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10]dksnow
read 655 vote 0 2022.03.12 (01:39:55)

Interpretation of events

ch 1. Gujo theory and atomic theory


구조는 내부다. 원자는 외부다. 바라보는 지점이 다르다. 구조론이 극복하려는 것은 원자론과 그에 따른 뉴턴의 기계론, 결정론 관점이다. 공간의 일의성을 부정하는 시간적 인과율 관점이다. 사람들이 관측된 사실의 변화는 마지 못해서 받아들이는데 관점의 변화를 못 받아들인다. 아인슈타인의 양자역학 부정과 같다.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상대성이론으로부터 비롯된 양자역학의 계산은 인정하는데 의미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모형을 복제하여 다른 곳에 써먹기를 거부한 것이다. 숨은 변수가 있을지 모르므로 섣불리 모형을 만들지 말고 기다려보자는 식이었다.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의 확률적 해석이 내포하는 비결정론, 비실재성, 비국소성을 거부한다. 그것은 인류가 지금까지 축적해온 송두리째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뉴턴도 종교적 관점을 버리지 못했고 아인슈타인도 플라톤 이래의 서구적인 경직된 세계관을 버리지 못했다.

The Gujo is inside. An atom is outside. The point of view is different. What Gujo theory is trying to overcome is atomic theory, Newton's mechanical theory, and determinism. It is a perspective of temporal causality that denies the unity of space. People reluctantly accept changes in observed facts, but they cannot accept changes in perspective. It is like Einstein's denial of quantum mechanics. Einstein could not accept meaning in acknowledging the calculation of quantum mechanics resulting from his theory of relativity. They refused to replicate the model and use it elsewhere. There may be hidden variables, so let's not rush to make a model and wait. Einstein rejects the non-determinism, non-realism, and non-locality implied by the stochastic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This is because it is the whole denial that mankind has accumulated so far. Newton failed to abandon his religious perspective and Einstein failed to abandon his Western rigid worldview since Plato.


서구의 선형적 사고 - 시간의 인과율 - 주체에서 객체로 화살처럼 일직선으로 날아간다.

    동양의 입체적 사고 - 공간의 일의성 - 콤파스의 센터 하나가 대칭된 다리 둘을 동시에 결정한다.

Western linear thinking - the causal rate of time - flies in a straight line from subject to object like an arrow.
Oriental three-dimensional thinking - unity of space - one center of the compas determines both symmetrical legs at the same time.


동양은 원래 입체적이다. 주역의 변화중심적 사유, 공자의 중용, 석가의 중도, 노자의 이유극강, 불교의 색즉시공이 모두 서구의 이데아론, 원자론, 결정론, 기계론과 반대되는 관점이다. 인간은 사유의 방법이 한 번 고정되면 거기서 벗어나지 못한다. 자신이 편항된 관점에 갇혀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도 못한다. 그 전에 관점의 존재 자체를 모른다.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나 헤겔의 변증법에 와서 새로운 모색을 시작했지만 모색에 그쳤다. 플라톤에서 마르크스까지 그들은 달라진게 없다. 그들은 유일신을 쳐다보았고 신은 북극성처럼 제 자리에 있어야 하며 그러므로 물질도 신의 불변하는 속성을 가져야 한다고 믿은 것이다. 변화를 탐구하면 신을 의심하는 모양새가 된다. 신 앞에 불경죄를 짓는 것이다. 

The East is originally three-dimensional. The main role's change-oriented reasons, Confucius' moderation, Sakyamuni's middle, Laozi's extreme reason, and Buddhism's color immediately construction are all opposite views of Western ideology, atomic theory, determinism, and mechanical theory. Humans cannot get out of it once the method of thinking is fixed. They don't even realize that they're trapped in a biased perspective. Before that, I don't know the existence of a perspective itself. Kant's Copernicus transition or Hegel's dialectic began a new search, but it was only sought. From Plato to Marx, nothing has changed. They looked at the one God and believed that God should be in place like the North Star, and therefore matter should have the immutable nature of God. Exploring change makes you suspect God. It is to commit a crime of profanity before God.


양자역학도 달라진 것은 없다. ‘닥치고 계산이나 해.’ 데이빗 머민의 이 말은 사유의 모형을 만들지 말자는 것이다. 해석은 포기한다. 아인슈타인은 숨은 변수를 주장했고 보어는 동양의 주역사상을 검토했고 데이빗 머민은 모르쇠를 주장했다. 포기한 것이다. 기독교적 가치관와 충돌되자 그들은 침묵하기로 했다. 구조론은 포기하지 않는다. 이 물음이 중요한 이유는 뇌구조의 한계 때문이다. 왜 양자역학을 해석하려고 하지? 양자역학이 규명한 여러 현상들이 인간의 경험적 직관과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간은 경험적 직관은 무엇인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이 왜 문제가 되는가? 주역의 역, 공자의 중용, 노자의 이유극강, 석가의 제법무아, 색즉시공에 이미 이중성이 반영되어 있다. 경험적 직관과 맞지 않다는 것은 편협한 서구인의 시각이다. 동양인의 경험과는 잘 맞다. 2500년 전부터 우리는 이런 사태를 경험해 왔다.

Quantum mechanics has not changed. "Shut up and calculate." David Mermin's saying is not to make a model of thought. I give up interpretation. Einstein insisted on hidden variables, Bohr reviewed the Eastern world's main history, and David Mermin insisted on Morsoe. I gave up. When they collided with Christian values, they decided to remain silent. Structural theory does not give up. The reason why this question is important is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brain structure. Why do you want to interpret quantum mechanics? This is because the various phenomena identified by quantum mechanics do not fit human empirical intuition. Then, what is the empirical intuition of humans? Why is the duality of particles and waves a problem? Duality is already reflected in the role of the protagonist, the moderation of Confucius, the Confucianism of Laozi, the Buddhist monk's law, and the color immediately. It is a narrow Western perspective that does not fit with empirical intuition. It fits well with the Asian experience. We have experienced this situation since 2,500 years ago.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담을 수 없다. 왜 서구인은 원자론의 작은 그릇에 양자역학의 큰 그릇을 담으려고 용을 쓰는가? 인간은 모형으로 사유하는데 자신이 사용하는 모형보다 큰 것이 관측되면 난감해진다. 모형이 문제다. 작은 사유의 모형에 큰 것을 우겨넣는다. 아인슈타인은 모형보다 큰 것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단지 크다는 이유만으로. 정작 시간과 공간의 작은 모형을 때려부순 사람은 아인슈타인 자신인데도 말이다. 아인슈타인이 전통적인 시공간의 모형을 때려부수는 것을 지켜본 닐스 보어는 신이 났다. 아인슈타인 형님도 때려부수는데 나도 하나 부숴야지. 아인슈타인이 걱정한다. 이것들이 어디까지 때려부수려나? 다 부수면 곤란해. 기초는 살려둬야지. 아니다. 부수려면 다 부수는게 맞다. 필자는 이 문제를 열일곱에 해결했다. 거대한 벽을 만났을 대는 벽을 뚫어야 한다. 우회하는 길은 없다. 자연은 죄가 없고 인간의 뇌구조가 잘못되었다. 사물의 모형을 버리고 사건의 모형으로 갈아타야 한다. 생각이 막히면 생각하는 방법을 바꾸면 된다. 필자가 열일곱 때 깨달은 것은 우주는 크기가 아니라 관계라는 것이다. 어떤 크기는 없고 A가 이렇게 되면 B가 저렇게 된다는 관계만이 근거가 될 수 있다. 크기가 부정되면 위치도 부정된다. 사유를 가로막는 거대한 벽을 단숨에 돌파한다. 경험적 직관과 맞지 않다고 말해지는 것이 모두 경험적 직관과 일치한다.

You can't put a large bowl in a small bowl. Why do Westerners use dragons to hold large bowls of quantum mechanics in small bowls of atomic theory? Humans think with models, but when something larger than the model they use is observed, they become embarrassed. The model is the problem. Insist on the big one in the model of small reasons. Einstein refused to accept anything larger than the model. Just because it's big. Einstein himself is the one who actually smashed a small model of time and space. Nils Bohr was excited to watch Einstein smash a traditional model of time and space. Einstein is crushing it, so I'm going to smash one. Einstein is worried. How far will they break down? It's hard to break everything. You have to keep the basics alive. No. If you want to break it, you have to break it all. I solved this problem at seventeen. If you meet a huge wall, you have to break through it. There is no detour. Nature is innocent and the human brain structure is wrong. You have to abandon the model of things and change to the model of events. If you're stuck in your thoughts, you can change your way of thinking. What I realized when I was seventeen is that the universe is not about size, but about relationships. There is no such size, and the relationship that if A is like this, then B is like that can be the only basis. If the size is denied, the location is also denied. Breaking through a huge wall that blocks thought at once. What is said to be inconsistent with empirical intuition is all consistent with empirical intuition.


 사물로 보면 세상은 작은 것의 집합이다. 왜? 관측자인 인간과 대칭시키기 때문이다. 작으면 많고 많으면 움직이고 움직이면 대칭시킬 수 없다. 반대로 가야 한다. 주체와 객체,. 인간과 자연의 대칭을 끊어버리고 객체 안에서 자체의 대칭을 발굴하기다. 나느 열 일곱 때 크기라는게 인간의 개입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어떤 둘 사이에는 위치가 없고 제 3자가 개입해야 위치가 만들어진다. 둘 사이의 대칭이 있다는 말은 시간도 공간도 물질도 정보도 없다는 말이다. 에너지의 대칭이 형태를 바꾸어 물질도 되고, 공간도 되고, 시간도 되고, 정보도 된다.

In terms of things, the world is a set of small things. Why? Because it is symmetrical to humans who are observers. Small, many, many move, and if they move, they cannot be symmetrical. You have to go the other way. Subject and object. It breaks the symmetry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discovers its own symmetry in objects. When I was 17, I discovered that size meant human intervention. There is no position between the two, and a third party must intervene to create a position. To say that there is a symmetry between the two means that there is no time, space, matter, or information. The symmetry of energy changes shape, becoming a material, space, time, and information.


작은 원자가 어떻게 집합되느냐에 따라 세상의 모습이 결정된다고? 틀렸다. 실타래가 어떻게 풀리느냐에 따라 세상의 모습이 결정된다. 실타래는 그냥 있다. 죄다 연결되어 있으며 분리할 수 없다. 실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하나가 아니라 둘이다. 세상은 당구공의 집합이 아니라 헝크러진 실타래다. 실타래는 아무리 헝크러져도 죄다 연결되어 있다. 당구공을 모으는 방법으로는 많은 정보를 생산할 수 없다. 반대로 실 한 가닥을 꼬아서 무한히 많은 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 인간은 모형으로 사유한다. 모형이 경험적 직관이다. 모형보다 큰 것을 사유하려면 모형을 바꾸어야 한다. 사물의 모형을 버리고 사건의 모형을 받아들여야 한다. 원자론적 사유를 버리고 구조론적 사유로 갈아타야 한다.

How small atoms are aggregated determines the appearance of the world? Wrong. How the thread unravels determines the appearance of the world. The thread is just there. They are all connected and inseparable. Actually, it has a head and a tail. It's not one, it's two. The world is not a set of billiards balls, but a tangled thread. No matter how messy the thread is, it is all connected. A lot of information cannot be produced by collecting billiards balls. Conversely, you can produce infinitely much information by twisting a strand of thread. Humans think by model. The model is empirical intuition. To think about something larger than the model, you have to change the model. The model of things should be abandoned and the model of events should be accepted. Abandon atomic thinking and transfer to structural thinkin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 생각의 기술 8장: 일원론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6 221
92 생각의 기술 7장: 방향성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4 292
91 생각의 기술 6장: 기세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2 327
90 사간의 해석 3장 존재와 인식 dksnow 2022-03-21 272
89 생각의 기술 5장: 숨은 플러스 알파 천분의일 2022-03-21 278
88 생각의 기술 4장: 게임의 법칙 천분의일 2022-03-17 333
87 사건의 해석 2장 연역과 귀납 dksnow 2022-03-16 331
86 생각의 기술 3장: 지렛대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15 344
85 생각의 기술 2장: 의리와 매력 천분의일 2022-03-13 477
» 사건의 해석 1장 구조론 원자론 dksnow 2022-03-12 655
83 생각의 기술 1장: 모형적 사유 천분의일 2022-03-11 404
82 언어의 의미 11장: 의미의 연결 천분의일 2022-03-11 318
81 사유의 표준촛불 13장 코페르니쿠스 소환 dksnow 2022-03-09 628
80 사유의 표준촛불 11장 게임의 시작 dksnow 2022-03-09 290
79 언어의 의미 10장: 언어의 구조 천분의일 2022-03-08 374
78 언어의 의미: 9장 타인에게 말걸기 천분의일 2022-03-07 436
77 언어의 의미 8장: 언어가 잘못했다 천분의일 2022-03-05 354
76 사유의 표준촛불 10장 엔트로피 dksnow 2022-03-02 297
75 언어의 의미 7장: 메신저 공격의 오류 천분의일 2022-03-01 361
74 언어의 의미 6장: 위하여의 오류 천분의일 2022-02-28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