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531 vote 0 2022.02.04 (09:49:36)

The perspective of change

 

세상은 변화다. 변화를 해명하는 것은 구조론이고,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수학이고, 변화의 결과를 확인하는 것은 과학이다. 과학은 변하지 않는 것을 규명한다. 변화는 사건 내부에서 일어나는데, 과학은 사물의 외부를 관찰한다. 생물의 진화든 정치의 진보든 변화다. 우연한 변화가 아니라 질서있는 변화다. 과학은 여태 변화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여러가지 추측이 난무할 뿐이다

The world is a change itself. It is Gujoron that explains a change, mathematics that measures the change, and science that confirms the outcome of the change. Science identifies things that don't change. Changes occur inside events, and science observes the outside of objects. It is a change, whether it is the evolution of living things or the progress of politics. It is not an accidental change but an orderly change. Science has not been able to explain changes so far. It is producing only a lot of speculations.

 

활을 쏘는 것은 구조론이고, 화살이 날아간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수학이고, 과녁에 꽂힌 화살을 찾는 것은 과학이다. 과학이 관심을 보였을 때는 변화가 끝난 시점이다. 구조론이 먼저다. 사건이 먼저 일어나고 인간들은 뒤늦게 사건을 인지한다. 사건은 원인에서 결과로 진행하고, 인간이 사건을 인지한 시점은 결과가 확정된 후다. 추론은 이를 되짚는 것이다. 결과에 서서 원인을 찾아 거슬러 올라간다. 자연의 전개와 인간의 추론은 방향이 다르다. 혼선이 빚어진다.

It is Gujoron that shoots an arrow, mathematics that measures the distance the arrow flew, and science that finds the arrow stuck in the target. When science shows interest, it is the time when change is already over. Gujoron precedes. Events occur first and humans perceive them belatedly. Events proceed from cause to effect. Events occurs first, and humans become aware of them later, and the time is after the effects are confirmed. Inference is to trace it in reverse order. It goes back to finding the cause from an effect. The development of nature and human inference are in different directions. There must be confusion.

 

학문에는 인과관계에 따른 서열이 있다. 구조론이 모든 학문의 어머니다. 구조론 > 수학 > 물리학 > 화학 > 생물학 > 심리학 > 사회학 순으로 전개한다. 사회가 그런 것은 인간의 심리가 그래서다. 심리가 그런 것은 생물의 진화가 그래서다. 생물이 그런 것은 화학이 그래서, 화학이 그런 것은 물리가 그래서, 물리가 그런 것은 수학이 그래서, 수학이 그런 것은 구조론이 그래서다.

There are sequences of academic studies according to cause-and-effect relation. Gujoron is the source of all studies. It develops in the order of Gujoron > mathematics > physics > chemistry > biology > psychology > sociology. The reason, society is like that, is because it is based on human psychology. It is becasue psychology is based on biology, biology is based on chemistry, chemistry is based on physics, physics is based o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is based on Gujoron.

 

수학의 출발점은 집합론이고 집합이 만들어지는 것은 의사결정구조다. 집합은 모인다. 그런데 왜 모일까? 사실은 복제된다. 자동차가 지나가면 바퀴자국의 집합이 탄생한다. 집합은 왜 생겼지? 자국들이 모인 게 아니고 차가 지나간 것이다. 자국은 타이어의 트레드를 복제한다. 세상은 물질의 집합이 아니라 원본의 복제다. 모든 복제의 원본은 구조다. 정치든, 경제든, 사회든, 문화든, 생물이든, 우주든 하나의 보편구조를 복제한다.

The starting point of mathematics is ‘Set theory’, and it is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that sets are made. A set gathers. Then why gather? In fact, it is replicated. When car passes by, a set of wheel marks is created. Why is the set created? The marks did not gather, but it is the set that cars passed by. The marks replicate the tread of the tire. The world is not a set of matter, but a copy of the original. The original of all copies is Gujo. It replicates a universal structure, whether it i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biology, or the universe.)

 

자궁을 통과하지 않고 태어난 사람은 없다. 모든 존재는 거쳐가는 자궁이 있다. 그것을 그것이게 하는 그것이 있다. 탄생의 절차가 있다. 주체와 객체의 상호작용구조에서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거기서 모두 만난다. 존재는 그 다음이다.

No one was bor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womb. All existence have a womb through which they pass. There is the one that makes something into it. There is a process of birth. Decision-making takes place in the structure of intera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y all meet in the spot. Existence is the next order.

 

우리는 변화를 불길하게 여기지만 변화는 존재의 원래 모습이다. 원래 안정된 것이 어떤 불행을 맞아 변화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존재는 내부에 변화를 감추고 있다. 각운동량을 숨기고 있다. 물질은 겉으로 안정되어 있지만 소립자 단위로 쪼개보면 내부에 활발한 변화가 숨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왜 변할까? 원래 변화를 품고 있다. 그게 에너지다. 균형을 추구하는 불균형이 에너지다. 불균형은 다른 균형으로 옮겨간다. 우리는 잽싸게 빨대를 꽂고 에너지를 빼먹을 수 있다.

You regard a change ominous, but change is the original form of existence. Originally, stable things don't be changing due to any misfortune, and all existence are hiding changes inside. They are hiding angular momentum. Matter is stable on the outside, but if you split it into small particles, you can see that there is an active change hidden inside. Why does it change? It originally has change inside. It's energy. Energy is an imbalance that seeks balance. The imbalance shifts to another balance. At this time, you can quickly plug in a straw and secretly suck up energy.

 

우리가 눈으로 목격하는 것은 안정된 물질이다. 안정된 물질은 변화가 나란한 것이다. 어떤 균형에 도달해서 겉으로는 변화가 멈추어 있다. 변화가 없어진 게 아니고 겉보기의 나란함에 의해 변화가 내부로 숨겨진 것이다. 나란함을 깨뜨려서 변화를 드러내면 에너지다. 에너지를 상자에 가둔 다음 한 곳에 구멍을 뚫어 에너지가 균형을 찾아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만들면 동력을 얻을 수 있지만 상자에 가두는 비용이 더 들기 때문에 결국 도로아미타불 되는게 엔트로피다. 무한동력은 그래서 실패한다.

What you see in your eyes is a stable matter. Stable matter is in a state of being parallel in change. It seems to have reached a certain balance and stopped changing on the outside. The change did not disappear, instead, the change is hidden inside by being parallel outside. But if you break being parallel and reveal a change? That's energy. Lock energy in a box, drill a hole, let the energy move finding balance in one direction. Then, of course, you will gain power, but it costs more to lock up in a box and eventually becomes a meaningless attempt, which is entropy. That's why infinite power fails.

 

에너지는 원래 나란하지 않으나 외부에서 흔들면 나란해지려고 한다. 원심분리기를 돌리면 정렬한다. 외부의 흔드는 힘에 의해 나란해지려는 상태를 위치에너지라고 하고 그 위치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운동에너지라고 한다. 고대에 햇볕에 의해 가두어져 나란해진 것을 흔들어서 빼먹는 것은 화석에너지다.

Energy is not originally parallel, but it tries to be parallel when shaken from the outside. When the centrifuge is turned, it tries to be parallel. The state to be parallelized by the external shaking force is called ‘potential energy’ and the shifting of potential energy is called ‘kinetic energy’. And figuratively speaking, fossil energy is to shake and drink being parallelized by the sun of ancient times.

 

에너지는 고유한 각운동량에 의해 확산방향으로 흩어지려고 하고, 흩어지면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면 비효율적이고, 비효율적이면 지고, 지면 깨지고, 깨지면 다른 것에 흡수된다. 살아남은 것은 이기는 것이고, 이기는 것은 효율적이고, 효율적인 것은,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것이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것은 밸런스고, 밸런스를 만드는 방법 중의 하나는 회전이다. 그래서 은하는 회전하고, 지구는 공전하고, 별들은 자전한다. 소용돌이든 회오리 바람이든 마찬가지다. 생물의 진화든 문명의 진보든 밸런스를 만드는 방법이다. 생물은 진화하면 이기고 이기면 살아남는다. 문명은 진보하면 이기고 이기면 살아남는다. 생물은 환경과의 밸런스를 추구하여 이기고, 인간은 사람과의 의리를 추구하여 이긴다. 자연의 생물이든 인간의 문명이든 밸런스를 추구하는 것이다. 의리는 집단의 의사결정이 가능한 상태를 추구한다.

Energy tends to disperse in the diffusion direction by its own angular momentum, takes up a lot of space when scattered, loses when being inefficient by a lot of space, it breaks when defeated by being inefficient, and it is wholly absorbed when broken. To survive is to win, to win is to be efficient, to be efficient is to take up less space, to take up less space is balance, and a way to create a balance is to rotate. So the galaxy rotates, the earth orbits, and the stars revolve, whether it is a whirlpool or a whirlwind. It's only a way to balance, whether it's the evolution of living things or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When living things evolve, they win, and when they win, they survive. When Civilization advances, it wins, and when it wins, it survives. Living things win by seeking balance with the environment, and humans win by pursuing loyal with people. Loyal pursues a state in which group decision-making is possible. Whether it is a living things of nature or human civilization, it pursues a whole balance.


존재는 변화이며, 변화는 에너지고, 에너지는 불균형이며, 불균형은 균형을 찾아 확산된다. 외력이 작용하면 확산보다 수렴이 더 쉽게 균형을 찾아낸다. 평소에는 흩어져서 균형을 이루지만 외력이 작용하면 소용돌이나 회오리바람과 같이 모여서 균형을 찾는다. 확산이 수렴으로 바뀌는 것이다. 수렴이 한번 시작되면 계속 간다. 질에서 입자로 힘으로 운동으로 량으로 간다. 어떤 수단으로 에너지를 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좁은 장소에 가두면 동력이 된다. 가두는 비용이 더 들기 때문에 억지로 가두면 손해라는게 엔트로피다. 중력에 의해 가둬진 에너지가 초신성 폭발로 흩어지는 중에 우연히 충돌하여 공유결합으로 가둬진게 우리가 아는 수소보다 무거운 물질이다. 겉보기로 가두어져 있을 뿐 여전히 변화는 내부에 잠복해 있다. 우주의 근본은 변화가능성이다.

An existence is a change, the change is an energy, the energy is an imbalance, and the imbalance spreads seeking balance. When external forces are applied, convergence finds balance more easily than diffusion. Usually, it is scattered and balanced, but when external force acts, it is balanced by gathering like a whirlpool or whirlwind. It changes from diffusion to convergence. Once convergence begins, it continues. It goes in the order of quality, particles, force, movement, and quantity. When energy is locked up in an enclosed space where an external force can act through some means, it becomes a power. Entropy states that the more you lock up, the greater the cost of loss. While the energy, locked up by gravity, is scattered by supernova explosions, there is something that accidentally collides and locked up as a covalent bond. That is, as we know, a substance heavier than hydrogen. It is only locked up on the surface, but the change is still lurking inside. The basis of the universe is changeability.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 언어의 의미 5장: 자기소개의 오류 천분의일 2022-02-26 410
72 언어의 의미 4장: 닫힌계의 사유 천분의일 2022-02-25 461
71 사유의 표준촛불 9장 구조론의 진리 dksnow 2022-02-25 342
70 사유의 표준촛불 8장 진리의 강렬함 dksnow 2022-02-24 349
69 사유의 표준촛불 7장 이론의 강력함 dksnow 2022-02-22 397
68 언어의 의미 3장: 인지부조화 사태 천분의일 2022-02-21 1054
67 언어의 의미 2장: 언어파괴자 대책 천분의일 2022-02-18 429
66 언어의 의미 1장: 파인만의 설명법 천분의일 2022-02-16 576
65 사유의 표준촛불 6장 이론적 확신 dksnow 2022-02-15 459
64 진리에의 초대 10장: 기본 구조 천분의일 2022-02-13 636
63 진리에의 초대 9장: 부름과 응답 천분의일 2022-02-12 443
62 진리에의 초대 8장: 진리에의 초대 천분의일 2022-02-09 509
61 사유의 표준촛불 5장 dksnow 2022-02-08 465
60 진리에의 초대 7장: 변화와 저절로 천분의일 2022-02-08 403
59 진리에의 초대 6장: 구조의 탄생 천분의일 2022-02-04 686
» 진리에의 초대 5장: 변화의 관점 천분의일 2022-02-04 531
57 사유의 표준촛불 4장 dksnow 2022-02-04 508
56 진리에의 초대 4장 숫자 원자 구조자 2 천분의일 2022-02-02 806
55 사유의 표준촛불 3장: 진리의 완전성 dksnow 2022-01-31 689
54 진리에의 초대 3장 구조론의 자 천분의일 2022-01-29 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