day and expands, and as the air contracts at night, the air moves to make the system uniform. There is a reasonable mechanism.

 

이쪽으로는 파인만 형님의 동영상이 유명하다. 과학자는 파인만처럼 줄기차게 설명해야 한다. 언어는 전제와 진술이다. 전제의 전제의 전제의 전제로 계속 추궁해 들어가야 한다. 지구 위의 모든 물체는 중력의 영향 아래 무게중심을 가진다. 무게중심의 아래쪽과 위쪽이 싸워서 아랫쪽이 이기는게 중력이다. 무게중심이 지구중심과 대칭을 이룬 상태에서 싸워서 이기는 쪽으로 축을 이동시킨다. 천칭저울이 기우는 것과 같다. 지구가 이기므로 지구쪽으로 중심이 이동하는게 중력이다. 부력은 위쪽이 이긴다. 불을 붙이면 불꽃이 위로 올라간다. 그런데 우주정거장에서는 성냥불이 꺼진다. 이산화탄소가 위로 빠져나가고 산소가 밑으로 들어와야 연소반응이 지속되는데 그러한 순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Feynman's video is famous. Scientists have to explain as persistently as Feynman. Language is a premise and a statement. We must continue to question the premise of the premise of the premise. Every object on Earth has a center of gravity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Gravity is the result that the bottom of the center of gravity won against the top of. Because the earth won, the center is moving toward the earth. While the center of gravity is symmetrical to the center of the earth, the axis moves toward winning after fighting. It's like balance scale is tilted. When buoyancy works, the top wins. When you light a fire, the flame goes up. But the match flame goes out at the space station. In order to continue the combustion reaction, carbon dioxide must escape upward and oxygen must come down. But that kind of cycle doesn't happen in space.


지구 위에서 물체의 무게중심은 가운데인데 중력이 작용하면 보다 아래쪽으로 중심이 이동한다. 내부의 활발한 상호작용 속에서 아래쪽이 이겨서 무게중심이 아래로 이동할 때 보다 안정되며 그렇지 않으면 외력의 작용에 흔들린다. 불안정하게 된다. 불꽃은 왜 위로 오르는가? 물체는 왜 아래로 향하는가? 정확히 같은 메커니즘이다. 흔들면 덜 흔들리는 쪽이 이긴다.

The center of gravity of an object on Earth is in the middle, and when gravity works, the center moves further down. In the active interaction inside, it is more stable when the lower part wins and the center of gravity moves downwards. If not, it becomes shaken and unstable by the action of external forces. Why does the flame go up? Why does the object face down? It is exactly the same mechanism. If you shake some two, the less shaken side wins.

 

화살은 꼬리깃이 뒤로 간다. 더 많이 바람을 맞아서 더 많이 흔들리기 때문이다. 만약 화살을 거꾸로 쏘면? 촉을 활시위에 걸고 깃을 앞으로 보내면? 꼬리깃이 공기를 맞아서 화살이 텀블링을 한다. 총알도 강선이 없으면 흔들리면서 변화구처럼 휘어져 간다. 라이플은 강선이 있고 머스킷은 강선이 없다. 머스킷 유효살상거리는 50미터다. 총알이 날아가며 흔들리므로 롯데의 최동원 선수가 폭포수 커브를 던진 셈으로 되므로 총알의 위력이 라이플의 1/10로 감소한다.

The index fletching of the arrow goes backward. Because it gets more winded up and shake more. But what if you shoot an arrow upside down?What if you pull the string with an arrowhead? What if the arrowhead is pulled on the bowstring and the fletching is sent forward? The fletching is hit by the air and the arrow tumbling. The bullet also bends like a breaking ball without a rifling. The rifle has a wire and the musket does not have a rifling. The effective killing distance of the musket is very short at 50 meters. Like Lotte Choi Dong-won's waterfall curve, the bullet flies and bends sharply and it is reduced by a tenth compared to the power of a rifle.


물체가 가진 소립자 단위의 고유한 각운동량이 무게중심의 이동을 따라 한 방향으로 쏠리는 것이 중력이다. 사람이 갚판 위에 서 있는데 파도가 쳐서 배가 한 쪽으로 기울면? 그 쪽으로 몸이 쏠린다. 물체가 낙하한다는 것은 로터리에서 버스가 커브를 돌 때 관성력에 의해 몸이 쏠리는 것과 같다.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에 의해 무게중심이 안정된 쪽으로 이동한다.

The unique angular momentum in particle units, which is tilt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is called the gravity of an object. What if a person is standing on the deck and the waves hit and the ship tilts to one side? The body leans toward it. The falling of an object has the same principle as the body is tilted by inertia when the bus turns a curve at a rotary. It moves toward a stabl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flocking together nature of the fluid.

 

이긴다는 것은 다른 쪽의 영향력을 무시한다는 말이다. 투수의 공과 타자의 배트가 충돌하면 투수의 4에 타자의 6이 싸워서 타자가 2만큼 이긴다. 공은 타자가 이긴 2만큼 전진한다? 천만에. 이긴 쪽이 10을 전부 가져간다. 투수의 힘을 타자의 배트가 흡수하여 타자가 10의 힘으로 공을 날려보낸다.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이다.

Winning means ignoring the influence of the losing side. When the pitcher's ball collides with the batter's bat, batter’s 6 against the pitcher's 4 wins by two. Then will the ball advance as much as the batter wins? No way. The winner takes all 10. The batter's bat absorbs the pitcher's power and the batter blows the ball with the power of 10. This is the flocking together nature of the fluid.

 

자동차가 달리는 것을 보면 그 안에 엔진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구조론은 중력의 엔진을 모른다. 자동차 내부를 뜯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엔진이 거기에 있다는건 안다. 그 엔진이 증기기관인지 전기모터인지 가솔린기관인지 모르지만 후드를 열어보면 뭔가 있다. 자원의 각운동량을 몰아주는 것이 내부에 있다. 아인슈타인은 그것을 공간의 곡률로 표현한다. 중력은 거리가 아무리 멀어도 공간을 타고 전달된다는 점이 각별하다.

If you look at a running car, you can guess the existence of an engine in it. But Gujoron actually don't know the engine of gravity, because it didn't open the inside of the car. But we do know the engine is there. We do know if the engine is a steam engine, a gasoline engine or an electric motor. There is something flocking together angular momentum of resources on the inside. Einstein expresses it as the curvature of space. It is special that gravity is transmitted through space no matter how far the distance is.

 

구조론은 척력이 먼저라고 말한다. 고유한 각운동량이 물체를 흔들어댄다. 흔드는게 척력이다. 흔들면 안정되려고 한다. 안정된 쪽이 이기는게 인력이다. 한뼘이라도 지구에 가까운 쪽이 이긴다. 무게중심이 가운데보다 아래쪽에 형성되는게 중력이다. 원심분리기를 돌리면 무거운 것이 가운데로 모인다.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에 따라 관성력과 중력은 같다. 원심분리기는 모터로 돌린다. 중력은 고유한 각운동량의 수렴으로 물체를 흔든다. 실제로 물질을 흔드는 주체는? 힘을 전달하는 매개는? 과연 중력자를 교환하고 있는지는 구조론으로 알 수 없다. 그런데 분명히 흔든다. 흔들리는게 있으면 흔드는게 있는 거다. 햇볕이 공기를 흔들어서 바람이 불게 하듯이 물질을 흔들어 중력을 만드는게 있다. 공간을 타고 전달되므로 공간에 뭔가 있다고 보는게 자연스럽다.

Gujoron indicates the priority of repulsion. The unique angular momentum shakes the object, and the shaking is repulsion. Objects try to be stable when it shakes. It is the attraction that the stable side wins. The side close to the earth wins even a handspan. Gravity is formed below the center of gravity. When you turn the centrifuge, the heavy things gather in the center. According to Einstein's equivalence principle, inertia and gravity are the same. The centrifuge is turned on a motor. Gravity shakes an object with the convergence of its own angular momentum. What is the subject that actually shakes the material? The medium that transmits the force? Gujoron doesn’t know whether it is exchanging gravity mediums. But something is definitely being shaken. If there is something being shaken, there is someone it shaking. Just as the sun shakes the air and causes the wind to blow, there is something that creates gravity by shaking the material. Since it is transmitted through space, it is natural to judge that there is something in space.

 

구조론의 의미는 이런 것을 개별적으로 설명할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의사결정 메커니즘 하나로 전부 설명한다는 데 있다. 중력과 관성력은 같다.

Gujoron does not explain these phenomena individually, but explains them all by universal decision-making mechanisms. Gravity and inertia are the sam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3 구조론의 힘 6장: 왜는 과학인가? 천분의일 2022-08-24 1727
172 구조론의 힘 5장: 이론적 확신의 힘 천분의일 2022-08-22 1302
» 구조론의 힘 4장 : 의사결정 메커니즘의 힘 천분의일 2022-08-19 1558
170 구조론의 힘 3장: 만남의 힘 천분의일 2022-08-17 1421
169 구조론의 힘 2장: 도구의 힘 천분의일 2022-08-15 1441
168 구조론의 힘 1장: 차원의 힘 천분의일 2022-08-13 1311
167 쉬운 구조론 11장: 모닥불도 구조가 있다 천분의일 2022-08-11 1304
166 쉬운 구조론 10장: 비행기는 날아야 뜬다 천분의일 2022-08-09 1293
165 쉬운 구조론 9장: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천분의일 2022-08-06 1408
164 쉬운 구조론 8장: 셈이 수에 앞선다 천분의일 2022-08-04 1288
163 쉬운 구조론 7장: 유체가 강체에 앞선다 천분의일 2022-08-02 1201
162 쉬운 구조론 6장: 의리가 차별을 이긴다 천분의일 2022-07-30 1357
161 쉬운 구조론 5장: 닭이 달걀을 앞선다 천분의일 2022-07-27 1398
160 쉬운 구조론 4장: 대칭과 비대칭 천분의일 2022-07-25 1362
159 쉬운구조론 3장: 지식의 탄생 천분의일 2022-07-23 1401
158 쉬운구조론2장: 상대성이론의 위엄 천분의일 2022-07-21 1344
157 쉬운구조론 1장: 메커니즘의 의미 천분의일 2022-07-19 1307
156 구조론칼럼 9장: 의리냐 이념이냐 천분의일 2022-07-17 1141
155 구조론칼럼8장: 탈근대 이후의 전망 천분의일 2022-07-14 911
154 구조론칼럼 7장: 지렛대의 정치 천분의일 2022-07-12 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