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8894 vote 0 2012.10.21 (20:56:00)

87.JPG

    보호되어야 할 ‘약한 고리’는 한 마디로 민감한 지점이다. 절대로 건드리면 안 되는, 아니 건드리려면 아는 사람이 제대로 건드려줘야 하는, 모르는 사람이 건드리면 망치게 되지만, 임자 만나면 제대로 폭발해주는 그런 곳이다. 누구에게나 그것은 있다. 그것이 소통의 무기다. 거기서 포지션이 나온다. 그것으로 팀플레이는 가능하다. 관계를 맺고 관계를 바꾸며 더욱 높은 단계로 올라선다.

 

    83.JPG     도공의 손과 도자기의 흙이 수평으로 만날 때 작품은 이루어진다. 세상 모든 관계가 그러하다. 수직으로 만나도 수평으로 겹치는 부분이 조금은 있다. 그 겹쳐진 크기 만큼 이루어진다. 신과 인간이 만나면 수직으로 만나는 거다. 조금도 겹치지 못한다면 이루어지는 것은 없다. 만남의 의미가 없다.

 

    클린턴은 고교 때 우수학생으로 선발되어 케네디를 만났다. 수평적은 만남은 아니었다. 그러나 관계는 성립되었다. 겹치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비록 서 있는 위치는 달랐으나 그들의 이상주의가 같았던 것이다. 그렇게 같은 만큼 소리가 난다. 대등한 만큼 이루어진다.

 

 85.JPG

     두 입술이 만나지만 두 사람이 만난다. 두 사람이 만나지만 두 말이 만난다. 하늘과 바다가 만난다. 두 개의 우주가 만난다. 세상이 모두 만난다. 그러므로 그대 그 만남의 순간에는 숨 죽여야 한다. 그 빛나는 한 순간에 동작그만이어야 한다. 관계가 탄생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92.JPG     만남의 순간은 위태롭다. 내가 너를 만날 때, 나의 세상과 너의 세상이 만나기 때문이다. 신과 만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신차리지 않으면 안 된다.

 

    86.JPG     그 만남의 한 순간에 판단하고 선택해야 한다. 그러므로 위태롭다. 왜냐하면 운명이 바뀔 수도 있으니까. 내가 너를 만날 때 나의 미래와 너의 미래도 함께 만나고 있으니까. 그 현장에서 미래가 결정되고 있다. 역사는 이루어지고 있다.

 

         95.JPG     관계로부터 사건이 도출된다. 사건은 보이나 관계는 보이지 않는다. 몸은 보이나 마음은 보이지 않는다. 몸은 사건을 연출하고 마음은 관계를 연출한다. 보이지 않는 관계가 먼저고 사건은 따른다. 마음이 먼저고 몸은 따른다.

 

    상부구조가 보일 때도 있다. 엔진이 바퀴를 굴린다면 엔진은 상부구조이고 바퀴는 하부구조다. 엔진도 보이고 바퀴도 보인다. 엔진은 관계다. 엔진은 휘발유와 만나고 불꽃과 운전자와 만난다. 상부구조가 보이는 이유는 반복작업을 하도록 세팅되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처음 당하는 일이다. 첫 만남, 첫 인사, 첫 출근, 첫 데이트 때는 그것이 세팅되어 있지 않다. 그때는 순수한 관계로만 존재한다. 그래서 위태롭다.

 

    엔진 안에 있어야 할 실린더가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셈이다. 그 민감하고 위태로운 실린더를 보호할 때 자동차는 만들어진다. 우리는 이미 만들어진 자동차를 운전하므로 그 위태로운 지점을 망각한다. 그러나 인생의 여정에서 운명처럼 위태로움 안에 선다. 왜? 새로운 일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인터넷의 등장, 스마트폰의 등장, 새 대통령의 등장처럼 새로운 일이 일어나면 처음부터 다시 세팅해야 하기 때문이다. 새 날에 새 사람을 새로 만나야 하기 때문이다.

 

97.JPG     자동차 엔진은 단단한 실린더 벽과 넉넉한 냉각수로 보호되고 있지만 인생의 만남은 위태롭기 그지 없다.

 

    98.JPG     계에 밀도가 걸려 있을 때 그 안전한 실린더벽이 만들어지는 순간이다. 전쟁이 발발할 때, 위기가 닥쳐올 때, 재난이 일어날 때, 영화의 한 장면처럼 우리는 위태로움 안에 선다. 그리고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나게 된다. 진보하게 된다.

 

    99.jpg     자기 안에 그러한 위태로움을 갖추어야 한다. 도망가지 말아야 한다. 10만 청중이 보는 앞에서 소주 한 병을 원샷 때려버린 싸이처럼 말이다. 한 순간에 일천만 관객을 적으로 돌려버린 김기덕처럼 말이다. 그럴 때 세상이 손을 내밀어 그대를 구원한다. 약한 고리를 보호한다. 실린더를 보호한다. 그것이 진보다. 그것이 스타일이다. 그대는 영화의 주인공처럼 의연해야 한다. 흔들리지 말자.

 

    90.JPG     구조는 대칭으로 출발한다. 대칭은 만남이다. 그러므로 구조는 사물에 있지만 마음에도 같은 것이 있다. 복제되어 있다. 그래서 통한다. 그것이 관계다.

 

    91.JPG     문법에 앞장서는 주어가 있고 뒤따르는 동사가 있듯이 마음에도 기관차와 객차가 있다. 관계의 소실점과 방향성이 있다. 앞서는 자 있고 따르는 자 있다. 피아노가 앞서가면 바이얼린과 첼로가 뒤따른다. 그 안에 질서가 있다. 관계의 문법을 따를 때 소통은 이루어진다.

 

    93.JPG

 

    94.JPG

 

   96.JPG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만약 여기서 밀리면 내 인생 전체가 통째로 다 밀린다고 생각되는 지점이 있다. 절대로 굽힐 수 없는 어떤 운명의 지점이 있다. 남의 시선을 의식하면 당장은 편하겠지만 내가 내가 아니게 되어, 내가 변질되어, 내가 내가 아닌 다른 어떤 존재가 되어, 내가 나를 잃어버릴 거 같은 지점이 있다.

 

    숨을 쉴 수도 없을 것 같은 지점이 있다. 견딜 수 없을 것 같은 지점이 있다. 그 지점을 고수할 때 스타일은 얻어진다. 그렇게 자기다움은 발견된다.

 

    그 지점을 고수하면 필연적으로 세상과 마찰한다. 세상과 마찰할 때 약한 고리가 드러난다. 약한 고리를 보호하기 위해 남들이 달려온다. 그들과 함께 하면 자연히 팀플레이가 된다. 조개가 키틴질의 막을 씌워 진주를 보호하듯이 팀플레이가 이루어질 때 그 지점은 점점 발달한다. 건드리면 소리가 난다. 악기의 현이 만들어진다. 그 지점은 선과 악, 강과 약, 성과 속, 빛과 어둠이 만나는 접점이 된다. 그 둘의 공존은 위태롭다. 그 위태로운 이중성이 부각될때 캐릭터는 살아난다. 드라마는 호흡한다. 모든 것은 거기서 비롯된다. 관계의 질서가 탄생한다.

 

    그렇게 세상과 소통하는 자기만의 북소리를 가져야 한다. 자기만의 울림통을 가져야 한다. 그 강약과 그 완급과 그 장단과 그 음양과 그  선악과 그 성속을 자유롭게 조율할 수 있어야 한다. 악사가 활로 현을 켜듯이 밀고 당기고, 조이고 풀며 자유자재로 연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냥 나 이런 사람이야' 하고 고집피울 것이 아니라, 김기덕 감독이 숨을 때 숨고 나설때 나서며 세상을 통째로 낚아보이듯이. 싸이가 튈때 튀고 점잔뺄 때 점잔빼듯이 그것을 희롱해 보여야 한다. 그것이 아트다. 그것이 스타일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566 계속 가는 자가 승리자다 1 김동렬 2016-07-13 5479
3565 나머지의 나머지 6 김동렬 2016-07-13 5259
3564 나머지 이야기 2 김동렬 2016-07-12 5047
3563 진짜 이야기 마지막 6 김동렬 2016-07-11 5661
3562 진짜 이야기는 이런 거다 김동렬 2016-07-09 5827
3561 평론하는 비겁자는 되지 마라 김동렬 2016-07-09 4895
3560 진짜 이야기를 하자 4 김동렬 2016-07-08 5604
3559 보편 평등 민주 자본 사회 김동렬 2016-07-07 5467
3558 사랑 120, 갈 길이 멀다 1 김동렬 2016-07-07 4848
3557 모순이 있어야 정상이다 1 김동렬 2016-07-06 5487
3556 알아서 해라 5 김동렬 2016-07-05 6156
3555 공자의 최종결론 김동렬 2016-07-05 5486
3554 승리자의 길로 가야 한다 김동렬 2016-06-29 5922
3553 공자선생의 정답 김동렬 2016-06-28 5476
3552 사랑 119, 사랑의 통제권 1 김동렬 2016-06-27 4927
3551 대화가 끝나는 지점 image 3 김동렬 2016-06-23 6450
3550 논어 더보기 2 김동렬 2016-06-21 6006
3549 사랑 118, 결단의 에너지 1 김동렬 2016-06-21 5562
3548 서세원과 조영남 2 김동렬 2016-06-20 6311
3547 구조론의 원점 김동렬 2016-06-17 5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