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012 vote 0 2013.06.30 (00:28:48)

    기본이 안된 분들께


    구조론은 새로운 언어다. 이 대전제에 동의하지 않는 분은 이 사이트에 출입할 권리가 없다. 중요한 것은 구조론의 언어체계를 받아들이는가이다. 같은 말을 백번해도 접수를 못한다면 퇴출이 맞다.


    분명히 말한다. 구조론은 새로운 언어체계다. 이곳에서 이러한 본질을 시비하면 안 된다. 언어라는 말은 룰이라는 말이다. 사실은 시비의 대상이지만 룰은 시비대상이 아니다. 시비하면 안 된다.


    구조론은 절대적으로 맞다. 절대어를 쓰기 때문이다. 상대어를 쓰면 상대적으로 맞다. 그러므로 시비의 대상이 된다. 절대어는 절대로 맞는 말이므로 시비할 수 없다. 비슷한 것으로 수학이 있다.


    수학은 시비대상이 안 된다. 끝없이 이어지는 시비를 끊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수학이다. 왼발이 먼저라는 사람과, 오른발이 먼저라는 사람이 다투면 어째야 하나? 두 다리를 잘라버려야 한다.


    다리가 없으면 왼다리고 오른다리고 간에 시비할 수 없다. 그렇게 최대한 잘라낸 것이 수학이다. 구조론은 구조다. 구조는 뼈대다. 논쟁의 대상인 살을 제거했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논쟁할 수 없다.


    팔로 논쟁하면 팔을 잘라내고, 다리로 논쟁하면 다리를 잘라낸다. 모든 것을 잘라내면 마지막에 하나가 남는다. 심장은 왼심장, 오른심장이 없다. 하나만 남겨서 논쟁을 종식시키는 것이 구조론이다.


    ‘소승은 없다.’ 이것이 하나의 언어라는 사실을 이해못하는 사람과 대화하지 않는다. 대화는 언어로 하는건데 언어를 부정한다면 대화는 불능이다. 언어이므로 옳고 그르고 간에 논쟁할 수 없다.


    ‘일체유심조는 없다.’ 이것은 언어다. 이해했는가? 자연의 현상들은 대개 A가 B를 낳고 다시 B가 A를 낳고, 다시 A가 B를 낳는 식으로 계속 연결된다. 수학을 투입하면 중간은 약분되어 소거된다.


    중간의 반복을 소거하면, 최초의 A와 최후의 B만 남는다. 이때 A와 B를 하나의 사건으로 연결시키면 에너지 입력부는 A다. 그러므로 B는 A에 종속된다. 이때 A를 ‘있다’, B를 ‘하다’라고 한다.


    ◎ 존재 : A와 B로 전개되는 사건이며 A는 있고 B는 한다.


    A는 있고 B는 없다. 빛은 있고 그림자는 없다. 그림자는 ‘있다’의 포지션이 아니라 ‘한다’의 포지션이기 때문이다. 그림자는 존재가 아니라 기능이다. 기능은 나타날 뿐 임의로 통제할 수 없다.


    영사기는 통제할 수 있지만 스크린에 비친 영상은 통제할 수 없다. 통제하려면 시나리오단계, 촬영단계, 편집단계, 상영단계에서 통제해야 한다. 원인측은 통제되고 결과측은 통제되지 않는다.


    빛은 켜거나 끌 수 있지만, 그림자는 켤수도, 끌 수도 없다. 그러므로 없다. 이 규칙을 적용하면 대승은 있고 소승은 한다. 대승은 존재이고 소승은 기능한다. 그러므로 소승은 존재가 없다.


    일체유심조는 없다. 마음은 주체가 아니고 기능이기 때문이다. 나와 너가 만났다면, 그 만남의 장의 존재 그 자체가 그 누군가의 마음에 앞선다. 일체는 마음이 아니라 만남에 달려있다.


    너와 내가 한 공간에 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다. 몸이 마음에 앞선다. 단 몸은 그 육체 뿐 아니라 그 공간, 그 환경 전체를 의미한다.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만나느냐가 마음보다 중요하다.

 

    방송은 방송국에 없고 라디오에 없다. 둘의 사이에 있다. 방송국과 라디오의 만남이 결정한다. 세상만사 라디오 채널 맞추기에 달려 있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채널을 아무리 잘 맞추어도 방송국이 없으면 소용없다.

 

    이 언어를 받아들일 것인가? 싫다면 떠나야 한다. 정글의 부족민은 골치아픈 수학이 없어도 멀쩡하게 잘만 산다. 문학을 하겠다면 문학을 하면 되고 수학을 하겠다면 수학을 하는 거다.


    ‘1+1=0이다.’ 좋다. 그러나 이건 문학이지 수학 아니다. 수학에는 정해진 답이 있다. 수학은 애초에 그럴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구조론도 같다. 구조론이 쓸모있으면 쓰고 아니면 떠나야 한다.


    구조론의 대전제는 존재가 사물이 아니라 사건이라는 거다. 사물은 반드시 짝이 정해져 있다. 칼날이 있으면 손잡이가 있다. 연필이 있으면 종이가 있다. 펜이 있으면 잉크가 있다. 예외는 없다.


    칼이 있으면 도마가 있다. 총이 있으면 총알이 있다. 산이 있으면 강이 있다. 기둥이 있으면 들보가 있다. 천장이 있으면 지붕이 있다. 짝이 없는 경우는 없다. 그러므로 사물은 상대적 존재이다.


    사물은 상대적이므로 상대어로 나타낸다. 짝이 있으므로 내가 잘해도 짝이 잘못하면 실패다. 그러므로 논쟁이 일어난다. 사건은 절대적이므로 절대어로 나타낸다. 짝이 없으므로 실패도 없다.

 

    실패가 없으므로 논쟁도 없다. 구조론은 절대어를 쓰며 절대성의 세계를 규명한다.

투수는 잘 던졌는데 포수가 잘못받았다는 식의 말은 없다. 투수와 포수를 합친 배터리가 잘못한 거다.

 

    구조론은 짝이 없다. 투수의 짝은 포수지만 배터리는 짝이 없다. 산과 강은 하나의 산하다.  총과 총알은 하나의 총기다. 펜과 잉크는 한덩어리로 존재한다. 구조의 세계에는 사건이 존재의 단위가 되므로 짝이 없다. 짝이 없으므로 일원론이다. 구조론은 일원론이므로 소승은 없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사물의 관점이다. 사건으로 보면 달걀은 닭의 일부이므로 닭은 있고 달걀은 한다. 달걀은 닭에 포함될 뿐 독립적 존재자가 아닌 것이다. 그러므로 닭이 먼저다.


    여기서 그래도 그 닭은 달걀에서 나온게 아니냐는 이의제기는 기각한다. 구조론은 에너지의 결을 따르기 때문이다. 에너지를 입력하는 A를 있다로 놓고 에너지를 수용하는 B를 한다로 놓는다.


    그게 구조론 언어다. 이 언어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여기면 받아들이고 필요없다고 생각되면 꺼져야 한다. 구조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시비하는 분은 번짓수를 잘못 짚었으니 퇴출한다.


    이런 이야기는 백번도 더 했을 것이다. 그런데도 반복하게 만든다. 일반학교라면 저학년으로 유급시켜 보내버리면 간단한데 말이다. 구조로 보면 진보는 있고 보수는 한다. 한다는 존재가 아니다.


    보수는 진보의 하부구조다. 보수는 독립적 존재자가 아니므로 없다. 진보가 진보에 성공하거나 혹은 실패하는 것이며 실패에 주목하는게 보수다. 둘을 하나의 사건으로 합쳐보는게 구조론이다.


    이쯤되면 구조론이 말하는 진보의 의미는 국어사전의 사전적 의미와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채야 한다. 언어가 다르다. 구조론 연구소에서는 구조어를 써야 한다. 보수가 있다고 하면 퇴출된다.


    마이산을 동쪽에서 보면 수마이산이 커보이고 서쪽에서 보면 암마이산이 커보인다. 왜 이쪽이냐 저쪽에서 보느냐 말이다. 자로 재보지 않고? 암마이산이 수마이산보다 7미터가 더 높다.


    이쪽에서 보면 이쪽 말이 옳고, 저쪽에서 보면 저쪽 말이 옳은 법이다. 왜 투시도법으로 합쳐보지 않고 각각 나누어 보느냐 말이다. 사물은 나누어서 보고 사건은 합쳐서 본다. 소실점으로 본다.


    사물로 보면 각자의 관점에서 옳지만 사건으로 보면 각자의 관점은 폐기된다. 이쪽에서 보거나 저쪽에서 볼 수 없다. 이쪽과 저쪽을 잘라낸다. 뉴턴은 만유인력을 들이대어 다른 것을 지워버렸다.


    통일장이론은 다른 힘들을 지워버린다. 해가 뜨면 귀신들은 사라진다. 진짜가 나오면 잠정적인 것들은 사라진다. 이미 구조론이 나왔는데도 다른 잡다한 것들이 있다고 우기면 곤란하다.


   

   P.S. 구조론을 종교에 접목하는 행위는 비유하면 .. 한의사가 양의사를 찾아와서 '스테로이드를 뿌렸더니 한약이 잘팔렸어요.' 하고 말하는 것과 같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양의도 한의를 배우고, 한의도 양의를 배우고 서로 돕는 거죠. 좋은게 좋은거 아니겠어요.' 말은 그럴듯하나 이건 범죄다. 사회에는 한의와 양의가 공존하지만 구조론에서는 공존이 불가능하다. 둘은 하나의 사건으로 통합되기 때문이다. 한의는 검증을 거쳐 양의의 하부구조로 편입되는게 맞다. 물론 양의가 거부하겠지만. 구한말이라면 중체서용이나 동도서기 같은 것이다. 단순한 속임수다. 동양문명, 서양문명 따로있는게 아니라 하나의 근대문명이 있을 뿐이고 변방은 중심에 흡수될 뿐이다. 

   

 

    ###

 

   

345678.jpg

 

    구조론이 수학과 같은 일종의 언어임을 받아들이고 이곳에서는 구조어를 써야 합니다. 구조어는 절대어이며 각자의 서로 다른 관점은 폐기됩니다. 기분 나빠도 수학은 수학이고 구조는 구조입니다. 구조어는 A나 B를 보는게 아니라 둘의 사이를 봅니다. 대승과 소승의 공존, 진보와 보수의 공존은 불가능합니다. 객관식 문제의 답은 하나여야 합니다. 우리는 지상에서 왼발과 오른발로 걷지만 구조론의 세계에는 왼발도 없고 오른발도 없습니다. 구조론의 걷는 법은 지렁이처럼 몸을 최대한 늘인 후 머리쪽만 남기고 나머지는 잘라 버리는 방법입니다. 그 외에 다른 걷는 법은 없습니다. 메뚜기가 뛰거나, 말이 달리거나, 물고기가 헤엄치거나, 새가 날거나 다 작용반작용을 이용하며 이때 반작용 대상을 포함하므로 구조어에서는 소거합니다. 그건 과학이 아니라 초딩입니다. 만유인력이 다른 것을 소거하듯이 단번에 소거합니다. 반작용대상까지 사건에 포함시켜 보면 우주 안에 걷는 법은 하나 뿐이며, 왼발도 오른발도 없음을 깨닫게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3.06.30 (07:12:21)

앞으로 댓글을 될 수 있는데로 달지 않겠지만 그래도 궁금해서 달아보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문에서

[분명히 말한다. 구조론은 새로운 언어체계다. 이곳에서 이러한 본질을 시비하면 안 된다.]

이런 논리라면

 

[일체유심조]는 불교 언어입니다. 

심리학에서도 이 말의 뜻을 실험을 통해 이미 증명을 했습니다.

이 말이 맞다  틀리다를 떠나 절대어를 쓰는 구조론에서 일반언어를 가져와 비판하는 혼동을 주지 않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30 (08:11:54)

제가 무슨 답을 한들

당신이 이해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절대어에는 상대어가 포함되므로

구조론은 어떤 언어든 가져와서 쓸 수 있지만

 

상대어는 절대어를 가져와서 쓸 수 없습니다.

언제나 큰 그릇에 작은 그릇을 담을 뿐 그 역의 가능성은 없습니다.

 

그러니까 좋은 언어를 써야죠.

 

드론은 일방적으로 상대를 때릴 수 있고

상대는 드론을 공격할 수 없습니다.

 

드론은 아프가니스탄에 있는듯 보이지만

드론의 실체는 미국에 있으니까요.

 

그래서 오바마가 프랑스 방문때 욕먹은 거지요.

구조론은 일방적으로 상대를 때릴 수 있습니다.

 

새로운 것은 원래 그렇습니다.

총이든 대포든 일방적으로 상대를 때립니다.

 

방어하려면 일단 총을 받아들일 밖에.

총으로만 총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구조론으로만 구조론을 칠 수 있습니다.

수학자만 수학자를 비난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3.06.30 (08:35:57)

언어는 의사 전달의 도구일뿐이죠.

같은 단어를 쓴다하여도 사람마다 그 언어에 담긴 감정까지는 같지 않을테니

그 언어를 받아드리고 말하는데는 100% 같다고 말하기가 어렵지 않을까요?

닫힌 틀을 놓고 모든 것을 제로에서 시작한다 하여도

시간이 지나면서 언어의 의미는 곧 다양해 질수 밖에 없습니다.

구조론에서 절대어를 쓴다고 하지만 실상은 99.99999%는 일반언어입니다.

저같이 일반언어를 쓰는 사람을 위해

모든 설명을 구조론의 절대어로만 설명해 주면 고맙겠습니다.

 

굳이 지금의 상황을 구조론으로 본다면

닫힌계에 밀도(에너지)를 가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30 (08:48:09)

당신은 절대어, 일반어 뜻도 모릅니다.

제 글을 제대로 안 읽었다는 증거죠.


수학자는 아라비아 숫자만 씁니까?

절대어는 단어가 아니라 문장의 표현방식입니다.


당신은 언어라는 단어의 뜻도 모르니까 도무지 대화가 안 되는 겁니다.

당신은 단어와 문장을 구분할 수준이 안 됩니다.


헛소리 그만하고 꺼져주세요.

지금 님은 초딩수준입니다.


절대어라는 말의 뜻을 당신은 이해못했습니다.

앞으로 이해하게 될 가능성도 없습니다.


참고로 말하면 양의는 한의를 칠 수 있지만 한의는 양의를 칠 수 없습니다.

한의사가 한약을 발명해도 특허를 못냅니다.


한의가 한약을 발명하면 양의가 그것을 빼앗아 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건 법제도의 문제가 아니고 원리가 그런 거에요.


큰 것은 작은 것을 빼앗게 되어 있습니다.

과학은 종교를 치게 되어 있으나 그 역은 없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30 (10:05:05)

 

절대어 : '암마이산이 수마이산보다 7미터 더 높다.'

상대어 : '동쪽에서 보면 수마이산이 높고, 서쪽에서 보면 암마이산이 높다.'

 

절대어 : '일체는 만남에 달려 있다.'

상대어 : '일체는 마음에 달려 있다.'

 

이 차이를 못 알아듣는 사람은 여기서 질문할 자격이 없습니다.

마음은 1로 성립하지만 만남은 2로 성립합니다.

 

상대어를 쓰는 사람은 곤란해지면 단어의 의미를 슬쩍 바꾸는 트릭을 씁니다.

언어는 사람마다 의미가 다르다며 물타기를 시도하는 거죠.

 

마치 한의사가 십전대보탕에 이것저것 온갖 약재를 다 넣어놓고

아무거나 하나라도 걸려라 하는 것과 같죠.

 

요즘 고삼 부모들은 십전대보탕 대신 홍삼을 사줍니다.

웅담, 녹용, 당귀, 감초, 복령 다 필요없고 홍삼 하나면 충분하다는 거죠.

 

과거

- '우리 애가 고삼이라 공부하다가 기가 허해져서요.'

- '십전대보탕을 처방해 드리지요.'

 

현재

- '우리 애가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밤새 딸쳐서 피골이 상접하니 홍삼을 멕여야겠군.'

- 한의사는 역할없음. 의원 폐업함.

 

근데 사실은 마황을 먹으면 가슴이 두근거려서 공부에 집중할 수 있음.

그냥 시험 전날 에너지 드링크나 먹으면 됨. 박카스라도.

 

마음은 1이므로 짝을 필요로 하지만

만남은 2이므로 이미 짝이 있습니다.

 

마음은 우주를 설명할 수 없지만

만남은 우주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기꾼은 이 지점에서 단어 뜻 바꾸기 시도. 내가 말한 마음은 만남 바로 그거라니깐.)

 

법륜의 사기 설법을 듣고 치유가 된 사람은

그 말이 옳기 때문이 아니라 법륜을 만났기 때문에 치유가 된 것이며

 

법륜이 무슨 일로 죄를 지어 명성이 추락하면 그날로 재발합니다.

종교에서 무언가 얻은 사람은 종교의 교리가 옳기 때문이 아니라

 

종교단체에서의 만남 때문에 얻은 것입니다.

만나지 않고 혼자 껍죽대는게 소승입니다.

 

지금 한의학을 전공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그닥 현명한 생각이 아닙니다.

마음으로 모두 설명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그닥 현명한 생각이 아닙니다.

 

새로운 것으로 낡은 것을 보강하려는 나쁜 버릇은 옛날부터 있었습니다.

근대문물을 받아들여 봉건제도를 더욱 강화한 일본의 대정봉환이 그렇습니다.

 

새로운 것이 나타나면 낡은 것은 패대기쳐야 합니다.

새 술을 낡은 술과 섞어서 낡은 술을 재고 떨이하려는 태도는 비열합니다.

 

그건 한의사가 한약재에 스테로이드를 섞어서 파는 것과 같고

중국집에서 아편을 음식에 몰래 넣는 것과 같습니다.

 

절대 허용이 안 됩니다.

비열하기 때문입니다.

 

구조론을 배우면 주역으로 점 치는 실력이 두 배로 늘어납니다.

이런건 절대 허용이 안 됩니다.

 

다윈의 진화론으로 인종주의를 만들어낸 스펜서와 같습니다.

때려죽일 범죄행위입니다.

 

지금 이 상황은 한의사가 양의사의 CT나 MRI 좀 쓰려고 하니

양의사가 거부하는 것과 정확히 같습니다.

 

근데 양의사는 한의사의 것을 매우 많이 뺏어갑니다.

한의사는 암치료제를 발명해도 특허를 못 내기 때문입니다.

 

근데 원래 이렇게 가는게 맞습니다.

이건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원리의 문제입니다.

[레벨:8]상동

2013.07.01 (06:17:30)

가지가 없으면 열매도 없다.

그릇이 없으면 음식도 없다.

대승이 없으면 소승도 없다.

진보가 없으면 보수도 없다.

질문이 없으면 정답도 없다.

전제가 없으면 진술도 없다.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전개의 문제이며,

전개를 거듭할수록 에너지(생명력)은 사라집니다.

[레벨:6]산초

2013.07.01 (12:02:55)

[일원론]이라는 문을 넘어가기가 어렵다는 투정으로 들림...

[레벨:11]큰바위

2013.07.04 (00:02:41)

내가 수학을 못하니까 수학이 잘못된 거라고 말하는 사람도

결국은 수학의 원리를 따라 살아가는 자신을 보지 못합니다. 


그렇게 사는 사람은 그렇게 살도록 두어야 하는데, 

문제는 자신들이 가진 알량한 믿음으로 수학의 원리를 두들겨 패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거지요. 


늘 하는 말이지만, 벌건 대낮에 손전등 들고 다니면서 새로운 것을 발견한 양 소리칠 필요는 없는거죠. 


해가 뜨면 날이 밝는 거지, 날이 밝아서 해가 뜨는 것은 아니지요. 

해가 뜨면 날이 밝는 건데, 커튼 닫아놓고 한 밤중이라면 곤란한 거죠.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이야기하지 않겠다. 

듣는 사람은 들어라. 

말해 줘도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그만 해라....... 이런 말은 사람들이 아주 싫어하는 말이지만, 진리입니다. 


구조론의 매력은 여기에 있는 건데, 그걸 싫어하면 바닥을 떠야죠. 


대부분 뭔가 배우려고 자신 것을 비우다가도 뭔가 다시 채워 넣으려 할 때, 제대로된 것을 채우지 못하면 그 공허함을 이기지못해 싸구려를 대신 갖다 놓습니다. 


모조품은 그럴듯해 보이나, 값은 쳐주지 않습니다. 

이사할 때 다 갖가 버려야 하는 쓰레기일 뿐입니다. 


모처럼 구조론의 어투, 

표현법을 시원하게 말씀해 주셨군요. 


대륙 횡단 여행을 하다가 모처럼 호텔에서 글을 읽고 힘을 얻습니다. 

[레벨:2]하늘곳간

2013.07.05 (13:24:18)

"그는 마스터였고, 그가 하는 일은 지혜를 구하는 데 필요한 자기만의 방법을 각자에게 알려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이상을 원했다. 그들은 안내자를 원했다. 그들은 '어두운 밤'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리고 밤의 어둠 속에서는 그 어떤 안내자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불빛으로 자신이 보고자 하는 것밖에 비추지 못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리고 어쩌다 그 불빛이 꺼지기라도 하면, 그들은 돌아오는 길을 찾지 못해 헤맬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안내자를 필요로 했다. 좋은 마스터가 되기 위해 그 역시 다른 사람들의 요구를 받아들여야 했다."(파울로 코헬료의 '브리다' 중에서)

 

저 역시 기본이 안됨에도 불구하고, 아니 그렇기 때문에 더...지혜를 구하고자 자주 오게 되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592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라. image 12 김동렬 2016-08-16 8730
3591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8-15 6415
3590 왜 여성은 아름다운가? image 14 김동렬 2016-08-12 9640
3589 사랑 127, 사랑이 정답이다 image 2 김동렬 2016-08-11 6229
3588 환경이 역사를 결정한다 image 김동렬 2016-08-09 5773
3587 인간은 왜 잘생겼을까? image 2 김동렬 2016-08-08 9034
3586 역사는 진화의 역사다 image 1 김동렬 2016-08-08 6038
3585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image 5 김동렬 2016-08-07 6121
3584 누가 역사의 승리자인가? image 3 김동렬 2016-08-06 5898
3583 강자의 철학으로 갈아타라 image 김동렬 2016-08-05 5986
3582 구조론자의 교양을 학습하라 image 김동렬 2016-08-04 6838
3581 서양철학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6-08-02 8735
3580 사랑 126, 첫 키스의 추억 image 1 김동렬 2016-08-01 5608
3579 주최측의 의도를 헤아려라 image 1 김동렬 2016-07-31 6223
3578 인생의 비애가 그곳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7-29 6688
3577 신간 ‘공자 대 노자’를 내면서 image 6 김동렬 2016-07-28 21787
3576 사랑 125, 빛과 그림자 image 1 김동렬 2016-07-26 5306
3575 왜 공자이고 또 노자인가? image 5 김동렬 2016-07-25 5602
3574 진리의 매개체는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07-25 5184
3573 사랑 124, 진격은 쾌속이 정답 1 김동렬 2016-07-21 5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