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353 vote 0 2022.04.02 (01:51:59)

Chapter 3: Social mobilization contract

 

황당한게 룻소와 로크, 홉즈의 사회계약론이다. 나는 계약서 한 장 못 써보고 사회에 끌려왔는데 남들은 도장이라도 찍어주고 잡혀왔는지 궁금하다. 리바이어던은 또 무슨 개뼉다귀 같은 소리인가? 서양철학은 기독교와의 싸움이다. 기독교를 정면으로 비판하지 못하고 말을 돌려서 하다보니 언어가 너절해졌다. 사회의 존재는 신의 섭리가 아니라 인간의 주체적인 행위의 결과다. 룻소와 로크, 홉즈는 이 말을 하고 싶었던 거다. 사회는 인간의 발명품이며 인간의 주체적 행위에 의해 진보한다.

The Social Contract by Rutheau, Locke and Hobbes is so absurd. I've been dragged into society without even writing a contract, and I wonder if you've been also dragged after signing a contract. What about Leviathan's groundless nonsense? Western philosophy is the result of a fight against Christianity. The language became messy because they couldn't criticize Christianity and beat around the bush. The existence of society is not divine providence but the result of human self-reliance, and Rutheau, Locke and Hobbes would want to say this. Society is a human invention and is progressed by human self-reliance.

 

인류의 조상은 씨족 단위로 동굴에 살았다. 한 곳에 2~3년을 머무를 뿐이고 채집할 식량이 바닥나면 다른 동굴로 옮겼다. 사냥을 나서는 무리는 많아야 대여섯이고 어린이와 여성을 합해도 씨족원은 스무명 정도다. 동굴 하나가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그 정도이다. 전쟁이 벌어지거나 축제가 열리면 일시적으로 수 백명이 한 자리에 모이지만 보통은 씨족단위로 생활한다. 고도화 된 사회는 종교에 의해 만들어졌다. 15천년 전에 처음으로 대집단이 출현한 것이 괴베클리 테페 유적이다. 그들이 이겼다. 쪽수가 많았기 때문이다. 쪽수를 유지하려면 종교로 묶어야 한다. 사회는 계약된게 아니고 종교와 문화를 비롯한 인간의 지적활동의 결과가 축적되어 진보한 것이다.

Human ancestors lived in caves on the clan units. They stayed in one place for two or three years, and when there was no food to collect, they moved to another cave. The number of people hunting was five or six, and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and women did not exceed twenty. That was the capacity of a cave. During the war or festival, hundreds of people gathered in one place temporarily, but they usually lived in clan units. Advanced societies were created by religious integration. The first large group to emerge 15,000 years ago is the remains of Goebekli Teffe. They had a large number of people, so they won. If you want to maintain the number of people, you have to be integrated to religion. Society is not formed by contract, but by accumulating and advancing the results of intellectual activities such as religion, culture, etc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은 흥미있는 발상이나 제국주의 침략을 정당화 하는 점에서 적절한 레토릭이 아니다. 진보의 동력은 언어와 문자, 종교와 문화를 비롯한 지적활동의 성과라는 점에서 동물의 진화와 다르다. 처음 종교의 등장에 의해 대집단이 출현했고 대집단을 유지하려면 생산력의 발달이 필요했다. 종교가 산업을 촉발했고 산업이 사회를 진보시켰다. 종교와 산업의 상호작용에 양의 피드백이 일어나서 랠리가 이어진 것이 문명이다. 사회는 인간의 능동적 행위의 결과다.

Spencer's ‘Social Darwinism’ is an interesting idea, but it is not a proper rhetoric in justifying imperialist aggression. The driving force of progress differs from the evolution of animals as the outcome of intellectual activities including language and writing, religion and culture. Large groups were emerged by the emergence of religion, and they needed increased productivity to maintain large groups. Religion triggered industry, and industry developed society. Civilization is the result by a rally of positive feedback on the interaction of religion and industry. Society is the result of human active behavior.


사회계약론의 관점이 아주 틀린 것은 아니다. 종교적 약속도 계약이라면 계약이다. 그러나 본질은 물리적인 지렛대다. 사회의 물리력은 권력이다. 집단이 공유하는 게임의 무대를 세팅하는 영역, 세력, 서열이 권력의 토대가 된다. 권력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배권에서 시작된다. 그것이 확대해석된 것이 종교다. 신은 죽은 족장이 여전히 살아있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대집단을 만드는 방법이다.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지배권은 자식이 열 세살이 되면 끝난다. 성인식을 치르고 독립하는 나이다. 소년은 어머니의 자녀에서 씨족원으로 소속이 바뀐다. 어떤 똑똑한 사람이 부모와 자식의 얼굴이 닮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아버지와 자녀의 연결고리를 찾아내자 배다른 자식들이 같은 집단에 머무르게 된 것이 씨족에서 부족으로 발전한 계기다.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ract’ is not entirely wrong. Religious promises can also be a contract. But the essence is physical leverage. The physical power of society is power. Setting the stage for a group-shared game, territory, influence, or rank becomes the foundation of power. Power begins with the control that parents exert on their children. It becomes a religion when it expands. The dead chief, who is still considered alive, becomes God. That's how to make a large group. The mother's control over her child ends at the age of thirteen. It is at the age of independence after coming of age ritual. The boy is transferred from his mother's child to a clan member. But a wise person finds out the fact that resembles a parent and a child's face each other. Finding a link between the father and child, the society changed from clan to tribe as half brothers began to live in the same group.

 

'의하여''위하여'의 차이다. 사회계약은 위하여다. 상호작용이 아니라 일방작용이다. 위하여는 귀납이므로 과학의 언어가 될 수 없다. 부족이 공유하는 영역, 세력, 서열이라는 권력자산의 축적에 '의하여' 사회가 발전한다. 공유자산에는 각자의 지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집단에서 이탈하면 나만 손해다. 언어와 문자와 관습과 종교와 산업에 의하여 집단의 공유자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이 사회의 진보다.

It’s the difference of ‘by’ and ‘for’. Social Contract is ‘for’. It’s not interactions but one-sided actions. ‘For’ is inductive, so it cannot be the language of science. Society develops ‘by’ the accumulation of power assets called territory, influence, and rank. Shared assets includes each share, so you’re the only one who loses if you leave the group. By language, letters, customs, religion, and industry, the shared assets of a group continued to increase and it has made the progress of society.

 

진보는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긴밀해지는 것이다. 부족민은 마을 입구에 해골을 쌓아놓고 외부인을 위협한다. 만나면 죽인다. 그래야 우리를 만만히 보지 않기 때문이다. 타자성 행동이다. 부족의 공유자산이 많지 않으므로 빼앗기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부족의 공유자산이 증가하자 외부인을 통제할 지렛대가 생겼다. 비로소 손님을 환대하기 시작한다. 외부인을 흡수하여 대집단을 유지하고 경쟁하는 집단을 제압한다. 집단이 약하면 침입자를 죽이고 집단이 강하면 손님으로 초대한다. 공유자산의 증가로 인해 부족이 강해진 것이 사회발전의 원동력이다.

Progress goes in a wa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gets closer. Tribesmen pile skeletons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and threaten outsiders. “I'll kill you when meeting you.” So they do that so as not to look at ease. It's a behavior of otherness. Because there are little shared assets of the tribe, they try not to be taken away. But the increase in tribal shared assets gave rise to leverage to control outsiders. They finally begin to welcome outsiders, absorbs outsiders to maintain large groups, and overpower competing groups. Kill the intruder if the group is weak. If the group is strong, invite them as guests. Due to the increase in shared assets, the tribes has become stronger,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social development.

 

인간은 그저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동물이다. 무엇을 '위하여'라는 것은 거짓말이다. 뭐든 하려면 지렛대가 있어야 한다. 지렛대에 '의하여'. 지렛대는 권력과 명령이라는 공유자산이다. 인간은 지렛대를 보호하는 결정을 내린다. 이어지는 랠리가 지렛대다. 상호작용의 게임이 벌어지면 랠리가 이어지는 결정을 내린다. 주최측이 룰을 바꾸어서라도 랠리를 깨는 팀은 제거한다. 폐쇄와 고립을 추구하는 집단은 제거된다. 인류는 언어와 문자와 전통과 산업이라는 공유자산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공유자산이 없는 집단을 흡수해 왔다. 공유자산이 증가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사회의 의사결정단위가 커진 것이 문명이다.

Humans are animals that can only do what they can. It is a lie to say 'for' something. There must be leverage to do anything, It is 'by' leverage. Leverage called power and command is shared assets of society. Humans always make decisions to protect it. When a game of interaction takes place, all decisions are made to keep the rally going. And the following rally becomes leverage. Even if the organizers break the rules themselves, they eliminate a team that tries to cut off the rally. Groups seeking closure and isolation are eliminated. Mankind has absorbed groups without shared assets, as a way to protect shared assets such as language, letters, tradition and industry.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shared assets, the greater decision-making unit for society is civilization. The bigger society's decision-making unit is civilization.

 

인간을 움직이는 궁극적인 지렛대는 의리다. 의리는 게임의 공유다. 최초의 권력은 부모와 자식간의 혈연적 의리에서 연역된 가부장 권력이다. 오랫동안 종교가 의리를 생산했다. 종교는 인간의 사회적 본능에 호소하여 의리를 생산한다. 공자는 이기는 방법을 제시하여 이성으로 의리를 생산한다. 의리는 이기는 전략이다. 구조론의 제자는 의리의 생산과 보호에 가담하고 합당한 권력의 지분을 가져야 한다.

Loyal is the ultimate leverage for moving humans. Loyal is sharing games. The first power is patriarchal power, derived from the loyal of ki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eligion has produced loyal for a long time. It produces loyal by appealing to human social instincts. Confucius creates loyal by suggesting how to win. Loyal is a winning strategy. The disciples of Gujoron shares responsibility for the production and protection of loyal, and have a stake in reasonable power.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3 의사결정 주체 1장: 인간의 나쁜 결정 천분의일 2022-04-22 296
112 사회의 동원 11장: 자유와 매력 천분의일 2022-04-22 216
111 사회의 동원 10장 의리와 자유 천분의일 2022-04-21 257
110 사건의 해석 10장 일체용 dksnow 2022-04-19 248
109 사회의 동원 9장: 인간선언 천분의일 2022-04-18 223
108 사회의 동원 8장: 작가의 권력 천분의일 2022-04-15 425
107 사건의 해석 9장 사건과 사물 dksnow 2022-04-14 330
106 사회의 동원 7장: 자유 의리 매력 천분의일 2022-04-12 246
105 사회의 동원 6장: 사회 동원 소집 천분의일 2022-04-10 260
104 사건의 해석 8장 공간의 일의성 시간의 인과율 dksnow 2022-04-07 323
103 사회의 동원 5장 동원과 명령 천분의일 2022-04-07 272
102 사회동원론 4장: 행위와 인지 천분의일 2022-04-03 288
101 사건의 해석 7장 공간의 구조 dksnow 2022-04-02 325
» 사회의 동원 3장: 사회동원론 천분의일 2022-04-02 353
99 사건의 해석 6장 조절장치 dksnow 2022-03-31 281
98 사회의 동원 2장: 자유 평등 정의 천분의일 2022-03-31 312
97 사회의 동원 1장: 영역 세력 서열 천분의일 2022-03-30 285
96 사건의 해석 5장 매케니즘 dksnow 2022-03-29 256
95 생각의 기술 9장: 일원론 이차식 다양형 천분의일 2022-03-28 219
94 사건의 해석 4장 확산과 수렴 dksnow 2022-03-27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