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405 vote 0 2022.03.11 (06:00:55)

Chapter1: The reasoning by a model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이 생각이다. 그런데 70억 인류 중에 과연 몇이나 생각이라는 것을 하고 있는지. 거의 없다. 생각나는 것은 생각하는게 아니다. 가만 있어도 저절로 떠오르는 것은 생각이 아니다. 날이 더우면 덥구나 하고 날이 추우면 춥구나 하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반응이다. 조건반사와 같은 것이다.

A man is a thinking animal. It is thought to make humans as human. But how many out of the seven billion humans think something called thought? I think there are few. What comes to mind is not thinking. You may say hot or cold when it is hot or cold. But it is not a thought but a reaction. It's like a conditional reflex.

 

생각이 가장 중요한데 생각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사람은 없다. 구조론은 생각하는 방법이다. 생각은 자연의 완전성을 복제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머리에 힘 주고 앉아있으면서 생각한다고 착각하고 있다. 그래봤자 두통을 앓을 뿐인데 말이다. 생각은 수학문제를 푸는 것과 같다. 사유는 모형을 사용한다. 사물을 관찰하여 얻은 단서를 모형을 대입하고 빈 칸에 채워넣는다. 자기도 모르게 그렇게 하는 사람은 있는데 의식적으로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시피 하다.

Thought is most important, but there is no one who tells how to think. Gujoron is about how to think. Thought is to replicate the completeness of nature. Many people are under the illusion that they think, frowning as a facial impression of thinking. Even so, they only have a headache. Thought is like solving a math problem. Reasoning uses a model. You place the model in the clue obtained by observing objects and fill it in the blank. There are people who do it unconsciously, but few people can do it consciously.

 

생각은 일단 단서를 얻어야 한다. 여러가지 단서를 이리저리 검토하다 보면 우연히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연상이다. 고도의 추론을 하지 않았는데도 그냥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수가 있다. 뇌 안에서 우연히 모형의 빈 칸에 채워진 것이다. 의식적으로 모형을 사용하면 그것이 깨달음이다.

For the sake of thought, you need to get a clue first. When you review various clues, sometimes you come up with an idea by chance. That's reminiscent. Even if you don't make high inferences, you can just come up with ideas. It was accidentally filled in the blank of the model in the brain. If you use models consciously, that's enlightenment.

 

생각의 기본은 대칭을 추적하는 것이다. 왼쪽이 있으면 오른쪽이 있고 앞이 있으면 뒤가 있다. 간단하다. 앞을 보여주면 보이지 않는 뒷면을 추측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할 수 있는 사람도 거의 없다. 앞면의 볼록함을 보고 뒷면의 오목함을 그릴 수있는 사람이 영재다. 영재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대부분 간단한 것도 못한다. 본능적으로 반대쪽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게 못한다. 마술사가 오른손을 보여주면 왼손을 봐야 하는데 그걸 할 수 있는 사람이 드물다. 바퀴벌레도 그 정도는 할 것 같은데 인간의 지적수준은 바퀴벌레보다 나은게 없다.

The basis of the idea is to track symmetry. If there is left, there is right, and if there is front, there is back. Simple. When I show you the front, you can imagine the invisible back. A genius is a person who can draw concaveness on the back by looking at the convexity on the front. If you test it, you can find the genius. But there are few people who can do this. Most of them can't even do simple things. It needs to be able to track the other side instinctively, but they can't. When the magician shows his right hand, you has to look at his left hand, but few people can do it. Wouldn't cockroaches be able to do that much? Human intelligence is no better than cockroaches.

 

대칭의 축을 발견하면 대칭 속에서 또다른 대칭을 찾아낼 수 있다. 점은 관측자와의 대칭이다. 선은 점의 대칭이다. 면은 선의 대칭이다. 입체는 면의 대칭이다. 계는 입체의 대칭이다. 이러한 전개는 관측자인 나로부터 시작되므로 귀납이다. 이 방법으로 계를 찾은 다음 계 안의 코어가 되는 점을 찾아야 한다. 1점이 A의 변화에 이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B를 통일하는 C. 연역은 거기서 시작된다. 계 속에서 일점이 . 의 이동방향이 각, 이동시간이 선, 이동지점이 점이다.

If you find an axis of symmetry, you can find another symmetry in symmetry. A point is the symmetry for an observer. A line is the symmetry of points. A plane is the symmetry of lines. A solid is the symmetry of planes. A system is symmetry of solids. Each development begins from the observer himself, so it is inductive. Such a way, you have to find the system and then find the point that is the core of the system. The one point is C unifies B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change of A. Deduction begins there. One point in the system is field. The moving direction of field is angle, moving time of field is line, and moving spot of field is point.

 

대칭을 통해 맞물려 돌아간다. 그러한 맞물려 있음을 추적하는 것이 추론이다. 생각을 못하는 사람은 이야기의 톱니가 맞물리지 않는다. 갑자기 점프한다. 연결되지 않는데 여우가 둔갑을 하고, 도깨비가 술법을 쓰고, 사차원을 쓰고, 음모론을 쓴다. 이들의 특징은 연결고리가 빠져 있다는 점이다. 곳곳에 있는 빈 칸을 메우지 않는다. 톱니가 맞물리지 않는다.

It interlocks by symmetry. And tracking that interlocks is reasoning. The story of a person who doesn't know how to think doesn't engage in gears. It jumps all of a sudden. It is not connected, but foxes are transformed, goblins use tricks, four dimensions are created, and conspiracy theories emerge. Their characteristic is that the link is missing. He doesn't fill the blanks here and there. The gear is not interlocked.

 

모형적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근대과학의 기반은 수학이고 수학은 연역이다. 연역은 모형을 사용한다. 1이 자연수의 모형이고 23은 복제된 것이다. 32를 본다. 21을 본다. 1은 그 숫자를 가리키는 사람을 본다. 이건 다른 것이다. 21을 보는 시선과 1이 사람을 보는 시선은 다르다. 1이 원형이다. 1은 비교된 크기가 아니고 크기를 재는 자다. 자는 사람이 쥐고 있다. 그래서 사람을 본다. 1은 대상과 관측자를 연결하는 라인이다. 거기에 모형이 있다. 사람이 움직이면 숫자도 움직인다. A가 변하면 B도 변한다. 그 둘을 연결하는 라인 C를 바꾸면 자연수가 정수로 바뀐다. A, B, C를 알면 다 아는 것이다.

You have to be able to think by model. The basis of modern science is mathematics and mathematics is deductive. Deduction uses a model. 1 is a model of natural number and 2 and 3 are duplicated. 3 sees 2. 2 sees 1. 1 sees a person who points at 1 itself. This, what 1 sees, is something different. The way 2 sees 1 is different from the way 1 sees a person pointing at 1 itself. 1 is the original form. 1 is not a size compared but a scaler measuring a size. And a person is holding the scaler. So 1 see the person. 1 is the line that connects the object to the observer. There is a model. When a person moves, numbers also move. When A changes, B also changes. When the line C connecting A and B changes, the natural number turns into an integer. If you know A, B, and C, you get to know everything.


다양한 모형의 모색이 있었다. 플라톤의 이데아, 데모크리토스의 원자, 유교의 사단칠정, 도교의 음양오행, 헤겔의 변증법 모형이 알려져 있다. 조악하지만 나름대로 모형을 만들어본 것이다. 그것도 없는 것보다는 낫지만 유클리드의 원론과 석가의 연기설이 그럴듯 하고 나머지는 허당이다. 다윈의 진화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마르크스의 혁명이론도 모형으로 기능하지만 반은 맞고 반은 엉터리다. 공리주의가 말하는 최대다수 최대행복, 아담 스미스와 케인즈의 경제학, 노이만과 내쉬의 게임이론도 일정부분 사유의 모형이 될 수 있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뉴턴의 기계론, 결정론적 사유도 있다. 이런 모형들은 연결되지 않고 중간에 끊어진다. 파편화된 부스러기다. 어쨌든 이런 것도 없는 것 보다는 낫다.

There has been a search for various models. Plato's ideas, Democritus'atoms, Confucianism's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aoism's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Hegel's dialectic model are known. They tried, but these are just crude models. Euclid's Elements and Sakya's the law of causality seem to be plausible, but the rest is better off without it. Darwin’s theory of evolution, Freudian psychoanalysis, and Marx’s theory also function as models, but half right and half wrong.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of utilitarianism, the economics of Adam Smith and Keynes, and the game theory of Neumann and Nash can also be a model of reasoning in part. There are theory of relativity, quantum mechanics, Newton's mechanism, and deterministic reasoning. These models are not connected and broken in the middle. It's a fragmented crumbs. Anyway, it's better than nothing.

 

사유는 연역한다. 귀납은 넘겨짚기다. 귀납은 생각이 아니고 아니면 말고식 도박이다. 같은 일이 단순히 반복될 때는 이런 도박이 먹힌다. 동전은 앞면 아니면 뒷면이다. 대충 찍어도 50퍼센트 확률로 맞다. 새로운 분야를 탐구할 때는 반드시 연역의 모형을 써야 한다. 그런데 사람들이 연역을 못한다. 원래 연역은 자동으로 된다. 아기가 문법을 터득하듯이 그냥 된다. 단 옹알이는 열심히 해야 한다. 옹알이를 하지 않고 영어를 배우려고 하니 안 되는 것이다. 무의식적으로 연역하는 것이 직관이다. 뇌 안에서 프로그램을 돌려서 갑자기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뇌가 패턴을 읽어서 구조를 복제한 것이다.

Reasoning is deductive. Inductive is a rough guess. Inductive is not a thought, but a gambling of all or nothing. When the same thing is simply repeated, this gambling works. The coin is either front or back. It's right with a fifty percent chance even if you take a rough guess. When exploring a new field, you must use a model of deduction. But people are not good at deduction. Basically deductive works automatically. It just works like a baby understands grammar. But you have to do your best on babbling. You can't learn English because you try to learn it without babbling. It is intuitive to unconsciously deductive. A program is run in your brain and suddenly an idea comes to mind. The brain copied the structure by reading the pattern.

 

천재는 골똘히 생각해서 아이디어를 조립하는게 아니라 그냥 아이디어가 갑툭튀 한다. 뇌가 프로그램을 돌려서 패턴이 맞는 것을 추출한다. 꿈을 꾸는 것도 그렇다. 그냥 이미지가 떠오른다. 촉이 좋은 예술가는 왠지 그렇게 해야 될 것 같아서 그렇게 해 본다. 해보니까 느낌이 좋아서 계속한다. 천재도 생각을 하지만 그것은 문득 떠오른 아이디어를 해석하는 것이다. 필이 딱 온다. 저릿한 느낌이 든다. 흥분한다. 생각해서 답을 찾는게 아니고 필을 받은 다음 그게 뭔지 해석한다. 필이 오지도 않았는데 억지로 그러면 두통을 앓게 된다. 대부분 생각의 결과로 아이디어가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적용하려고 생각을 한다. 그냥 필이 오는 것이고 그것을 써먹으려고 생각을 한다.

Genius doesn't think hard and assemble ideas, but they just pop out all of a sudden. The brain operates the program and extracts the right pattern. Dreaming also works the same way. Images pop out all of a sudden. An artist with a keen sense feels like doing something and actually he tries to do it. And he keeps on being led by a good feeling. Genius also thinks, but to be exact, it is interpreting the idea that came to mind. A feeling pop out suddenly. Thrilled and excited. He isn’t looking for the answer after thinking, but he gets a feeling and interpret what it is. If you force to think even though the feeling doesn’t come up. you get a headache. Genius doesn't derive an idea as a result of thinking, but thinks to apply an idea. Just a feeling pops up and he thinks to use it.

 

옹알이를 많이 해야 한다. 일반인은 책장을 덮고 그냥 잊어버리지만 천재는 자신이 읽은 소설이나 극장에서 본 영화에서 얻은 미세한 느낌을 잡으려고 백번 쯤 그것을 반추한다. 아기가 옹알이를 하다가 문법을 깨닫듯이, 개가 배회하다가 집을 찾듯이, 천재도 그 사유 안에 머물러야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다음은 그 아이디어를 복제하고 변주하는 자기표절의 반복이다. 열여섯 때 떠올린 아이디어 하나로 평생 우려먹는게 보통이다.

You have to babble a lot. After watching a movie or reading a book, people forget the feeling right away, but a genius reflects on it more than a hundred times to capture the subtle feelings he has gained. Just as a baby realizes grammar while babbling, just as a dog wanders around and finds a house, a genius comes up with an idea while staying within that reasoning. The next is a repetition of self-copy that replicates and transforms the idea. He plagiarizes the idea he came up with at 16 for life.

 

인간의 사유란 것이 대개 추론이 아니라 단순히 경험을 떠올리는 것이다. 경험은 귀납이다. 개는 추론하지 않는다. 그냥 이전에 했던 행동을 반복한다. 왜 그러는가 하면 전에도 그랬기 때문에 그러는 것이다. 개가 어떤 의도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게 실패다. 나쁜 행동을 하는 개도 단순히 새로운 행동을 훈련시켜 주면 태도를 바꾼다. 훈련하는 훈련이 되어 있지 않은게 나쁜 개의 문제다. 주인이 서면 개도 서고 주인이 가면 개도 가게 하는 한 가지 훈련만 시키면 나머지는 자동이다.

Human reasoning is not usually inference, but simply recalling experience. Experience is inductive. Dogs don't infer. They just repeat what they did before. That's because they've been like that before. It is a misunderstanding to believe that a dog may have some intention. Dogs that do bad things, if they simply train new behaviors, change their attitudes. The problem with bad dogs is that they are not trained for training. When the owner stands up, he trains his dog to stand, and when the owner goes, he trains the dog to go, then the rest will be automatic.

 

인간은 많은 경험 중에서 공통요소를 뽑아낼 수 있다. 추상화다. 서로 다른 경험들에서 공통요소를 추출하여 같은 사건으로 간주하는게 추론이다. 이걸 의식적으로 못하고 직관적으로는 한다. 무의식적으로 공통요소를 뽑아낸다.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뭔가 패턴이 느껴진다. 감이 온다. 촉이 좋은 사람은 패턴을 추출하여 경마장에서 우승마를 맞추고 증권시장에서 오를 종목을 찾아내고 카지노에서는 돈을 딴다.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촉으로 맞추는게 한 번은 잘 되는데 두 번은 안 되는 이유는 에너지를 그만큼 끌어올리지 않기 때문이다. 고도의 집중을 하지 않고 촉이 오지 않았는데도 촉이 온 것으로 간주해 버린다. 첫 키스만 전율하고 두 번째부터는 시들해진다. 뇌가 에너지를 투입하지 않으려고 한다. 나사가 빠지는 것이다.

Humans can extract common elements among many experiences. That's an abstraction. Inference is to extract common elements from different experiences and regard them as the same event. They don't do this consciously, but intuitively. Unconsciously extracting common elements. It's hard to explain in words, but they can feel a pattern. They say “I got a hunch.” A person with a good sense extracts patterns, matches the winning horse at the racetrack, finds stocks to climb on the stock market, and earns money at casinos. It needs a high level of concentration. But it works well once with the hunch, not twice.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raise the power of energy that much. So even though you don't pay a lot of attention and don't have a hunch, sometimes you regard it as a hunch. Only the first kiss makes you shudder, and the second one makes you wither. The brain is trying not to put energy into it. The gear doesn't fit.

 

구조론은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패턴을 찾아내지만, 말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것을 포기하지 않고 끈덕지게 설명한다. 뇌 간지럼증 탓이다.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감이 왔는데, 입이 근질근질 한데, 적당한 단어가 있을텐데. 그것은 방향성이다. A의 변화가 B의 변화와 나란할 때 둘을 통일하는 C와 그 변화를 찾아내는 것이 방향성이다. 이 느낌 하나에 50년을 매달렸다.

There are things people can't explain in words even though they can intuitively find patterns, Gujoron persistently explains such things without giving up. It's because of the tickling of brain. Gujoron thinks ‘I can explain it. I got a hunch, and my mouth itches. I think there will be a right word, so I keep looking for it.” That's the directionality. When the change of A is parallel to the change of B, it is the directionality to find ‘c and the change of c’ that unifies the two. I've been clinging to only this feeling for 50 years.

 

아이디어의 구조는 같다. 불빛이 피사체를 비추면 스크린에 그림자가 생긴다. 이것이 움직이면 저것이 움직인다.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난다. 그것은 동시에 움직인다. 필름이 움직이면 영상이 움직인다. 다만 둘의 관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영상이 움직인다고 해서 필름이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 불변의 관계도 아날로그에서 디지탈로 변해버렸다. 이 하나의 모형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구조론의 컨텐츠를 채워왔다.

The structure of ideas is all the same. When a light shines on a subject, it creates a shadow on the screen. When one moves, the other moves. When this stands up, that stands up.They move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never changes. The image moves when the film moves. And the image moves doesn't mean the film moves. But the immutable relation has also changed from analog to digital. By applying this one model in various ways, the contents of Gujoron have been filled.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 생각의 기술 8장: 일원론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6 223
92 생각의 기술 7장: 방향성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4 296
91 생각의 기술 6장: 기세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2 329
90 사간의 해석 3장 존재와 인식 dksnow 2022-03-21 275
89 생각의 기술 5장: 숨은 플러스 알파 천분의일 2022-03-21 279
88 생각의 기술 4장: 게임의 법칙 천분의일 2022-03-17 337
87 사건의 해석 2장 연역과 귀납 dksnow 2022-03-16 334
86 생각의 기술 3장: 지렛대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15 347
85 생각의 기술 2장: 의리와 매력 천분의일 2022-03-13 480
84 사건의 해석 1장 구조론 원자론 dksnow 2022-03-12 657
» 생각의 기술 1장: 모형적 사유 천분의일 2022-03-11 405
82 언어의 의미 11장: 의미의 연결 천분의일 2022-03-11 320
81 사유의 표준촛불 13장 코페르니쿠스 소환 dksnow 2022-03-09 631
80 사유의 표준촛불 11장 게임의 시작 dksnow 2022-03-09 291
79 언어의 의미 10장: 언어의 구조 천분의일 2022-03-08 379
78 언어의 의미: 9장 타인에게 말걸기 천분의일 2022-03-07 437
77 언어의 의미 8장: 언어가 잘못했다 천분의일 2022-03-05 355
76 사유의 표준촛불 10장 엔트로피 dksnow 2022-03-02 299
75 언어의 의미 7장: 메신저 공격의 오류 천분의일 2022-03-01 364
74 언어의 의미 6장: 위하여의 오류 천분의일 2022-02-28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