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288 vote 0 2022.04.03 (15:24:21)

Chapter 4: Action and cognition

 

철학이 다른 학문과 다른 점은 사건 내부로 들어간다는 점이다. 사물이냐 사건이냐다. 사물은 관측자가 외부를 보고 사건은 상호작용이 내부를 본다. 수학이든 과학이든 우리는 밖에서 그것을 본다. 인간은 외부의 관찰자다. 자연을 관찰하고, 사회를 관찰하고, 인간을 관찰한다. 반면 철학은 사건 내부로 들어간다. 철학은 액션을 반영한다. 여러분이 구조론의 제자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철학은 사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구조론 안으로 들어온 사람과 문간에서 기웃거리는 사람은 신분이 다르다.

Philosophy differs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goes inside the event. The observer sees the outside of objects and the interaction sees the inside of events. That's the difference between events and objects. Whether it's math or science, you see it outside. Humans are an outside observer. They observe nature, observe society, and observe themselves.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goes inside the event. Philosophy reflects action. The reason why you should be a disciple of Gujoron is because of the feature of philosophy that goes into events. People in Gujoron and people hovering outside are different from basic status.

 

객체 - 세계관

주체 - 인생관

게임 - 가치관

The object view of the world

The subject view of life

The game values

 

많은 학문분야들이 철학에서 떨어져 나가고 세계관, 인생관, 가치관이 남아있다. 세계관은 객체요, 인생관은 주체요, 가치관은 둘의 상호작용이다. 세계관은 보이는 것, 인생관은 그것을 보는 사람, 가치관은 둘 사이에서 벌어지는 게임이다. 세계관은 객체인 자연에 대한 태도, 인생관은 주체인 인간에 대한 태도, 가치관은 둘의 상호작용에 대한 태도다.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한 결과는 문명이고, 문명은 진보하며, 진보를 달성하게 하는 것은 의리다. 의리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다. 자유는 그물을 넓게 펼치고 의리는 그물을 조여서 호랑이를 잡는다.

Many academic disciplines have drifted away from philosophy, And view of the world, view of life, and values remained. View of the world is an object, view of life is a subject, and values are an interaction between the two. View of the world is what you see, view of life is a person who sees it, and values are a game between the two. View of the world is an attitude toward nature as an object, view of life is an attitude toward human beings as a subject, and values are an attitude towar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is civilization, civilization progresses, and it is loyal to achieve progress. Loyal is the distance between people. Freedom spreads the net widely, and loyal catches the tiger by tightening the net.

 

인간은 원래 낯선 사람을 만나면 반드시 죽인다. 적을 가져야 위엄이 선다. 자랑할만한 원수 집안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몬태규 집안과 캐플릿 집안만 그런 것이 아니다. 적대진영이 있어야 무리가 결속한다. 적군이 없으면 괴로워 하며 환청을 듣고 북한 땅굴을 찾아다닌다. 인간은 원래 야만한 동물이나 의리를 배워서 인간이 된다.

Humans always kill strangers when they meet by chance. Dignity comes by enemy. There must be a family of enemy to boast about. The Montague family and the Caplet family are just a common example. Only the existence of an enemy can unite the group. When there are no enemies, they are distressed, hearing things, and looking for enemies. Humana are originally a barbaric animal, but they becomes a human by learning loyal.

 

의리는 가족간에도 있고, 동료간에도 있다. 국가와의 의리, 인류와의 의리, 신과의 의리로 존재한다. 생물은 번성이 의리가 되고, 팽이는 도는게 의리가 되고, 자동차는 달리는게 의리가 되고, 나무는 자라는게 의리가 되고, 물은 흐르는게 의리가 된다. 물이 고이면 썩는다. 인간은 사회화 되어야 한다. 사회화 되지 않으면 타인에게 말을 걸 수 없고, 자기 계획을 가질 수 없고, 자체엔진에 점화할 수 없고, 자기 게임을 설계할 수 없다. 누군가의 선수로 고용되어 봉사할 뿐 자신이 게임의 주최측이 될 수 없다.

Loyal is between family members and colleagues. There is also loyal to the nation, mankind, and God. The loyal of life is prosperity, the loyal of tops is rotation, the loyalty of automobiles is running, the loyal of trees is growth, and the loyal of water is flow. Just as stagnant water is bound to rot, people who are not socialized cannot talk to others, have their own plans, ignite their own engines, or design their own games. They can't be the organizer of the game just by being hired and serving as someone's player.

 

의리를 배우지 못하면 타자 앞에서 선제대응이 불가능하므로 누군가를 괴롭혀서 돌아오는 반응에 의해서만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인간은 원래 100명 이하 소집단에 맞추어진 존재이며 70억의 대집단을 감당할 수 없다. 인간은 집단으로부터 영역과 세력과 서열을 얻어 그것을 지렛대로 삼아 의사결정할 수 있다. 타자성을 극복하고 주체성으로 도약하게 하는 것이 권력과 명령이다. 비로소 내가 먼저 상대방에게 말을 걸 수 있게 된다.

A person without loyal cannot do proactivity to others. So he harasses others and only makes decisions based on that reaction. Human group is originally specialized in less than 100 people, so they cannot afford a large group of seven billion. Humans can take territory, power, and rank from groups and make decisions using them as leverage. Power and command are needed to overcome otherness and leap into identity. Then they can talk to others first.

 

철학은 삶의 핸들이다. 영역과 세력과 서열로 핸들링한다. 세계관은 어떤 차를 탈 것인가를 결정하고, 인생관은 누가 핸들을 쥘 것인가를 결정하고, 가치관은 어디로 갈 것인지 행선지를 결정한다. 철학의 실패는 타자화, 대상화다. 자동차 운전석에 앉지 않고 핸들을 쥐지 않고 밖에서 궁시렁 대는 것이다. 그 차를 태야 한다. 그 핸들을 쥐어야 한다. 연애를 책으로 배우는 사람도 있지만 현장에서 직접 부딪혀봐야 안다. 인생은 상대가 있는 게임이다. 내가 어떻게 한다고 해서 되는게 아니고 상대와 합이 맞아야 된다. 정답을 찍는다고 되는게 아니고 밀당을 거치며 호르몬을 공유해야 한다. 이성으로 되는게 아니고 무의식으로 된다. 타고갈 적당한 말을 고르는 것은 이성이고 그 말과 호흡을 맞추는 것은 무의식이다. 호흡이 맞지 않으면 말은 뒷발로 당신을 차버린다.

Philosophy is the wheel of life. It handles by territory, power, and rank. The view of the world determines the type of car, the view of life determines the person who holds the wheel, and the values determine the destination. Philosophy fails by otherness and objectification. It is like you don’t sit in the driver's seat and don’t take the wheel, but grumble outside. It is like learning love through a book. You have to take the car. You have to take the wheel. you can’t know anything without working in the field. Life is a game that has its counterpart. It doesn't work by trying alone, but you have to breathe together with your counterpart. Correct answer is not sufficient, but hormones should be shared through push and pull. Not by reason, but by unconsciousness. Choosing a horse to ride is reason, and keeping in step with the horse is unconsciousness. If you fail in keeping in step, the horse kicks you with its hind legs.

 

구조의 톱니바퀴는 맞물려 돌아간다. 떼면 안 된다.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다. 부분의 합에 없고 전체에 있는 것은 톱니의 맞물린 정도다. 환경과의 맞물림이야말로 외부에서 관측되지 않는 숨은 플러스 알파다. 나의 일부는 나의 바깥에 분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내 몸뚱이로 나를 좁히면 때로는 내 몸도 내 말을 듣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알콜중독, 마약중독, 게임중독 등 각종 중독의 형태로 몸이 나에게 도전한다. 내 안의 반란군들을 제압하는 것이 자아다.

(구조의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간다. 맞물림을 떨어뜨리면 안 된다. 항상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다. 부분의 합에 없지만, 전체에 있는 것이 톱니의 맞물린 정도(강도, 체결력). 환경과의 맞물림은 외부에서 관측되지 않는 숨은 플러스 요소다. 그리고 나의 일부가 나의 바깥에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내 몸이 내 말을 듣지 않는 때가 있지 않은가? 알콜중독, 마약중독, 게임중독과 같은, 여러 중독의 형태로 몸이 나에게 도전한다. 내 안의 반란군들을 제압하는 것이 자아다.)

The cogwheels of Gujo are interlocked and rotated. Don't lose interlocking. The sum of parts is always smaller than the total. The sum of parts has not the fastening force of cogwheels, but the whole has it. The interlocking with environment is a hidden plus factor that is not observed from the outside. And you have to know that some of you exists outside of you. For example, there is a time when your body don’t listen to you at all. The body challenges me in various forms such as alcoholism addiction, drug addiction, and game addiction. But the self inside me overpowers the rebels inside me.

 

철학은 인지의 문제가 아니라 행위의 문제다. 액션은 톱니가 맞물린다. 거기에 동력이 걸려 있다. 내가 어떻게 한다고 되는게 아니고 상대가 랠리를 받아줘야 한다. 랠리를 죽이면 주최측이 개입하여 씹는다. 물리력이 작동하므로 인지와 행위가 어긋날 때는 차라리 행위에 맞추게 된다. 현장에는 돈이 걸려 있다. 인지부조화에 대한 비판은 틀렸다. 행위는 전체이고 인지는 부분이다. 전체가 부분에 앞선다. 톱니가 맞물려 돌아가므로 특별히 훈련된 사람이 아니라면 태도에 행위를 맞출 수 없다. 인간은 사건 속의 동물이고 사건에는 에너지가 걸려있고 인간은 언제나 쫓기고 있다. 늑대에게 쫓기는 사슴처럼 직진만 하다가 죽는다. 홀려 있고 빠져 있고 낚여 있고 갇혀 있고 휩쓸려 있으므로 빠져나와야 한다.

Philosophy is not a matter of cognition but a matter of action. Cogwheels are interlocked by action, and power is supplied there. My opponent has to accept a rally for my actions. If the rally is broken, the organizers intervene and remove the opponent. Cognition and behavior go against each other by being applied of physical force, so it eventually adjusts to action. Money is related in the actual reality. The criticism of cognitive dissonance is wrong. Action is the whole and cognition is the part. The whole is ahead of the part. Cogwheels are interlocked, so you can't fit your behavior to your attitude without special training. Humans are animals in events, energy is supplied in events, and humans are always chased by energy. Like a deer being chased by a wolf, going straight eventually dies. You must escape from being possessed, fallen into, hooked, trapped, and swept away.

 

21세기에 왜 종교가 기승을 부리는가? 철학이 답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학은 지식을 제공한다. 종교는 권력을 제공한다. 지식만으로 부족하고 물리적인 지렛대가 필요하다. 인간에게는 영역과 세력과 서열이 필요하다. 교회가 그것을 준다. 과학이 의리를 가르치지 않기 때문이다. 철학은 의리를 가르치는 과학이다.

Why is religion booming in the 21st century? Because philosophy doesn't give an correct answer. Science provides knowledge, religion provides power. Physical leverage is needed as well as knowledge. Humans need territory, power, and rank. And the church gives it, because science doesn't teach loyal. Philosophy is the science of teaching loyal.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3 의사결정 주체 1장: 인간의 나쁜 결정 천분의일 2022-04-22 296
112 사회의 동원 11장: 자유와 매력 천분의일 2022-04-22 216
111 사회의 동원 10장 의리와 자유 천분의일 2022-04-21 257
110 사건의 해석 10장 일체용 dksnow 2022-04-19 248
109 사회의 동원 9장: 인간선언 천분의일 2022-04-18 223
108 사회의 동원 8장: 작가의 권력 천분의일 2022-04-15 425
107 사건의 해석 9장 사건과 사물 dksnow 2022-04-14 330
106 사회의 동원 7장: 자유 의리 매력 천분의일 2022-04-12 246
105 사회의 동원 6장: 사회 동원 소집 천분의일 2022-04-10 260
104 사건의 해석 8장 공간의 일의성 시간의 인과율 dksnow 2022-04-07 324
103 사회의 동원 5장 동원과 명령 천분의일 2022-04-07 272
» 사회동원론 4장: 행위와 인지 천분의일 2022-04-03 288
101 사건의 해석 7장 공간의 구조 dksnow 2022-04-02 325
100 사회의 동원 3장: 사회동원론 천분의일 2022-04-02 355
99 사건의 해석 6장 조절장치 dksnow 2022-03-31 282
98 사회의 동원 2장: 자유 평등 정의 천분의일 2022-03-31 312
97 사회의 동원 1장: 영역 세력 서열 천분의일 2022-03-30 285
96 사건의 해석 5장 매케니즘 dksnow 2022-03-29 256
95 생각의 기술 9장: 일원론 이차식 다양형 천분의일 2022-03-28 219
94 사건의 해석 4장 확산과 수렴 dksnow 2022-03-27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