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read 1154 vote 0 2022.01.28 (08:12:52)

 안녕하세요. 회원 여러분. 
구조론 사전  다음 카페 ( https://cafe.daum.net/GUJORON/YDY4 ) "구조" 꼭지  번역물을 한곳에 모았습니다. 
소수의 회원분들이 각자  번역한 내용이라  오역이나 개선안이 반드시 있을거 같아 영어 번역에 관심 있는 다른 회원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구조 1장, 엔트로피 양질전화

Entrophy & The transition from quantity to quality 


인간이 저지르는 대부분의 오판은 에너지의 방향을 헷갈리는 것이다. 우리는 임대와 임차를 헷갈리고, 빌다와 빌리다를 헷갈리고, 주인과 손님을 헷갈리고,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별하지 못한다. '쌀 팔아오너라.'고 하면 쌀집에 가서 쌀을 사오라는 말이다. 옛날 사람들은 사다와 팔다를 반대로 말한다. 한자어 매매賣買도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좋다.

Most human misjudgments are to confuse the direction of energy. We cannot tell a difference between rental and lease, between begging and begging for forgiveness, between owners and guests, and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Sell the rice." means to go to a rice restaurant and buy rice. In the old days, people say ‘Buy’ and ‘Sell’ the opposite.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매매賣買’ is similar, so it is easy to be confused.

   헤겔의 변증법이니 마르크스의 양질전화니 하는 것이 대표적인 순환논증의 오류, 후건긍정의 오류다. 량이 질로 되는 일은 절대로 없다. 엔트로피의 법칙과 맞지 않기 때문이다. 헷갈리는 이유는 사건의 닫힌계를 지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전에 사건이라는 개념조차 없기 때문이다. 사건은 에너지 공급자 위주로 해석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여러 사건을 뒤섞어 놓으면 양질전화처럼 보인다. 사건의 동력원과 파워트레인을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 

Hegel's dialectic or Marx's transition from quantity to quality is a typical fallacy of begging the question and the fallacy of affirming the consequent. Never does quantity become vaginal. Because it doesn't fit the law of entropy. The reason for the confusion is that it does not specify the closed limit of the event. This is because there is no concept of an event before that. This is because they do not know that events should be interpreted mainly by energy suppliers. Events occur one after another. Mixing up various events makes it look like transition from quantity to quality. You should take a closer look at the power source and powertrain of the event.

    인간은 수직적 사고에 약하다. 대개 수평적 사고에 매몰되어 있다. 닭장에 갇힌 두 마리 닭이 서로 쪼아댄다.  A가 B의 원인이고 B가 A의 원인이다. 틀렸다. 두 마리 닭이 서로 쪼아대는 이유는 공간이 비좁아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 원인은 항상 둘이 공유하는 제 3자다. 수평에서 둘이 교착될 때 원인은 수직구조다. 2층에서 담배꽁초를 던졌는데 1층에 사는 두 사람이 서로 상대를 의심하며 싸우는 격이다. 여당은 야당탓 하고 야당은 여당탓한다. 대개 산업의 생산력이 원인이다. 남한은 북한탓, 북한은 남한탓 한다.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충돌이라는 더 큰 단위에 원인이 있다. 

Humans are vulnerable to hierarchial thinking. It is usually buried in laternal thinking. Two chickens trapped in the chicken coup are easy to peck at each other. A is the cause of B and B is the cause of A. That is wrong. The reason why the two chickens peck at each other is that they are stressed out because of the tight space. The cause is always a third party shared by the two. The cause of the deadlock between the two horizontally is the vertical structure.They threw cigarette butts on the second floor, and the two people living on the first floor fight each other in doubt. The ruling party blames the opposition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blames the ruling party. Usually, industrial productivity is the cause for human development. South Korea blames North Korea and North Korea blames South Korea. Marine and continental powers are responsible for the larger unit of conflict.


    바닷물이 증발하여 비구름이 되고 빗물이 다시 강으로 흘러간다. 물의 순환이다. 바다가 비의 원인이고 비가 바다의 원인이다? 틀렸다. 물을 순환시키는 주체는 태양이다. 태양이 바닷물을 증발시키고 중력이 빗방울을 낙하시킨다. 강물과 바다는 수평의 대칭이다. 원인은 수직의 태양과 중력이다. 대개 이런 식이다. 수평의 교착은 수직에서 타개해야 한다. 전후, 좌우처럼 수평적으로 대칭되는 것은 서로의 원인이 될 수 없다. 50 대 50으로 교착되기 마련이므로 사건을 격발할 수 없다. 항상 양자를 통일하는 제 3의 존재가 있다. 사건을 격발하는 상부구조는 수직구조에 있다.

Sea water evaporates, becomes rain clouds, and rainwater flows back into the river. It's a water cycle. The sea is the cause of rain and the rain is the cause of the sea? Wrong. The subject that circulates water is the sun. The sun evaporates seawater and gravity drops raindrops. Rivers and seas are horizontally symmetrical. The cause is vertically distributed such as sun and gravity. It's usually like this. The horizontal agglutination must be broken vertically.

Horizontally symmetrical like front, rear, left, and right cannot cause each other. The event cannot be triggered because it is bound to be stalled 50:50. There is always a third party that unifies the two. The superstructure that explodes the event is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A가 B의 원인이면서 동시에 B가 A의 원인으로 보이는 경우는 양자를 통일하는 진짜 원인 C가 배후에 숨어 있다. 약자들이 지역과 성별과 피부색으로 나누어 서로 싸우게 만들어놓고 이득을 취하는 강자의 노림수가 있다. 왼발이 오른발을 내딛는 원인이고 오른발이 왼발을 내딛는 원인인 것처럼 보인다. 왼발과 오른발은 수평의 교착이다. 사실은 수직의 몸통이 원인이다.

If A is the cause of B and at the same time B appears to be the cause of A, then the real cause of unifying both C is hidden behind it. There is a majority’s aim to benefit from making the weak fight each other by dividing a minority into region, gender, and skin color. It seems that the left foot is the cause of the right foot and the right foot is the cause of the left foot. The left and right feet are horizontal deadlocks. In fact, the vertical hierarchy is the cause.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수직 1로 수평 2를 통제하는 사건의 일방향성이 중요하다. 엔트로피의 법칙은 진작에 알려졌다. 엔트로피의 법칙이 열역학에 한정되지 않는 자연의 보편적 원리라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모른다. 이걸 어디에 써먹어야 하는지를 모른다. 모든 사건에는 의사결정 메커니즘이 있다. 메커니즘은 톱니가 맞물려서 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둘인데 하나처럼 행세한다. 사건은 시간을 타고 화살처럼 한 방향으로 간다. 우리가 사건이 아니라 사물에 주목하므로 헷갈리게 된다. 맞물려 돌아가는 둘 중에서 머리와 꼬리를 분별하지 못한다.

Gujo theory is monism. The one-way nature of the event that controls horizontal 2 vertically is important. The law of entropy has long been known. It is also known that the law of entropy is a universal principle of nature that is not constrained to thermodynamics. But, I don't know where to use this. Every case has a decision-making mechanism. The mechanism moves in one direction with the saw teeth engaged. There are two, but they pretend to be one point to meet with two saw teeth. Events take time and go in one direction like arrows. It is confusing because we pay attention to things, not events. You can't tell the head and tail apart between the two that go around in conjunction.


사물은 평등하지만 사건은 평등하지 않다. 사건은 언제나 한 사람이 키를 쥔다. 승객은 평등하지만 운전기사는 평등하지 않다. 언제나 조직을 장악하고 핸들을 쥔 사람이 있다. 총은 한 개의 방아쇠가 있다. 자연은 작용과 반작용이 하나의 에너지 효율성에 지배되고 시장은 수요와 공급이 하나의 이윤에 지배된다. 자동차는 하나의 엑셀레이터 페달로 전진한다. 전등의 스위치는 하나다. 의사결정은 언제나 한 지점에서 비대칭적으로 일어난다. 그물이 넓어도 당기는 벼릿줄은 하나다. 대충 얼버무리지 말고 핵심이 되는 하나에 도달할 때까지 사유를 밀어붙이지 않으면 안 된다.

Things are equal, but events are not equal. An event is always controlled by one person. Passengers are equal, but drivers are not equal. There is always someone who controls the organization and holds the handle. A gun has one trigger. In nature, action and reaction are dominated by one energy efficiency, and in the market, demand and supply are dominated by one profit. The car moves forward with one accelerator pedal. The switch of the light is one. Decision-making always occurs asymmetrically at one point. Even if the net is wide, there is only one cliff that pulls. Don't hesitate and push your thoughts until you reach the one core.


--------------------------------------------------------------------------------
2장 의사결정 5단계  
Five steps of decision making


구조론은 다섯 단계로 변화를 설명한다. 변화가 일어나기 전과 후가 둘이다. 각각 원인과 결과가 된다. 중간의 변화과정에 변화의 수단과 방향과 내용으로 셋이 추가되어 다섯이 된다.

Gujoron explains the change in five stages. There are two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ccurs. Each is a cause and an effect. Three is added as means, direction, and content of change to the intermediate process of change to become five.


    원인 - 1
    수단 - 2
    방향 - +
    내용 - =
    결과 - 3

    cause - 1
    mean - 2
    direction - +
    content - =
    result - 3

 
    '1+2=3'이다. 분해하면 A, B, C 셋에 +와 =까지 다섯이다. 왜 숫자는 자리가 셋이고 기호를 포함하여 다섯이 되는가? 거리를 확인할 때는 삼각측량을 쓴다. 거기에 관측자와 관측대상을 더하면 다섯이다. GPS는 위성 세 개의 신호로 위치를 파악한다. 흔들리는 카메라를 안정시킬 때는 3축 짐벌을 쓴다. 공간은 선, 면, 입체의 3차원이다. 좌표는 X축, Y축, Z축을 쓴다. 실제로는 좌표의 원점과 점 P까지 다섯이 세트로 간다. 어떤 A와 B를 연결하려면 추가로 셋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It's "1+2=3." When decomposed, it is five including + and = in three of A, B, and C. Why does a number have three digits and five including the sign? Triangulation is used to determine distance. If you add the observer and the object to be observed, it is five. GPS uses signals from three satellites to determine your location. A 3-axis gimbal is used to stabilize a shaky camera. Space is three-dimensional with lines, planes, and solids. Coordinates are X-axis, Y-axis, and Z-axis. You can see that to connect any A and B, you need three additional things.

 
    출발점, 수단, 방향, 내용, 도착점.
    내가(출발점) 차를 타고(수단) 떠나서(방향) 간다(내용) 부산에(도착점)

    Starting point, means, direction, content, arrival point.
    I (starting point) get on a car (means) and leave (direction) go (content) to Busan (arrival point).
 
    투수가 A라는 공을 던졌을 때, 타자가 B라는 방망이를 휘둘러서, C에 공이 떨어졌는데 +는 방망이에 맞았다는 말이고, =는 공이 날아갔다는 말이다. 개를 말뚝에 묶으려 해도 개와 말뚝 사이에 목걸이, 줄, 매듭이 필요하다. 변화를 헤아리려면 관측자와 관측대상을 제외하고 중간에 연결고리가 되는 셋이 필요하다. 주체와 객체 사이에 수단과 방향과 내용이 있다. 궁수와 과녁 사이에 활과 화살과 진행방향까지 셋이 필요하다.

When the pitcher throws the ball A, the batter swings the bat B, and the ball falls on C. + means it was hit by the bat, and = means the ball flew. Even if you want to tie your dog to a stake, you will need a collar, string, and knot between the dog and the stake. In order to count the change, you need a set of links in the middle except for the observer and the object to be observed.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ere is a means, a direction, and a content. Between the archer and the target, you need three things: a bow, an arrow, and a direction.
 
    핵심은 변화다. 변화는 일단 둘이다. 변하기 전과 변한 후다. 거기에 변화를 격발하는 방아쇠가 있으므로 셋이다. 누가 주체이고 객체인지를 적시해야 하므로 넷이다. 변화의 내용까지 다섯이다. 다섯을 모두 진술하지 않으면 내가 밥을 먹었는지 밥이 나를 먹었는지 알 수 없다. 우리말은 조사가 해결하지만 말이다.

The key is change. First of all, change is two. It is before and after change. There is a trigger that triggers the change, so it is three. It is four because we need to indicate who is the subject and who is the object. There are five up to the contents of the change.If you do not state all five, you cannot know whether I ate rice or whether rice ate me. In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s solve it, though.
 
    '내가 밥을 먹었다.'고 해도 내(원인)+가, 을(방향)+밥(수단)+먹(내용)+었다(결과)로 구분된다. 조사를 생략하면 밥이 나를 먹었을지도 모른다. 주의해야 한다. 주어를 생략하거나 어순이 조사를 대행하므로 대충 말해도 알아듣지만 말이다.

Even if you say, '내가 밥을 먹었다(I ate rice),' it is divided into I (cause) + and 가,을 (direction) + 밥 (means) +먹(content) + 었다 (result). If I omit the postpositional particles, Rice may have eaten me. You have to be careful. Although the subject is omitted or the word order takes over the postpositional particles, it is understandable even when spoken roughly.
 
    어떤 둘의 관계를 판단할 때는 항상 3이 쓰인다. 우리는 여기서 핵심을 놓친다. 왜 둘은 빼지? 돼지셈을 한다. 돼지 열마리가 소풍을 갔다. 소풍을 마치고 돌아올 때가 되어 엄마돼지가 세어보니 9마리다. 한 마리는 어디로 갔자? 자신을 빼고 센다. 과학은 엄밀해야 한다. 수학의 차원은 원래 1, 2, 3차원만 있었다. 0차원과 4차원이 추가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사건의 복제 때문이다.

3 is alway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 miss the point here. Why do we exclude the two from this situation? Count the pigs. Ten pigs went on a picnic. When it came time to return from the picnic, the mother pig counted nine. Where did one go? Counting without yourself. Science must be rigorous. There were originally only 1, 2, and 3 dimensions in mathematics. There is a reason why the 0 and 4 dimensions are added. It is because of the duplication of the event.

    하나의 사건이 ABCDE로 성립하지만 잘 살펴보면 ABC가 CDE를 복제한 것이다. 그러려면 BCD가 필요하다. 하나의 사건이 다른 사건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A와 E를 매개하는 B, C, D에 앞서 외력의 작용이 있고 그 외력을 ABC가 매개하는 것이다.
 
A single event constitutes ABCDE, but if you look closely, ABC duplicates CDE. To do that, you need a BCD. One event leads to another. Therefore, there is an external force before B, C, and D that mediate A and E, and ABC mediates that external force.


    개가 말뚝에 매여 있다. 말뚝 - 매듭 - 줄 - 목걸이 - 개로 다섯이 A, B, C, D, E를 이룬다. 그런데 사람이 와서 말뚝에 매고 있다면? 개가 말뚝을 부러뜨리고 도망친다면? 사람이 들어오면 개가 빠진다. 사람과 개목줄의 관계가 된다. 마찬가지로 말뚝이 부러지면 말뚝이 빠지고 개의 도주가 추가된다. 하나가 들어오면 하나가 빠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ABC를 복제한 것이 CDE이며 그 근거가 되는 것이 BCD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dog is tied to a stake. Stakes - knots - strings - necklaces - dogs make up A, B, C, D, and E. But what if someone came and tied it to a stake? What if the dog breaks the stake and runs away? When a person comes in, the dog leaves.
 
    우리는 원인과 결과 둘은 빼놓고 중간의 3만 본다. 짐벌은 3축만 쓰고, 좌표는 XYZ만 쓰고 삼각측량도 삼각만 쓴다. 그런데 인간의 눈과 카메라도 축이라는 사실이 치명적이다. 합쳐서 5축이 된다. 좌표도 원점과 P가 있다. 삼각측량을 해도 측량기사와 폴대가 있다. 항상 둘이 더 있다. 그래야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우리는 고정된 것을 관측하는데 익숙해서 중간의 셋만 체크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표적이 움직이면? 움직이는 사수가 움직이는 표적을 쏜다면? 피라밋의 높이를 재는 데는 삼각측량의 셋으로 충분하다. 피라밋이 어디로 도망가지 않기 때문이다. 날아가는 새를 추적한다면?

We only look at the middle 3, except for the two causes and effects. Gimbal uses only three axes, coordinates use only XYZ,and triangulation uses only triangles . However, the fact that the human eye and camera are also axes is fatal. In total, it becomes 5 axes. Coordinates also have an origin and P. Even when triangulating, there is a surveyor and a pole. There are always two more.Only then can the change be explained. We're used to observing the fixed, so we think we only need to check the middle set. But what if the target moves? What if a moving shooter shoots a moving target? Three triangulations are sufficient to measure the height of a pyramid. Because the pyramids do not run away anywhere. What if you track a flying bird?
 
    대포를 쏴도 세번째에 명중탄을 쏜다. 첫 번째 탄으로 자를 만든다. 두 번째 탄으로 변화율을 얻는다. 세 번째 탄이 명중탄이 된다. 첫번째 탄은 대충 어림짐작으로 1000미터를 쏜다. 두번째 탄은 장약을 백그램 증가시켜 1500미터를 쏜다. 장약 백그램에 포탄이 500미터 더 날아갔다면 장약을 얼마나 추가해야 타겟을 명중시킬 수 있을지 계산이 나와주는 것이다. 포반장은 알고 있다.

Even if you shoot a cannon, you will shoot a hit in the third time. Make a ruler with the first shot. The second shot gains a rate of change. The third shot becomes a hit shot. The first shot fires 1000 meters, a rough guess. The second shot increases the charge by one hundred grams and fires 1500 meters.If the shells flew 500 meters more than 100 grams of charge, the calculation shows how much charge you need to add to hit the target. The cannon leader knows.

---------------------------------------------------------
구조 3장. 전부 거짓말이다
All lies


  언어는 연결이다. 맥락이 연결되지 않고 중간에 끊어지거나 얼버무리거나 갑툭튀 하면 그게 개소리다. 연결은 공유다. 사슬은 마디를 공유하다. 공유를 끝까지 추적하여 정상까지 연결해야 한다. 정상은 사건 전체를 공유한다. 다양한 헛소리를 주워섬기다 보면 그 중에 혹시 하나 쯤은 진실이 섞여 있을지도 모른다는 망상을 버려야 한다. 전부 개소리다. 판을 완전히 갈아엎어야 한다. 다섯가지 유형의 개소리가 있다.

Language is connection. If the context is not connected, broken in the middle, evasive, or a random thing to say, that's nonsense. Connection is sharing. Chain shares a node. You must track it to the end and connect it to the top. The summit shares the entire event. If you pick up a variety of nonsense, you should abandon the delusion that one of them might be a mixture of truths. It's all nonsense. You have to completely turn the table over. There are five types of nonsense.

 

    첫째는 괴력난신. 애초에 개소리 할 요량으로 지어낸 뻔뻔한 개소리다. 사차원, 초능력, UFO, 귀신, 무한동력, 각종 음모론 따위다. 소인배가 대중의 이목을 끌려고 아니면 말고 식으로 질러보는 것이다. 이들은 뭔가 힘을 얻을 수 있다는 암시로 사람들을 현혹시킨다. 근거는 없고 그냥 먹히니까 하는 말이다.

The first is supernatural things. It's a shameless bullshit made up in the first place to make a nonsense. Four dimensions, superpowers, UFOs, ghosts, infinite power, various conspiracy theories. The Narrow-minded people are trying to attract public attention. They mislead people with the suggestion that they can gain power. There is no basis for it, but it just works.

 

    둘째는 희망사항. 그런게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램을 그게 실제로 있다고 말해버리는 것이다. 원자론, 결정론, 이데아론, 해탈, 유토피아론, 혁명이론, 종교의 신 개념이다. 항해자에게는 길을 안내하는 등대가 필요하지만 그게 바로 이거다 하고 타겟을 찍으면 안 된다. 아닌 것을 배제하면 남는 것이 정답이다.

Second is wishful thinking. It goes further from thinking that there would be such a thing, and then tells them that it actually exists. Atomicism, determinism, Theory of forms, nirvana, Utopia theory, Theory Of Revolution, the god concept of religion. A navigator needs a lighthouse to guide the way, but don't take a specific target just because this is what you're looking for. Excluding those that are not, what remains is the correct answer.

 

    셋째는 관념타령. 듣기 좋은 말로 사람을 꼬시는 말이다. 자유, 평등, 정의, 평화, 사랑, 행복, 윤리, 도덕 따위다. 뭐든 좋은 말은 다 갖다 붙이면 된다. 이들은 결과를 소급하여 원인으로 바꿔치기 하는 본말전도 수법을 쓴다. 일이 잘 풀리면 그런 좋은 결과가 올 수도 있지만 그게 우리가 잡을 핸들은 아니다.

The third is ideology. It's a good word to entice people. Freedom, equality, justice, peace, love, happiness, ethics, morals, etc. They can put all the good things on them. They retroactively replace the effect with the cause, so called put the cart before the horse. If things work well, that might be the case, but that's not the way we should go forward.

 

    넷째는 낚시신공. 작은 것을 투자해서 큰 것을 먹는다는 궤변이다. 처세술, 노자사상, 정신력, 실용주의, 손자병법, 노력타령 따위다. 원칙보다 변칙, 정론보다 궤변, 큰길보다 뒷길, 실력보다 협잡으로 이긴다는데 다단계 상술과 같이 일시적으로 먹히지만 지속가능하지 않다. 떡밥만 열심히 던지다가 거덜난다.
The fourth is fishing. It is the sophistry of investing in small things and eating big things. The art of living, Noja ideology, mental strength, pragmatism, The Art of War by Sun Tzu, harping on effect. It works temporarily like multi-level tactics, but it is not sustainable. Throwing rice cakes hard and getting frustrated.
 

    다섯째는 선입견. 말하기 편한대로 말해버리는 것이다. 민족성, 동기, 야망, 목적, 의도, 욕망, 쾌락 따위다. 사람들이 알고 있는 얕은 지식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네 생각이 맞다'고 긍정하며 살살 넘어오게 만든다. 사람을 어린애 취급하며 갖고 놀려는 수작이다. 편견과 혐오, 차별주의, 고정관념을 강화한다.

Fifth is prejudice. It's to say what's comfortable to say. It is ethnicity, motivation, ambition, purpose, intention, desire, pleasure, etc. It makes people come over with a positive affirmation that you are right, as a way to strengthen the shallow knowledge they know. It's a crap that treats people like children and tries to play with them, reinforces prejudice, hate, racism and stereotypes.

 

    낚이는 사람이 있으니까 낚는 사람이 있는 것이다. 우리가 거짓말에 대해서는 단호한 태도를 취해야 한다. 구조론은 수학이다. 수학은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공식을 제공할 뿐 답을 찍어주지 않는다. 꾸준하게 개소리를 쳐내다보면 희미하게 방향이 보일 것이다. 중도에 포기하고 주저앉아 구석에서 작은 점방을 개설하여 본전을 회수하려는 소인배의 작은 욕심을 버려야 한다. 큰 뜻을 품고 큰 그림을 그리고 끝까지 가면 진실이 이긴다.

There are people who are try to catch, because there are people who are caught. We must take a firm stand against lies. Gujoron is mathematics. Mathematics provides a universal formula, but it does not specific answer. If you keep avode nonsense, you will see the direction. You don't have a mind to give up in middleway, sit down, open a small store in the corner, and sell these nonsense to the crowd so at to make a profit. If you draw the big picture with great will and go to the end, the truth wins.

-----------------------------------------------------------
구조4장 언어의 완성
Completion of language

세상에 개소리가 너무 많다. 말 되는 소리 좀 하자. 활은 하나인데 화살은 사방으로 날아간다. 원인은 하나인데 경과는 둘이고 결과는 여럿이다. 갈수록 태산이다. 모든 것을 만들어내는 하나의 자궁이 있는 법이다. 만유가 공유하는 하나의 의사결정 플랫폼을 찾아야 한다면 그것이 구조론이다.

 

There is a lot of nonsense in the world. Let’s say it without lies. There is one arrow but many arrows fly in all directions at a time. The cause is one, the course is two, and the results are three or more. It's getting bigger and bigger. There is one womb that creates everything. If you have to find a single decision-making platform shared by everything in the world, that is Gujoron.

 

백과사전식 열거주의라면 좋지 않다. 난삽함을 피하고 하나의 근본, 하나의 엔진, 하나의 핵심을 짚어야 한다. 사건 전체를 한 줄에 꿰어 하나의 통짜덩어리로 설명해야 한다. 실제로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지점을 조사해야 한다. 뒷북치지 말고 에너지의 작용측을 해명해야 한다. 계의 통제가능성 위주로 설명해야 한다. 여러 피해자를 탓하지 말고 한 명의 범인을 취조해야 한다.

 

It should not be listed in a disorganized manner in an encyclopedia. Instead of blaming multiple victims, you should interrogate one criminal. It should be touched by one root, one engine, and one core. Throughout the whole, you should investigate the point at which actual decision-making begins. Don't blow a trumpet from behind, but understand where the energy is generated. You should be able to focus on the controllability of one system.




본말전도라 했다. 본이 뒤집어지니 말이 어지러워졌다. 하나의 근본을 방치하고 여러 말단에 매달리니 노가다만 풍성해졌다. 인간들이 말을 개판으로 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 전에 언어가 비뚤어져 있다. 언어도 개판이지만 그 전에 관점이 비뚤어져 있다. 관점도 개판이지만 그 전에 게임이 비뚤어져 있다. 그렇다. 게임이 문제다. 게임에 이겨서 하나의 핸들을 잡으면 되는데 게임에 져서 핸들을 뺏기므로 뒷설거지 하느라 일이 많아진 것이다.

 

An event’s root and end is reversed. Because the root isn’t set up, the phony words became the owner. After abandoning one root and replacing it with the end, the world is overflowing with unnecessary efforts to deal with it. Human nonsense is also a problem, but before that, the use of the language is incorrect first. The perspective is off the target, and the game is not fair. Yes. The game itself is the problem. You need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game and get the handle. But missing the handle and going to the wrong place, it takes a lot of energy to come back.

 

원인측 -> 결과측

비용이 적다 -> 비용이 많다.

게임에 이긴다 -> 게임에 진다.

 

The cause side -> The effect side

The cost is low -> The cost is high

Winning the game -> Losing the game

 

엔트로피란 간단히 불을 지르는 비용이 불을 끄는 비용보다 적다는 거다. 먼저 와서 불을 지르는 사람이 1의 에너지를 사용한다면 뒤에 와서 불을 끄는 사람은 100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인생이 피곤한 이유는 당신이 게임에 져서 엎질러진 물을 주워담는 자의 포지션에 섰기 때문이다. 사건의 원인측이 아니라 결과측에 개입하기 때문이다.

 

As for entropy, the cost of starting a fire is less than the cost of putting it out. If the first person to start a fire uses 1% of the energy, the last person to put it out uses 100% of the energy. Your life is bitter because you lost the game and are now in the position of having to clean up the spilled milk. It's because you are standing on the event’s effect side, not the cause side.

 

세상을 상호작용으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인생은 환경과의 게임이다. 상호작용의 랠리가 우리가 잡아야 할 핸들이다. 게임에 이긴 자는 물을 엎지르고 진 자는 엎질러진 물을 주워담는다. 게임에 이겨서 내가 핸들을 잡으면 쉽다. 뒤에 와서 흩어진 퍼즐 맞추느라 골머리 싸매지 말고 먼저 와서 문제를 내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You must develop a perspective that allows you to see the world as an interaction. Life is a game that you play with your surroundings. The handle we have to catch is the various rally of interaction. The winner of the game spills the milk, and the loser has to clean up the spilled milk. Everything becomes easier if you win the game and get the handle. Rather than plucking your hair out trying to solve the scattered puzzles standing in the back, be the first person to stand in the front and to raise a question.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기준은 도구의 사용이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도구는 언어다. 언어가 가장 중요하다. 그런데 언어가 개판이다. 구조론은 언어의 완성이다. 다들 말을 개판으로 한다. 말을 똑바로 하려고 노력하면 구조론은 그 안에 있다. 사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플러스 언어에서 사건을 확실하게 매조지하는 마이너스 언어로 갈아타야 한다. 복잡한 것을 단순화 시키는 언어라야 한다. 여러 결과는 하나 원인으로 바꾸고, 여러 부분은 하나의 전체로 바꾸고, 여러 단절은 하나의 연결로 바꾸고, 여러 강체는 하나 유체로 바꾸고, 여러 사물은 하나의 사건으로 바꾸는 언어라야 한다.

 

The use of tools is the basis for distinguishing humans from animals. Language is the tool that allows humans to be human. The language, on the other hand, is a mess. Gujoron is the completion of language. Gujoron can be find in it when you try to say the right thing. You must switch from a plus language that overwrites cheap and esoteric perspectives on things to a minus language that definitively ends the event. It should be a language that combines many parts into a single whole, multiple breaks into a single connection, multiple hard materials into a single fluid, and multiple objects into a single event.

구조 5장 사건의 세계





존재는 사물 아니면 사건이다. 사물이 한 자리에 모이면 사건이 일어난다. 개와 원숭이가 만나면 싸움이 일어난다. 원수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나면 격투가 벌어진다. 틀렸다. 남녀가 한 방에 머무르면 무슨 일이 생긴다. 존재가 모여서 사건을 일으킨다. 아니다. 실제로는 우주 안에 사건이 존재할 뿐이다. 사물은 존재의 모습이 아니라 인간끼리의 약속이다. 인간의 언어적 편의다.

 

Existence is an object or event. An event occurs when objects gather in one place. A trouble occurs when a dog and monkey meet. A fight takes place when the enemy meets on a single wooden bridge. Wrong! Something happens when a man and woman stay in a room. When existence gathers, an event occurs. No, no. In reality, there are only events in the universe. Objects are not the appearance of existence, but the expression of human promise. It is an agreement through linguistic convenience.

 

  공기 입자는 사물이다. 바람이 부는 것은 사건이다. 그런데 공기 입자도 소립자 단위로 쪼개면 결국 사건이다. 존재는 혼자 성립할 수 없고 반드시 짝을 지어야 한다. 어떤 둘이 토대를 공유하고 나란히 움직이면 사물처럼 보인다. 팽이가 돌고 있는 것은 사건이다. 그런데 외부의 관측자에게는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물은 고정되어 있고 사건은 움직인다. 우주 안의 모든 존재는 결국 움직이는 사건이며 그 중에서 나란히 가므로 해석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 사물이다. 움직이는 사건은 자연의 실재 모습이고 고정된 사물은 말하자면 단축키 같은 것이다.    

 

Air particles are objects. It is an event that the wind blows. However, if air particles are divided into elementary particles, it is eventually an event. Existence cannot exist alone and must be paired. Two things share same foundation and move side by side, then it looks like an object. Objects are fixed and events move constantly. It is an event that a top is spinning. However, it appears to be stationary to an outside observer. All beings in the universe are eventually moving events, and among them, an object is anything that can be omitted from interpretation because of moving together. A moving event is the reality of nature, and a fixed object is, so to speak, a shortcut.

 

   바둑이라면 바둑알과 대국이 있다. 바둑알은 보인다. 대국은 보이지 않는다. 대국은 바둑알의 자리바꿈을 보고 해석한다. 컴퓨터라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다. 하드웨어는 보인다. 소프트웨어는 보이지 않는다. 생물이라면 세포와 생명이다. 세포는 보인다. 생명은 보이지 않는다. 세상은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진다. 사물은 그냥 보이고 사건은 해석하여 퍼즐을 맞춰야 보인다.

 

For example, the game Go consists of stones and a match. Stones are visible. Match is not invisible. Match is interpreted through the shift of stones. Computers are divided into hardware and software. The hardware is visible. The software is invisible. Living things are cells and life. Cells are visible. Life is invisible. And the world consists of objects and events. objects are just visible and events can only be visible by interpreting and solving puzzles.

 

  바람 – 분다

    물 - 흐른다

    나무 - 자란다

    과일 – 익는다

 

wind – blow

water - flow

tree – grow

fruit - ripen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고, 나무가 자라고, 과일이 익어가는 것은 인간이 해석하여 퍼즐을 맞춘 것이다. 명사와 동사를 연결하여 짝을 짓는 것이 해석이다. 풋사과와 익은 사과는 다른 사과인데 둘을 연결하여 같은 사과로 치는 것은 인간의 해석이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퍼즐을 쉽게 맞춘다.

 

As a result of human interpretation of events and solving puzzles, you are visible the event that the wind blows, water flows, trees grow, and fruits ripen. Interpretation is to pair nouns and verbs together. A green apple and a ripe apple are different apples, but it is human interpretation to connect the two and hit them as the same apple. Gujoron is a tool to interpret events. It makes puzzles easy.

 

  일찌기 사건에 주목한 사람은 없었다. 인류의 문명사 1만년 동안 인류는 변화하는 사건이 아니라 고정된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잘못을 저질러 왔다. 구대륙에서 신대륙으로 건너가듯이 인류는 완전히 다른 세계로 건너가지 않으면 안 된다. 사물의 세계에서 사건의 세계로 갈아타야 한다.

 

No one has paid attention to ‘events’ since ancient times. Unfortunately, during the 10,000 years of human agricultural history, mankind has viewed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fixed ‘objects’ rather than changing ‘events’. Just as Europeans risked their lives from the Old World to the New World, mankind must now cross into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And it will be a great transition from the world of objects to the world of events.

 

  공간과 시간은 자연에 없다. 그런 존재가 없다. 그것은 물질의 변화를 해석하는데 쓰이는 말에 불과하다. 그런데 있는 걸로 친다. 이는 사건을 사물화 한 것이다. 그게 더 쉽기 때문이다. 사건의 해석이 귀찮아서 꼼수를 쓴 것이다. 편의로 왜곡한 것이다. 그런데 도구를 쓰면 어떨까? 도구가 대신 해석해주면 어떨까? 인간은 핸들만 쥐고 있으면 된다. 어질러진 퍼즐 조각은 구조론이 맞추어 준다. 그렇다면 꼼수를 버리고 정공법으로 승부할 수 있다. 사물의 관점을 버리고 사건의 해석으로 갈아타야 한다.

 


In nature, time and space do not exist. Existence itself does not exist, but it was considered to exist. It was used as a word to interpret the change of materials. In that way, events are materialized by humans. Humans were too lazy to interpret events, so they used a trick to take a shortcut. The laws of nature are distorted for convenience. But to overcome this phenomenon, how about using a special tool? What if the tool interprets ‘events’ instead? All humans have to do is grab the handle. Gujoron put pieces of a messy puzzle together. Then you can abandon your tricks for convenience, and face it head on with the standard method. You have to give up the ‘perspective of objects’ and move on to the ‘interpretation of events’.



------------------------------------------------------------------

구조 6장 게임의 초대

Invitation to a game



구조론은 커다란 그물과 같다. 고래를 잡든 물개를 잡든 상관없다. 한 번 던져진 그물은 당길 수만 있고 풀 수는 없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게임에 뛰어들면 판이 끝날때까지 대결을 멈출 수 없다. 그물을 던질 때는 넓게 벌려야 하고 벼릿줄을 당길 때는 깔때기를 좁혀야 한다. 우리가 얻어야 하는 기세는 그 넓음과 좁음 사이에 비례로 있다. 일을 크게 벌이고 몫을 작게 챙기면 부가가치로 많은 것이 따라온다. 사건은 기세에 의해 다음 게임으로 연결된다. 당장 성과를 내기보다 기세를 얻어 다음 게임에 초대되는 것이 중요하다.



Gujo theory is like a large net. It doesn't matter whether you catch a whale or a seal. It is important to know a fact that a net thrown once only can be pulled not be released. If you jump into the game, you can't stop the confrontation until the end of the game. When throwing a net, you have to open it wide and narrow the funnel when pulling the crest. The momentum we have to gain lies in proportion to its width. If you do a big job and take a small portion, a lot comes with added value. The event leads to the next game by momentum. Rather than making immediate results, it is important to gain momentum and be invited to the next game.



넓음 - 좁음 = 기세

Wide - narrow = energy



공간의 그물은 구構, 시간의 벼리는 조造다. 구構의 그물코를 넓게 벌리고 조造의 벼릿줄을 한결같이 당겨서 커다란 깔대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럴 때 플러스 알파로 기세가 따라온다. 사물은 쪼개봐야 알 수 있지만 기세는 합쳐봐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접근방법이 다르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사물에는 기세가 없고 사건에는 기세가 있다. 강체는 기세가 없고 유체는 기세가 있다. 결과측에는 기세가 없고 원인측에 기세가 있다. 단절에는 기세가 없고 연결에 기세가 있다.  



The net of space is Gu (構), and the forge of time is Jo (造). A large funnel should be made by spreading the net nose of Gu (構) and uniformly pulling the cliff of Jo (造). At that time, the momentum follows with additions. It is important that the approach is different in that things can be known only by dividing them, but the momentum can be known only by combining them. Things have no momentum, and events have momentum. The rigid body has no momentum, and the fluid has momentum. There is no momentum on the result side, and there is momentum on the cause side. There is no momentum in disconnection, and there is momentum in connection.



기세는 전체의 힘을 한 지점에 몰아준다. 한 지점만 장악하면 되므로 다루기 쉽다. 물질의 기세가 관성이라면, 시장의 기세가 이윤이고, 집단의 기세는 권력이다. 기세는 사건을 연결하므로 만유의 조절장치가 된다. 연결하거나 끊는 방법으로 조절한다. 자동차의 핸들이 되고, 소총의 방아쇠가 되고, 전등의 스위치가 된다. 개인에게는 매력이 기세, 동료간에는 의리가 기세, 기업간에는 경쟁력이 기세, 국가간에는 생산력이 기세, 문명간에는 진보가 기세다.



Spirit drives the entire power to one point. It's easy to handle because you only have to take control of one point. If the momentum of matter is inertia, the momentum of the market is profit, and the momentum of the group is power. The momentum connects events, making it a universal regulator. Adjust b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It becomes the handle of the vehicle, the trigger of the rifle, and the switch of the lamp. Attractiveness among individuals, loyalty between colleagues, competitiveness between companies, productivity between countries, and progress between civilizations.



자연은 기세를 쓰고 인간은 도구를 쓴다. 자연은 기세로 연결하고 인간은 도구로 연결한다. 도구는 중립이다. 좋은 사람이 쓰면 좋아지고 나쁜 사람이 쓰면 나빠진다. 도구는 서로 간에 합이 맞아야 한다. 합을 맞추려면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 그러므로 좋은 사람이 도구를 쓸 확률이 높다. 절구공이는 방아확과 합이 맞아야 한다. 악기는 연주자와 호흡이 맞아야 한다. 좋은 나무가 좋은 연장을 만나야 좋은 가구가 만들어진다. 



Nature uses momentum and humans use tools. Nature connects with momentum, and humans connect with tools. The tool is neutral. It gets better when a good person uses it, and it gets worse when a bad person uses it. Tools must fit together. You have to respect your opponent to work together. Therefore, good people are more likely to use tools. The mortar ball must be in harmony with the millstone. Musical instruments must be in harmony with the performer. Only when good trees meet good tools can good furniture be made.



구조론은 세상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커다란 그물이다. 큰 그물은 혼자 던질 수 없고 함께 던져야 한다. 도구를 사용하며 서로간에 합을 맞추는 것이 의리다. 큰 그물을 함께 당기게 하는 것이 의리다. 의리를 배웠다면 다 배운 것이다. 의리로 기세를 얻고, 기세로 사건을 연결하여 더 큰 그물을 만드는 방법으로 이길 수 있다. 



Gujo theory is a large net that can cover the entire world. A large net cannot be thrown alone and must be thrown together. It is loyalty to use tools and work together. It is loyalty to pull a large net together. If you have learned loyalty, you have learned it all. You can win by gaining momentum from loyalty and connecting events with momentum to create a larger net.



사람들은 서울로 간다느니 제주도로 간다느니 하며 다툰다. 어디로 가든 상관없다. 이념타령, 노선타령, 관념놀음, 프레임 걸기 부질없다. 이왕 갈것이면 차를 타고 가야 한다. 맨땅에 헤딩하지 말고 도구를 써야 한다. 운전석을 차지하고 핸들을 잡아야 한다. 운전하는 재미를 알면 처음에 멱살잡이 다툼 벌였던 행선지는 중요하지 않다. 당신은 가던 길을 계속 가게 된다. 좋은 악기를 얻은 연주자, 좋은 차를 얻은 운전자, 좋은 도구를 얻은 목수, 좋은 재료를 얻은 요리사는 절대 멈추지 않는다.




People argue that they are going to Jeju Island (or San Francisco) rather than Seoul (New York City). It doesn't matter where you go. Ideological stubbornness, direction obstinateness, ideological games, and frame hanging are useless. If you decide to move, you have to take a car. You should use tools instead of heading to the bare ground. Take the driver's seat and hold the steering wheel. If you know the fun of driving, it doesn't matter where you first fought for the collar. You keep going your way. Performers who get good instruments, drivers who get good cars, carpenters who get good tools, and cooks who get good ingredients never stop.



-------------------------------------------------------------

구조 7장 구조의 발견

Discovery of the Gujo theory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사물이냐 사건이냐다. 사물은 그냥 관찰하면 되는데, 사건은 여럿이 모여서 계를 이루고 이차적인 변화를 일으키므로 퍼즐 맞추기가 만만치 않다. 사건은 해석이 필요하므로 특별한 도구를 써야 한다. 수학문제와 같다. 사건은 복잡하게 얽혀서 돌아가므로 정해진 공식에 대입해서 풀어야 한다.



Gujo theory is a tool for interpreting events. It's whether it's an object or an event. Objects can just be observed, but events are difficult to put together because they form a system and cause sequential changes. Events require interpretation, so special tools should be used. It's like a math problem. Events are complicated and intertwined, so they must be solved by substituting them into a predetermined formula.
사물 - 관찰로 알 수 있다.

    사건 - 해석으로 알 수 있다. 

Object - understood by observations

Event - understood by interpretations



소금이 짜고 설탕이 단 것은 사물의 성질이다. 사물의 성질은 변하지 않으므로 믿을 수 있다. 그런데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고 과일이 썩는 것은 사건이다. 뭉게구름이 모이면 갑자기 소나기가 내린다. 상자 속의 감귤 중에서 하나가 썩으면 순식간에 죄다 썩는다. 사건은 일정한 조건이 충족될 때 갑자기 커다란 변화를 일으킨다. 객체의 고유한 성질이 아니라 주변의 환경적 조건이 사건을 격발하므로 헷갈리게 된다.



Salty salt and sweet sugar are the properties of things. It is reliable because the nature of things does not change. However, it is an incident that clouds become rain and fruits become rotten. When cloud clouds gather, a sudden shower falls. When one of the tangerines in the box decays, it all decays in an instant. Events suddenly make a big difference when certain conditions are met. It is confusing becau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not the unique property of the object, explode the event.



토끼 한 마리를 상자에 넣어두면 토끼 한 마리가 있는 것이다. 사물은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토끼 두 마리를 상자에 넣어두면 어느새 새끼를 쳐서 열 마리로 늘어나 있다. 출산 직전의 임신한 어미 토끼를 모르고 팔았다면 손해가 크다. 사건의 변화는 미묘하므로 우리가 신중하게 판단하지 않으면 안 된다. 



If you put a rabbit in a box, there is a rabbit. Things don't change. However, if you put a male and a female rabbit in a box, they will reproduce ten rabbits because they stretched to ten. If you sell a pregnant mother rabbit just before giving birth without knowing it, the loss is great. The change in events is subtle, so we must judge carefully.



사물 - 쪼개보면 안다.

    사건 - 합쳐봐야 안다. 



Object - understood by breaking it

Event - understood by assembling it



사물은 잘 살펴보면 된다. 안 되면 속을 쪼개보면 된다. 호두를 까보면 안다. 그런데 사건은  방향이 반대다. 씨앗이 싹이 트는지는 심어봐야 안다. 토끼가 새끼를 낳는지는 합방시켜봐야 안다. 자동차가 탈만한지는 시동을 걸어봐야 안다. 쪼개보는 사물의 관찰과 합쳐보는 사건의 해석은 접근방향이 상반되는 것이다.



You can take a good look at things. If it doesn't work, you can split the insides. You'll know when you open a walnut. However, the direction of the event is the opposite. It is only understood by planting whether seeds sprout. It is only known if rabbits give birth to babies. You need to start the car to see if it's possible to ride. The observation of things that are split and the interpretation of events that are combined are contradictory in the direction of the approach.



우리는 사물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퍼즐 맞추기를 시도하지만 사건의 복잡성이라는 장벽에 막혀 좌절하게 된다. 사물은 그냥 있지만 사건은 대칭을 이루고 짝을 짓는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 전체와 부분, 연결과 단절, 머리와 꼬리로 나누어져 대칭을 이루고 톱니가 맞물려 돌아가며 메커니즘을 작동시킨다. 대칭의 동시성이 문제로 된다. 사건은 톱니가 맞물려 돌아가므로 퍼즐을 맞춰도 둘을 동시에 맞춰야 한다는데 어려움이 있다.



We try to puzzle things by observing them, but we are frustrated by the barrier of the complexity of events. Things are just there, but events are symmetrical and paired. Events are divided into causes and effects, whole and part,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head and tail, symmetrical, sawtooths interlocking, and operate the mechanism. Symmetrical concurrency becomes a problem. In the event, the teeth are interlocked, so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two at the same time even if you solve the puzzle together.



사건은 진행하면서 열린계가 닫힌계로 바뀌고, 강체가 유체로 바뀌면서 객체의 고유한 속성은 의미가 없고 수학적 확률이 지배하게 된다. 처음 있었던 성질은 사라지고 원래 없던 질서가 갑자기 생겨나서 자체의 동력을 갖추고 폭주한다. 완전히 다른 세상이 열리게 된다. 처음에는 사람이 불씨를 당기지만 나중에는 불이 불을 지른다. 우리는 사건의 폭주에 당황하게 된다.



As the event progresses, the open system turns into a closed system, and as the rigid body turns into a fluid,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object become meaningless and mathematical probabilities dominate. The first nature disappears, and an order that did not exist suddenly emerges, so it has its own power and explodes.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opens up. At first, people spark, but later they set fire. We are embarrassed by the explosion of events.



그런데 복잡한 것은 추려서 역으로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구조의 힘이다. 사건은 대칭에 의해 복잡하게 전개하지만 대칭의 축을 장악하면 오히려 단순해진다. 양떼를 들판에 풀어놓으면 복잡하지만 우리에 가둬놓으면 단순하다. 사건을 격발하는 방아쇠를 장악한다면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핵심을 장악하면 오히려 사건이 더 다루기 쉽다. 사물은 힘으로 제압해야 하지만 사건은 대칭을 걸어서 교착시켜 놓으면 고분고분해진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처럼 멋지게 사건을 핸들링 할 수 있다. 



However, the power of the Gujo theory is that complex things can be narrowed down and conversely simplified. Events are complicated by symmetry, but when we dominate the axis of symmetry, the events become simpler. It is complicated to release sheep in the field, but it is simple to trap them in cages. If you take control of the trigger that explodes the incident, you can control it delicately. If you take control of the core, the case is straightforward to deal with. Things must be overpowered by force, but if you walk symmetrically and deadlock them, they become obedient. You can handle events in a dramatic way like the conductor of an orchestra.



사물이 재료라면 사건은 요리다. 요리사는 지지고 볶고 데치고 삶아서 원재료에 없는 새로운 맛을 끌어낸다. 그것은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그것은 성격이 아니라 궁합이다. 사물을 관찰하는 단순한 방법으로는 복잡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세상의 퍼즐맞추기를 감당할 수 없고 사건의 해석은 특별한 도구를 써야 한다. 구조론이 그 도구다.



If things are ingredients, events are cooking. Cooks boil, stir-fry, blanch, and boil to bring out a new taste that is not in the raw material. It's not an attribute, it's a relationship. It's not a personality, but a compatibility. The simple way to observe things cannot handle the puzzle of the world that is intricately intertwined. And, the interpretation of events must use a special tool. Gujo theory is the tool.



구조론은 수학화 시켜서 보는 방법이다. 들판에 흩어진 양떼를 수학이라는 우리에 가둬버린다. 닫힌계를 걸어 외부 변수를 차단하고 판을 키워서 유체의 성질을 부여하면 객체의 속성은 사라지고 수학적인 관계가 성질을 대신한다. 사건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고 토대를 공유하며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 있다. 사건의 메커니즘을 끌고 가는 핸들이 있다. 그 핸들을 잡아야 한다. 비로소 정상에서 전모를 보는 시선을 얻을 수 있다.



The Gujo theory is a mathematical way to see it. Sheep scattered in the field are trapped in a cage using the mathematics. If a closed system is hung to block external variables and increase the area of the system to give the properties of the fluid. Then,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disappear and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governs the properties. Inside the event, there is something that is symmetrical, shares the foundation, and rotates in conjunction. There is a handle that leads the mechanism of the event. You have to hold the handle. Only then can you get the full control from the peak to see the entire system.


프로필 이미지 [레벨:4]비밥여리

2022.01.28 (10:05:35)
*.240.162.3

첫 줄만 바꿔봤습니다.


Most human misjudgments are to confuse the direction of energy.

-> Most misjudgements by human being are to confuse the direction of energy.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22.01.28 (15:56:31)
*.244.135.141

좋네요. 이렇게 개선해야 할 문장이나 개념(용어)가 많을 거 같은데, 여력이 있으면 더 검토해주세요.

[레벨:30]스마일

2022.01.28 (19:41:38)
*.245.254.27

인간이 저지르는 대부분의 오판은 에너지의 방향을 헷갈리는 것이다. 우리는 임대와 임차를 헷갈리고, 빌다와 빌리다를 헷갈리고, 주인과 손님을 헷갈리고,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별하지 못한다. '쌀 팔아오너라.'고 하면 쌀집에 가서 쌀을 사오라는 말이다. 옛날 사람들은 사다와 팔다를 반대로 말한다. 한자어 매매賣買도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좋다.


Most misjudgment by human is to being confused in the direction of energy. We confuse rental and lease, confuse begand borrow, confuse owners and guests. We cannot distinguish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Sell the rice' in the conversation means to go get rice at rice stores. In the old days, people use the opposite meaning of sell and buy. ‘매매賣買’, selling and buying, in Chinese character sounds similar so it could make listeners confuse to understand the right meaning of it.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22.01.28 (20:09:16)
*.6.225.174

훨씬 잘 전달되네요

[레벨:30]스마일

2022.01.30 (15:25:33)
*.245.254.27

인간은 수직적 사고에 약하다. 대개 수평적 사고에 매몰되어 있다. 닭장에 갇힌 두 마리 닭이 서로 쪼아댄다.  A가 B의 원인이고 B가 A의 원인이다. 틀렸다. 두 마리 닭이 서로 쪼아대는 이유는 공간이 비좁아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 원인은 항상 둘이 공유하는 제 3자다. 수평에서 둘이 교착될 때 원인은 수직구조다. 2층에서 담배꽁초를 던졌는데 1층에 사는 두 사람이 서로 상대를 의심하며 싸우는 격이다. 여당은 야당탓 하고 야당은 여당탓한다. 대개 산업의 생산력이 원인이다. 남한은 북한탓, 북한은 남한탓 한다.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충돌이라는 더 큰 단위에 원인이 있다. 


People are poor at vertical thinking. They are usually overwhelmed by horizontal thinking. Two chickens in the chicken coop peck at each other. A is the cause of B and B is the cause of A. But that is wrong. The reason why two chicken peck is they get stressed because of the narrow place to share. The cause always comes from a third party shared by the two. When both come to standstill in the horizontal, the cause is from the vertical structure. For example, when someone throws a cigarette butt from the second floor, two people the neighbor on the first floor doubt and argue where the cigarette butt is from. The ruling party blames the opposition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blames the ruling party. Usually, industrial productivity is the cause of human development. South Korea blames north Korea and north Korea blames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a cause for a larger unit of the conflict for marine and continental hegemony.


바닷물이 증발하여 비구름이 되고 빗물이 다시 강으로 흘러간다. 물의 순환이다. 바다가 비의 원인이고 비가 바다의 원인이다? 틀렸다. 물을 순환시키는 주체는 태양이다. 태양이 바닷물을 증발시키고 중력이 빗방울을 낙하시킨다. 강물과 바다는 수평의 대칭이다. 원인은 수직의 태양과 중력이다. 대개 이런 식이다. 수평의 교착은 수직에서 타개해야 한다. 전후, 좌우처럼 수평적으로 대칭되는 것은 서로의 원인이 될 수 없다. 50 대 50으로 교착되기 마련이므로 사건을 격발할 수 없다. 항상 양자를 통일하는 제 3의 존재가 있다. 사건을 격발하는 상부구조는 수직구조에 있다.


The seawater becomes rain clouds and rain clouds flow to the river. It's water circulation. Sea is the cause of rain and rain is the cause of the sea. That’s wrong. Water is circulated by the sun. Sun creates water circulation. Sun makes seawater evaporate and gravitation make raindrop fall. River and sea are the horizontal symmetry. The cause is the vertical sun and gravitation. It’s usually like this. The stationary state due to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forces in a horizontal situation must be covered in a vertical situation. Symmetric things such as the front and the back left and right, cannot be the cause at each other. An event cannot be triggered because they are a stationary state in a situation of 50 versus 50. There is always a third party to unify the two parties. The vertical structure that explodes an event in the upper structure. 


A가 B의 원인이면서 동시에 B가 A의 원인으로 보이는 경우는 양자를 통일하는 진짜 원인 C가 배후에 숨어 있다. 약자들이 지역과 성별과 피부색으로 나누어 서로 싸우게 만들어놓고 이득을 취하는 강자의 노림수가 있다. 왼발이 오른발을 내딛는 원인이고 오른발이 왼발을 내딛는 원인인 것처럼 보인다. 왼발과 오른발은 수평의 교착이다. 사실은 수직의 몸통이 원인이다.


In the case A is the cause of B and B seems to be the cause of A at the same time, there is the real reason C that unifies two parties hides in the background. There is a scenario of the strong that they divide the weak into region, gender, skin color and they make the weak fight each other.  It seems that the left foot is the cause of the right foot walking forward and the right foot is the cause of the left foot walking forward. The left and right feet are a stationary state in the vertical situation. In fact, the vertical body is the cause.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22.01.31 (15:16:50)
*.235.15.143

주로 번역기를 돌리고 살짝 수정한 거라 오류가 많을 겁니다. 눈에 띄는 거부터 수정해주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렇게 협력해서 초벌번역이 다 되면 전문 번역자들에게 맡겨 완성도를 높일 예정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mowl

2022.02.06 (16:34:29)
*.244.135.141

https://docs.google.com/document/d/1_wVUm9zMalDQiWIolH_2sAL4Di1EfRAIPz8Jb_qr4wA/edit?usp=sharing

원문에 더해 댓글로 제안주신 내용들 구글독에 옮겨봤습니다.

제안주신 부분들은 쉽게 구분 가능하니 번역모임 등에서 개념등을 합의하는데 참고할 수 있을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 진리에의 초대 2장 구조론의 매력 천분의일 2022-01-28 907
» 구조 1장 ~ 7장 번역 모음 7 오리 2022-01-28 1154
51 01-27 번역 모임 (온라인) 오리 2022-01-27 684
50 사유의 표준촛불: 2장 방향과 기세 1 dksnow 2022-01-25 790
49 사유의 표준촛불: 1장 생각을 잘하자 dksnow 2022-01-22 942
48 진리에의 초대 1장: 구조와 공유결합 4 천분의일 2022-01-20 942
47 구조 6장 게임의 초대 dksnow 2022-01-20 854
46 구조 7장 구조의 발견 dksnow 2022-01-19 770
45 구조 5장 사건의 세계 천분의일 2022-01-18 811
44 구조4장 언어의 완성 3 천분의일 2022-01-16 861
43 구조 3장. 전부 거짓말이다 mowl 2022-01-14 1026
42 구조 2장. 의사결정 5단계 오리 2022-01-13 896
41 구조 1장, 엔트로피 양질전화 dksnow 2022-01-13 863
40 01-13 구조론 번역모임(온라인) 오리 2022-01-13 685
39 질입자힘운동량 dksnow 2022-01-11 680
38 번역 툴 1 mowl 2022-01-10 872
37 01-06 구조론 번역모임(온라인) 3 오리 2022-01-06 899
36 번역 방식 '종교와 대안'을 중심으로 2 dksnow 2021-12-28 1353
35 2021.12.23 구조론 번역 모임 -온라인 6 오리 2021-12-23 1363
34 구조론 키워드 모음 (구글 스프레드시트) image 1 mowl 2021-12-20 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