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제목 없음


게시판에서 이런 문제에 관한 심도있는 토론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먼저 헤아리셔야 할 것입니다. 너무나 인식의 괴리가 커서 토론이 불능입니다. 약간만 언급한다면.


● 조선시대 유교주의의 일정한 성과는 당시 시대상황에서 성과를 거둘수밖에 없는 중세적(폭압적 사상주입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이단이면, 그냥 목숨을 내놔야하는데요.)


● 이런 식의 이해라면 편견입니다. 예컨대 몽골에서 징기스칸은 마누라를 도둑맞았을 정도로 매일 죽이고 싸웠는데 그 보다는 낫죠.


이걸 현대와 비교한다는건 넌센스고 그 시대의 성취를 인정해야 합니다. 유교주의가 폭압이라는건 어불성설.. 징기스칸의 약탈이 폭압이고 일본의 끝없는 내전이 폭압이죠.


그 시대의 기준으로 보는 것이 맞고 그 시대는 산업이 빈곤한 시대인데 유일한 산업은 전쟁이고, 전쟁보다 지식이 우위에 선 것은 대단히 평가할 만한 사건입니다. 20세기는 산업시대인데 당연히 산업이 지식보다 우위에 선 시대죠.


조선조의 유교주의는 지식이 전쟁을 막은 혁명적인 사건이고, 현대는 산업이 전쟁을 막고 있는데 산업이 위기에 닥치면 다시 전쟁이 발발할 정도로 아슬아슬한 상황이지요. 지금 산업이 붕괴되었다 치고 지식이 전쟁을 막을 수 있다고 보나요? 지금 그 측면에서 조선왕조보다 못합니다.


물론 신분질서에 따른 폭압도 있었지만 이는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생산성이 극도로 저조했던 봉건문명 그 자체의 한계입니다. 봉건의 폭압이고 이런 폭압은 그 시대의 모든 나라에 일반화된 것입니다. 서구가 더 심했지요.


● 제가 글속에서 언급한 주요한 내용은 '근대' 이후의 다양한 (굉장히 복잡해진) 논리, 이론, 그리고 가치관속에서 어떻게 대중이 현명하고 긍정적으로 문명 패러다임을 이끌어 가겠는가였습니다.


● 이런 식의 이해는 지식이 고정되어 있다고 믿는 잘못된 접근입니다. 대중은 산이나 강처럼 고정되어 있는 거고 유일하게 움직이는 것은 지식 뿐이죠. 지식이 움직이지 대중이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 "지식의 업그레이드"는 도올이 요즈음까지 해왔던 TV 강의와 같이 대중적 취향에 일치하는 형태를 취해야하고 앞으로 계속 그러한 대중에게 "쉽고 친근한" 계몽이 이루어져야 하는것을 말씀하시는 건지요.


● 넌센스입니다. 도올이 뭔가를 하고 있는 것은 전혀 아닙니다. 그 양반은 자기 장사하는 거고 차라리 이효리가 더 뭔가를 하고 있지요. 대중에게 쉽고 친근한건 안성기나 박중훈이죠. 도올이라뇨?


● 제가 궁금한것은 인문학이 그와 같은 대중적 취향의 접근을 한다고 해도,


● 역시 넌센스에요. 인문학이 대중적 취향의 접근을 하다뇨? 이런 발상은 아마 지식 매판업자의 번역사업 때문에 상긴 착오인데 우리나라는 주로 중국이나 서구의 텍스트를 번역하다보니 원서와 한글문서 사이의 괴리 때문에 대중적 취향이라는 단어가 다 나오고 난리인거죠. 진짜 학문은 번역을 거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대중적 취향이니 이런 관념이 없겠죠.


● 둘째는, 동렬님께서도 대중에 대한 기대치가 사실 그다지 높지 않으신건 아닌지요.


● 대중은 산이나 강처럼 존재하는 것입니다. 기대하거나 하는 차원이 아니에요. 대중을 통제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넌센스죠. 그건 정치판 이야기고. 정치는 정치고 학문은 학문이고 별개죠.


● 그렇다면 글에서 여러번 언급하신 "한국대중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 (지금 서구 선진국들이 해나가는


● 이건 정치 이야긴데 정치는 테크닉에 불과합니다. 논의가치가 없는 거고. 문명사 차원에서 봐야지요.


● 사실 저는 인간이 문명을 건설한 이유중 하나는 불안(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하나의 거대한 프로젝트였다고 생각합니다.


● 인식의 괴리가 있으니까 나중 토론할 기회가 있기를 기대하고.


저의 정치 이야기는 걍 정치 이야기입니다. 정치는 떼놓고 생각하는 것이 맞습니다. 대중은 산과 바다처럼 존재하는 것이고 그 바다에서 헤엄치기는 지식이라는 물고기의 진화에 달린 것입니다.


즉 문명은 인간지식의 총화인데 운전기술이 진화하는 거지 자동차가 진화하는건 아니라는 말입니다. 아 물론 자동차도 진화하겠지만 그건 하느님 소관이고 하여간 대중을 통제한다는건 넌센스입니다.


대중을 야유하고 가르치고 훈화한다는건 엉뚱한 이야기에요. 그건 문자가 보급되지 않은 나미비아나 우간다에서 먹히는 이야기고. 한국은 그 단계를 졸업했습니다.


정치는 테크닉에 불과한 거고 김용옥 아저씨는 혼자서 테크닉을 연습하고 있는거고 이런 쪽은 본질이 아니에요. 그렇다면 본질은 뭐냐? 역시 지식에서 답이 나옵니다. 근대는 사실 뉴튼에서 시작된 겁니다.


제 2의 뉴튼이 필요한 거죠. 제 2의 뉴튼이 해야할 일은 지식과 지식들 사이의 벽을 무너뜨리는 것입니다. 세분화 되어 각자 따로 놀고 있는 지식을 전체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혁명이 나와야 한다는 거죠.


대중과 지식의 괴리는 지식의 나약함을 반증하는 겁니다. 지식이 죽은 거죠. 지식이 시대의 변화를 못 따라가고 있는 겁니다. 산업이 지식을 추월하고 있고 지금 인류문명의 운명은 산업에 달려있으며 산업이 죽을 때 문명은 죽습니다.


역사는 수천년, 수만년인데 산업화는 기껏 300년입니다. 수천년 단위로 보는 시야가 필요합니다. 산업은 조만간 정체할 것이고 .. 물론 수백년 더 발전하겠지만 역사는 수만년 단위로 봐야 하니까요. 새로운 지식의 출현에 의해 세계는 재질서화 될 것입니다.


서프에 정치적인 글 위주로 올리다보니 제 생각이 오해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정치는 테크닉에 불과한 건데 이건 안쳐주는 거고 진짜는 따로 있지요.


송파노을

2006.03.01 (12:40:45)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0216
2053 범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image 3 김동렬 2014-03-18 8573
2052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569
2051 흑인이 백인처럼 문명을 발달시키지 못한 이유 10 김동렬 2017-08-14 8548
2050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541
2049 거북선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5-10-17 8513
2048 콜럼버스의 달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26 8512
2047 문제란 무엇인가?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7-16 8493
2046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467
»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434
2044 나쁜감독, 김기덕 바이오그라피(1996-2009) image 11 양을 쫓는 모험 2009-11-28 8427
2043 결혼의 조건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2 8403
2042 팬택과 노키아가 망한 이유 3 챠우 2014-11-30 8397
2041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388
2040 구조론으로 본 영어 어원(엑셀파일로 정리함) 1 오세 2010-05-16 8361
2039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344
2038 스티브 잡스의 아이콘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6-22 8343
2037 혈액형과 인류구조관점 4 지여 2010-10-31 8296
2036 전치사 혼 안 내기 image 4 김동렬 2015-10-15 8289
2035 글 잘 쓰는 방법 7 김동렬 2013-10-11 8280
2034 구조론 문제.. 모하비의 그릴 image 44 김동렬 2012-12-25 8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