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10]dksnow
read 331 vote 0 2022.03.16 (23:34:18)

ch 2. deduction and induction


사물은 외부를 보고 사건은 내부를 본다. 사물은 관측자가 바깥에 있으므로 외부를 본다. 사건은 형태가 없으므로 외부가 없다. 사건은 어떤 둘 사이의 관계이므로 자연히 내부를 보게 된다. 사물의 관측이라도 내부를 뜯어볼 수도 있지만 뜯어보는 행위 자체가 추론을 필요로 하는 사건이다. 사물은 관측자가 있고 사건은 관측자가 없다. 사물은 관측자가 개입하므로 관측의 상대성에 의해 왜곡된다. 사건은 관측자가 없는데 어떻게 관측하는가? 자신이 자신을 관측하게 한다. 왼팔이 오른팔을 관측한다. 그것이 대칭이다. 사건은 대칭을 추적한다. 사물의 관측은 장님 코끼리 만지기와 같은 불완전한 지식이며 사건의 복제는 완전하지만 원본이 필요하다. 대칭구조를 알고 가야 한다. 사전에 만들어져 있는 의사결정 모형이 필요하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은 하나의 모형을 사용하므로 어렵지 않다.

Things look outside and events look inside. Things look outside because the observer is outside. The case has no form, so there is no outside. An event is a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so you naturally see the inside. Even if it is an observation of an object, you can open the inside, but the act of opening it itself is an event that requires reasoning. Things have observers and events have no observers. Things are distorted by the relativity of observation because the observer intervenes. How do you observe an event when there are no observers? Let yourself observe yourself. The left arm observes the right arm. That's the symmetry. Events track symmetry. Observation of objects is incomplete knowledge like touching blind elephants, and reproduction of events is complete, but the original is needed. You have to know the symmetrical structure. A pre-made decision-making model is needed. Every event in the universe uses a single model, so it is not difficult.


자연 - 존재 - 연역 - 모형의 복제 - 완전한 지식

    인간 - 인식 - 귀납 - 외양의 관측 - 불완전한 단서

Nature - Existence - Deduction - Reproduction of Model - Complete Knowledge
Human - Recognition - Induction - Observation of Appearance - Incomplete Clues


안다는 것은 자연과 인간을 대칭시키는 것이다. 자를 대서 물체의 크기를 재는 것과 같다. 자연의 존재와 인간의 인식이 대칭되어 연역과 귀납을 이룬다. 자를 재서 길이를 알듯이 자연을 복제해서 지식을 얻는 것이다. 인간이 실제로 지식을 구성하는 방법은 연역이다. 연역이 자의 눈금을 확인하는 절차라면 귀납은 자를 물체에 가져다 대는 절차다. 자를 대는 것은 지식의 획득에 필요한 절차일 뿐 지식이 아니다. 

Knowing is a symmetry between nature and man. It's like measuring an object with a ruler. The existence of nature and human perception are symmetrical to form deductions and induction. As you know the length by measuring a ruler, you get knowledge by cloning nature. The way humans actually construct knowledge is deductions. If deduction is a procedure for checking a ruler's scale, induction is a procedure for bringing the ruler to an object. Putting a ruler is only a necessary procedure for acquiring knowledge, not knowledge.


사소한 일은 귀납으로 해도 된다. 장님이 코끼리를 만진다면 코끼리의 귀와 머리와 다리와 꼬리와 배가 각각 다르지만 구슬을 만진다면 그냥 알 수 있다. 단순한 사실은 귀납의 넘겨짚기가 먹힌다. 점장이가 쓰는 방법이 귀납이다. 이사철에 오는 사람은 이사문제 상담이고, 입시철에 오는 사람은 입시문제 상담이고, 인색이 안 좋으면 이혼문제다. 경험있는 점장이는 표정과 말투만 봐도 많은 부분을 넘겨짚기로 맞출 수 있다. 장님 점장이는 냄새로 많은 것을 알아맞추는데 다들 탄복한다. 그러나 과학을 이 따위로 하면 망한다. 과학은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므로 과거의 경험을 사용할 수 없다.

Small things can be solved by induction. If a blind person touches an elephant, the elephant's ears, head, legs, tail, and belly are different, but if you touch a bead, you can just tell. Simple facts are subject to induction. The way the store manager writes is induction. Those who come during the moving season are counseling on moving issues, those who come during the entrance examination season are counseling on entrance examinations, and those who are stingy are divorce issues. Experienced store managers can guess many parts by just looking at their expressions and speech. The blind store manager recognizes a lot of things by smell, and everyone admires it. However, if science is done like this, it will be ruined. Science challenges new fields and cannot use past experiences.


사람들이 귀납에 의존하는 이유는 연역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천재의 아이디어는 이미 알고 있는 패턴을 새로운 사실에 적용하여 복제한 것이다. 1+2를 알려주면 3+4는 알려주지 않아도 스스로 알아낸다. 그것이 연역의 복제다. 복제의 원본은 깨달음이다. 대개 연역은 뇌 안에서 자동으로 일어난다. 아기가 말을 배우는 것은 연역이다. 옹알이는 귀납이다. 옹알이를 하다보면 갑자기 깨달아서 어느 순간 문장을 만들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동물은 그게 안 되는데 천재견은 눈치만 가지고도 상당히 된다. 연역은 아기가 옹알이를 하다가 문법을 터득하듯이 무의식 상태에서 저절로 일어나는데 그것을 의식적으로 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People rely on induction because they don't know how to deduce. The idea of a genius is to replicate a pattern already known by applying it to new facts. If you tell me 1+2, I can figure out 3+4 on my own without telling you. That's a copy of the deduction. The original copy is realization. Usually, deductions occur automatically in the brain. It is deductive for a baby to learn to speak. Babling is induction. When you babble, you suddenly realize and at some point you find yourself making sentences. Animals can't do that, but genius dogs are considerable just by being sensible. Deduction occurs spontaneously in an unconscious state as if a baby is learning grammar while babbling, and it is a realization to consciously do it.


인간에게는 타고난 언어본능이 있다. 옹알이는 무작위로 일어난다. 우연히 의미가 맞아떨어지면 반응이 온다. 쾌감을 느끼는 것이다. 아기는 그 쾌감을 재현하여 문장을 터득한다. 나이가 들면 옹알이를 해도 쾌감이 느껴지기 않으므로 외국어를 배우기가 어렵다. 강아지는 생후 4개월에 쾌감이 작동하여 길들여진다. 그 시기를 지나면 잘 안 된다.

Humans have a natural linguistic instinct. Babling occurs at random. If the meaning is coincidental, the reaction comes. It's a feeling of pleasure. The baby learns the sentence by reproducing the pleasure. It is difficult to learn a foreign language when you get older because you don't feel good even if you babble. Dogs are tamed at the age of four months by their pleasure. It's not going to work well after that period.


개는 배회법으로 길을 찾는다. 마구잡이로 돌아다니다가 냄새가 나는 범위를 이탈하면 방향을 바꾼다. 개는 배회하면서 냄새영역 안에 머무르려고 하는 것이다. 이 행동을 반복하면 범위가 좁혀져서 목적지에 도달한다. 인간의 지식도 같다. 무작위로 귀납하여 단서를 모으다가 그 중에서 특별히 반응이 오는 것을 추출한다. 뇌의 자동반응을 사용한다. 패턴이 포착될 때 딱 느낌이 와준다. 연역반응이 둔한 사람은 지능이 낮은 것이다.

Dogs find their way by roaming. If you wander around recklessly and leave the smelly area, you change direction. The dog roams around and tries to stay in the smell area. Repeating this action narrows the scope and reaches the destination. Human knowledge is the same. Randomly inductive, collect clues, and extract special responses from them. It uses automatic brain reactions. When the pattern is captured, the feeling comes right away. People with slow deductive reactions are less intelligent.


뇌의 연역능력은 원래부터 가지고 태어난 의사결정 모형이다. 뇌가 만들어진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 것이다. 소뇌가 동작을 익힐 때는 소거법을 쓴다. 처음에는 팔다리의 동작에 여러가지 뉴런을 마구잡이로 연결하다가 방해자를 하나씩 소거해서 가장 정확한 동작 하나를 남기고 연결을 잘라버리는 것이다. 강아지의 배회법과 같다. 마구잡이로 돌아다니다가 점차 범위를 압축하여 가장 좋은 코스를 찾아낸다. 대뇌는 다른 방법을 쓰겠지만 인간의 깨달음은 뇌가 만들어지는 절차를 복제한 것이다. 그 방법으로 뇌가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를 복제하여 그 방법으로 지식을 연역한다. 

The brain's ability to deduce is a decision-making model born with it. The principle of the brain being created is applied as it is. When the cerebellum learns how to move, it uses an erase method. At first, various neurons are randomly connected to the movement of the limbs, and then the interrupter is erased one by one, leaving one of the most accurate movements, and the connection is cut off. It's the same as a dog's roaming method. After going around recklessly, gradually compressing the range to find the best course. The brain may use other methods, but human enlightenment is a replica of the process in which the brain is created. Since the brain was created in that way, it is duplicated and knowledge is deduced in that way.


깨달음을 얻으면 의식적으로 연역할 수 있지만 대부분 뇌의 자동반응으로 연역한다. 귀납은 연역에 필요한 단서를 조달한다. 마구잡이로 단어를 주워섬기다가 반응이 오는 패턴을 찍는다. 문제는 마구잡이 투척에 흥미를 느껴서 뇌에서 반응이 오지 않는데도 반응이 온 걸로 간주해버리는 괴력난신 삽질이다. 각종 음모론, 사차원, 초능력, 텔레파시, 지구평면설, 내세, 천국, 귀신  따위가 그러하다. 뇌의 반응이 오지 않았는데 왔다치고 아무말 대잔치를 벌인다. 

When enlightened, they can consciously deduce, but most of them deduce through automatic brain reactions. Retribution provides the clues necessary for deduction. Pick up words randomly and take a pattern of reactions. The problem is the powerful shoveling, which is regarded as having a reaction even though the brain is not responding because it is interested in throwing random things. These include various conspiracy theories, four dimensions, superpowers, telepathy, earth flatness, the afterlife, heaven, and ghosts. While the brain does not respond to them, people in those say anything.


귀납은 지식을 만들 수 없지만 귀납에 학습을 보태면 커다란 성과가 있다. 학습은 모방이다. 무조건 따라하다보면 지식이 되는 수가 있다. 모방하는 중에 덜컥 하고 반응이 오는데 그 반응을 알아채는 것은 연역이다. 귀납은 지식이 아니지만 귀납에 학습을 더하면 연역반응이 작동할 확률이 높아진다. 귀납은 아기의 무의미한 옹알이고 옹알이를 하다가 뭔가 반응이 오는 패턴을 추출하는게 연역이다. 그 반응은 뇌 안에서 무의식 중에 만들어진다.

Induction cannot make knowledge, but if you add learning to induction, there is a great achievement. Learning is imitation. If you follow it unconditionally, you can become knowledge. It is deductive to notice the reaction when there is a sudden reaction while imitating. Induction is not knowledge, but adding learning to induction increases the probability that deductive reactions will work. Induction is a meaningless babble of a baby, and the deduction is to extract a pattern in which something responds while babbling. The reaction is made unconsciously in the brain.


귀납적 지식은 진짜 지식이 아니므로 시행착오를 유발한다. 도박사의 오류와 같다. 우연히 맞았는데 특별한 기술로 맞췄다고 착각한다. 맞는 순간 뇌에서 반응이 오기 때문이다. 그게 뇌의 거짓 반응이다. 가끔 뇌가 거짓말을 하기 때문에 인간이 그릇된 확신에 빠지는 것이다.

Inductive knowledge is not real knowledge and causes trial and error. It's like a gambler's mistake. I accidentally hit it, but I mistake it for a special skill. This is because the brain reacts as soon as it is hit. That's a false response from the brain. Sometimes the brain lies, so humans fall into false convictions.


뇌가 반응하는 구조를 알아야 복제할 수 있다. 1+1=2를 알면 2+2=4도 알게 되는 것은 연역이다. 1, 2, 3, 4를 아는 것은 귀납이다. 귀납은 학습을 통해 연역에 필요한 단서를 조달한다. 우리는 부모와 교사와 서적의 도움을 받으며 귀납에 익숙해 있지만 외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태 도달하면 곤란해진다. 우수한 인재가 정치판에만 가면 바보가 되는 이유다. 정치는 누구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연역의 세계이기 때문이다.

You need to know how the brain reacts to replicate it. If you know 1+1=2, you also know 2+2=4. Knowing 1, 2, 3, and 4 is induction. Induction provides clues necessary for deduction through learning. We are accustomed to induction with the help of parents, teachers, and books, but we are in trouble when we reach a state where we cannot get outside help. This is why talented people become fools whenever they go to politics. This is because politics is a world of deductions where no one can help.


창의하려면 연역해야 한다. 귀납은 부분에서 전체로 가고 연역은 전체에서 부분으로 간다. 창의하려면 먼저 전체과정을 알아야 한다. 자연의 완전성을 깨달아야 한다. 어떤 것이 자극에 반응하는지에 대한 감각을 익혀야 한다. 예술가는 본능적으로 그것을 안다. 원래 예민한 사람이라서 대중이 어디에 반응하는지 공격패턴을 알아내고 클리셰를 만든다. 대형 출판사 편집장은 어떤 서적이 베스트셀러가 되는지 알고 있다. 광고 전문가는 어떤 광고가 먹히는지 안다. 그 감각이 연역이다.

If you want to be creative, you need to use deduction. Induction goes from part to part, and deduction goes from part to part. To be creative, you must first know the whole process. We must realize the integrity of nature. You should learn a sense of what responds to stimuli. Artists know it instinctively. He is originally a sensitive person, so he finds out where the public responds and makes clichés. The editor-in-chief of a major publishing company knows which books become bestsellers. Advertising experts know what ads work. The feeling is deductions.


형편없는 만화가도 대중의 반응점을 찾아내면 단번에 뜬다. 반응점은 캐릭터에 숨어 있다. 캐릭터를 그림으로 구현하려면 자잘한 테크닉을 익혀야 한다. 테크닉은 귀납이다. 대중이 반응하는 지점을 본능적으로 알아내는 것은 연역이고 테크닉을 익혀서 실제로 그것을 구현하는 것은 귀납이다. 귀납은 지식을 보조할 뿐 지식의 본질과 멀다. 연역은 깨달음이다. 깨닫지 못한 개그맨들은 우연히 반응할 때까지 이것저것 마구 투척해보는 수 밖에. 우연히 유행어가 먹히면 비슷한 것을 복제한다. 김국진이 특별히 유행어를 민 것도 아닌데 무슨 말을 해도 유행어가 되던 시기가 있었다. 코드가 맞아서 대중이 반응한 것이다.

Even a poor cartoonist can see the public's reaction point at once. The reaction point is hidden in the character. You have to learn a small technique to make a character into a picture. Techniques are induction. Instinctively figuring out where the public responds is deductive, and it is inductive to learn the technique and actually implement it. Induction only aids knowledge, but is far from the essence of knowledge. Deduction is enlightenment. Comedians who don't realize it have no choice but to toss and turn until they happen to react. If a buzzword is accidentally eaten, it replicates something similar. There was a time when Kim Kook-jin, a famous comedian in S. Korea did not especially push for buzzwords, but no matter what he said, it became a buzzword. The public reacted because the code was right.


존재론의 연역
    배경, 실체, 연관, 이행, 귀결

    (전체 - > 부분)


    인식론의 귀납
    지각, 수용, 분석, 종합, 응용
    (부분 - > 전체)

ontological deduction
background, substance, connection, transition, consequence
(Overall -> Part)

induction of epistemology
perception, acceptance, analysis, synthesis, application
(Part->Overall)


연역은 전체의 그림을 가지고 시작하며 귀납은 그냥 이것저것 시도한다. 전체의 그림은 대상이 반응하게 하는 것이다. 완전해야 반응한다. 파장이 맞아야 반응한다.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구조가 갖추어져야 반응한다. 하나라도 빠지면 반응하지 않는다. 아는 사람은 반응을 설계할 수 있다. 연역은 무한복제되므로 잘 설계하면 지식의 빅뱅을 일으킬 수 있다. 세상을 통째로 바꾼다. 한류가 흥하게 한다. 반면 완전하지 않으면 계속 실패한다. 역사 이래 대부분의 이념이 좌절한 이유는 완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귀납은 초반에 쉽게 성공한다. 단 제대로 되지 않는다. 결국 괴력난신으로 흘러가고 음모론으로 흘러간다. 

Deduction begins with the whole picture, and induction just tries one thing or another. The whole picture is to make the object react. It reacts only when it is complete. It reacts only when the wavelength is right. It reacts only when the structure is established from the input of energy to the output. If you miss one thing, you won't react. Those who know can design responses. Deductions are infinite replication, so well-designed can cause a big bang of knowledge. It changes the whole world. The Korean Wave is booming.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complete, it will continue to fail. The reason why most ideologies have been frustrated since history is that they are incomplete. On the other hand, induction is easily successful in the early stages. But it doesn't work. Eventually, it flows into a superstition (such as prodigies, force, disorders and gods) and into conspiracy theories.


연역 - 잘 안되지만 한 번 되기 시작하면 크게 흥한다.

    귀납 - 초반에 되는듯 하다가 어느 순간 망한다.

Deduction - It doesn't work well, but once it starts, it's a big hit.
Induction - It seems to be working in the beginning, but at some point it's ruined.


연역으로 가면 시작도 못하고 좌절하지만 귀납은 어떻게든 중간까지는 가므로 사람들은 귀납을 선호한다. 사이비 종교도 중간까지 가고 다단계도 중간까지 간다. 될듯될듯 희망고문을 하지만 절대로 안 된다. 마지막 한 고비를 넘지 못한다. 우리는 연역을 해야 한다. 연역은 잘 안 되지만 만 명이 시도하면 그 중에 한 명이 된다. 나머지는 그 한 사람의 성공에 묻어가면 된다. 

If you go to deductive work, you can't start and get frustrated, but people prefer induction because it somehow goes to the middle. Pseudo-religion goes to the middle and multi-levels go to the middle. It seems like it's going to work, but it's not going to work. You can't get past the last hurdle. We have to deduct. The deduction is not good, but if 10,000 people try it, it becomes one of them. The rest can be buried in the success of that one person.


바른 방법은 시행착오와 오류시정을 겁내지 않는 것이다. 먼저 연역의 큰 그림을 그린 다음 반응이 올때까지 귀납하여 소스를 마구잡이로 투척하다가 그 중에 하나가 반응하면 재빨리 연역으로 갈아타야 한다. 지금까지 얻은 귀납의 성과를 모두 폐기하고 원점으로 돌아가서 전체의 그림을 재구성해야 한다. 그럴 배짱이 있어야 한다. 과단성이 있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손실을 달게 받아들여야 한다. 노력한 것이 아까워서 중간성과에 미련을 두다가 망하는게 보통이다. 순수한 어린 아이의 마음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The right way is not to be afraid of trial and error and correction of errors. First, draw a big picture of the deduction, and then induct it until a reaction comes, throw the themes randomly, and if one of them reacts, you have to quickly switch to the deduction. All the results of the induction so far must be discarded, returned to square one, and the whole picture must be reconstructed. You should have the guts to do that. You have to be decisive. We must accept the losses incurred in the process. It is usually a waste of effort, so it is common to regret the intermediate performance and fail. You must return to the heart of a pure little child.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 생각의 기술 8장: 일원론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6 221
92 생각의 기술 7장: 방향성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4 292
91 생각의 기술 6장: 기세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2 328
90 사간의 해석 3장 존재와 인식 dksnow 2022-03-21 272
89 생각의 기술 5장: 숨은 플러스 알파 천분의일 2022-03-21 278
88 생각의 기술 4장: 게임의 법칙 천분의일 2022-03-17 333
» 사건의 해석 2장 연역과 귀납 dksnow 2022-03-16 331
86 생각의 기술 3장: 지렛대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15 344
85 생각의 기술 2장: 의리와 매력 천분의일 2022-03-13 478
84 사건의 해석 1장 구조론 원자론 dksnow 2022-03-12 656
83 생각의 기술 1장: 모형적 사유 천분의일 2022-03-11 404
82 언어의 의미 11장: 의미의 연결 천분의일 2022-03-11 319
81 사유의 표준촛불 13장 코페르니쿠스 소환 dksnow 2022-03-09 628
80 사유의 표준촛불 11장 게임의 시작 dksnow 2022-03-09 290
79 언어의 의미 10장: 언어의 구조 천분의일 2022-03-08 375
78 언어의 의미: 9장 타인에게 말걸기 천분의일 2022-03-07 436
77 언어의 의미 8장: 언어가 잘못했다 천분의일 2022-03-05 354
76 사유의 표준촛불 10장 엔트로피 dksnow 2022-03-02 298
75 언어의 의미 7장: 메신저 공격의 오류 천분의일 2022-03-01 361
74 언어의 의미 6장: 위하여의 오류 천분의일 2022-02-28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