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041 vote 0 2005.09.06 (18:14:49)

 


퇴계는 넘치나 율곡은 없다


퇴계는 풍기군수 등 말직을 전전하다가 곧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조정이 부르면 마지못해 응했다가 곧 핑계를 대고 물러났다. 그러기를 무수히 반복하였다.


말년에 있었던 퇴계의 큰 벼슬은 대개 문서상으로만 이루어진 명목상의 것이다.


퇴계는 조정에서 별로 한 일이 없지만 그의 존재 자체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훗날 퇴계가 키운 유림이 조정을 장악했음은 물론이다.


반면 율곡은 중앙관서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선조를 다그쳐 무수한 개혁안을 내놓았다. 불행하게도 그의 개혁안은 대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기서 대비되는 두 인물의 정치스타일. 퇴계는 벼슬을 마다하고 물러남으로서 할 말을 했고, 율곡은 적극적으로 개혁안을 제시하고 임금을 가르쳤다.


어느 쪽이 더 나을까? 필자의 견해로는 둘 다 좋지만 율곡이 더 옳다. 참여지성의 전범은 퇴계가 아니라 율곡에 있다.


비록 선조가 율곡의 개혁안을 다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율곡이 끊임없이 조정에 긴장을 불어넣었기에 그나마 조선이 망하지 않고 500년간 해먹은 것이다.


오늘날 지식인 중에 퇴계는 많고 율곡은 없다. 물러나서 뒷말하는 자는 많고 나서서 개혁안을 제시하는 이는 없다.


완고한 원칙가는 많고 유연한 협상가는 없다. 왜인가? 율곡의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대단한 스트레스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긴장의 연속이다.


퇴계는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을 지고 자신을 반성하며 물러났다. 율곡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한걸음 먼저 내다보고 문제의 발생지점을 폭파하였다.


정치는 스트레스 그 자체다. 정치의 스트레스를 잘도 견뎌내는 뻔뻔스러운 인간들은 죄 악당이고, 그 스트레스를 못견뎌 하는 착한 인간들은 퇴계처럼 도망치고 만다.


퇴계는 쉽고 율곡은 어려운 것이다. 본래 그렇다. 정치 신경쓰다 위장병 걸려버린 필자 역시 퇴계처럼 도망치고만 싶으니.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47 지성과 집단지성 2 김동렬 2010-08-25 14874
2146 지성이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0-08-24 14221
2145 질과 밀도 3 김동렬 2010-08-22 14198
2144 푸앙카레의 추측과 구조진화론 image 6 김동렬 2010-08-16 14802
2143 진선미주성 추가설명 image 9 김동렬 2010-08-11 16491
2142 덧붙임 2 김동렬 2010-08-11 14109
2141 화두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10-08-10 16753
2140 덧붙여 설명함 image 9 김동렬 2010-08-09 11219
2139 미에 대한 관점 4 김동렬 2010-08-08 15118
2138 진선미에 대해서 2 김동렬 2010-08-05 17775
2137 선암마을의 지형 image 2 김동렬 2010-07-30 16003
2136 베르누이 효과 image 4 김동렬 2010-07-28 19983
2135 진보의 구조 image 4 김동렬 2010-07-22 13250
2134 추가할 내용 image 김동렬 2010-07-18 18096
2133 4차원의 이해 image 2 김동렬 2010-07-15 17104
2132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김동렬 2010-07-15 16385
2131 진화형 이론모형 1 김동렬 2010-07-13 16493
2130 구조의 만남 image 김동렬 2010-07-12 17879
2129 동영상형 이론모형 2 김동렬 2010-07-06 14671
2128 블랙스완 2 김동렬 2010-07-05 14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