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1054 vote 0 2022.02.21 (20:39:09)

The state of cognitive dissonance

 

인간의 모순된 행동은 인지부조화로 대부분 설명된다. 문제는 심리학자들이 인지부조화를 해명하지 못하는 점이다. 막연히 '그것은 인지부조화다.' 하고 선언할 뿐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 ‘위하여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의하여로 갈아타야 한다.

Human contradictory behavior is mostly explained by cognitive dissonance. The real problem is that psychologists cannot explain cognitive dissonance. They vaguely declares, "It is cognitive dissonance.", but does not provide a specific solution. This is because it is buried in 'for'. You have to transfer to ‘by’.

 

심리학은 통째로 사기다. 근거가 없다. 그냥 그러더라는 것은 과학이 아니다. 인간의 행동에서 방정식을 찾아내야 한다. '위하여'는 과학적인 접근이 아니다. ‘너 왜 그래?’ 하고 물어보니까 무엇을 위하여라고 둘러대는 것이다. 밥을 먹는 이유는 배가 고파서이고 화장실에 가는 이유는 큰 것이 마려워서다. 항상 물리적인 이유가 있다. 거기에 심리적 동기나 목적은 없다. 설사 있다고 해도 부수적인 원인이다. 화장실에 가는 것은 생리적인 이유이고 가는 타이밍과 장소의 선택은 심리적인 이유다. 화장실에 가는 것이 결정된 상태에서 언제 화장실을 가고 어느 화장실을 이용하는가는 부차적인 요소다. 심리적 동기는 대부분 부차적인 요인을 가지고 둘러대는 것이다. 똥이 마려워서 간 건데 화장실이 예뻐서 갔다는 식이다. 똥이 마려운건 마이너스고 화장실이 예쁜건 플러스다. 플러스는 거짓말이다.

Psychology is a complete fraud. It is groundless. It's not science to say ‘it just happened like that.' You need to find scientific equations in human behavior. 'For' is not a scientific approach. When you ask "What's wrong with you?", it is like he answers "For what." The reason for eating food is because being hungry, and the reason you go to the bathroom is because something big. There is always a physical reason. There is no other psychological motive or purpose. Even if there is a reason, it is incidental. Going to the bathroom is a physiological reason, and the choice of timing and place to go is a psychological reason. If you have decided to go to the bathroom, when you go to the bathroom and which bathroom you use is a secondary factor. Psychological motives are mostly just excuses for avoiding a point with secondary factors. What if a person says go to the bathroom because it was pretty? Taking a dump is a minus factor and a pretty bathroom is a plus factor. Plus is a lie.

 

인간의 언어는 대칭을 만든다. 막연히 무언가로 대칭시키려고 하므로 아무거나 주워섬기는 플러스로 간다. 진실은 상호작용의 마이너스다. 종로에서 상호작용이 끊어진게 원인인데 한강에서 눈 흘겼다는 플러스로 시비를 건다. 뭔가 끊어진 것은 상부구조에서 일어나고 그것을 알아채기 힘들어서 말로 대칭시키기가 어렵다. 여자친구에게서 연락이 오지 않으면 스트레스를 받지만 그게 원인이라는 것은 본인도 알아채지 못한다. 지나가는 사람과 어깨를 부딪혔다는둥 하며 거짓 이유를 만들어낸다.

Human language makes symmetry. They vaguely try to symmetry something, so it goes to plus where the junk gathers. Truth is a minus of interaction. The reason is that the interaction was cut off in Jongno, but they argue with the plus factor that glare at each other in the Han River. Something broken occurs in the superstructure, so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reason and difficult to be symmetrical in words. Not getting a call from girlfriend is the cause of stress, but they can't figure out the cause. They create a false reason, claiming that the cause is a shoulder bump with a passerby.

 

인간의 태도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심리적으로 불편해지며 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 인지부조화다. 인지부조화는 그 불편함이다. 개소리다. 모든 위하여는 틀렸다.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하는 이유는 액션에 에너지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물리적으로 행동에서 빠져나오기가 어렵다. 인간의 행위는 사건을 진행시키는 에너지의 작용에 의하여가 맞다. 소를 타면 소에 끌려가고, 말을 타면 말에 끌려 간다. 인간이 사건에 올라타면 기세에 끌려 간다. 차를 타면 운전기사 편이 되고 배를 타면 선원들 편이 된다. 만화가도 부자가 되면 기득권 편을 든다. 각자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다. 심리학자는 그것을 인지부조화로 설명한다. 틀렸다. 인간은 기세라는 소를 타고 있으며 거기에 에너지가 걸려 있고 에너지의 관성력을 따르는 것은 자연스럽다. 많은 경우 태도와 행위가 불일치할 때 행위에 맞추는 것이 합리적이다. 인지부조화가 아니라 인지적응이다.

When human attitudes and behaviors do not match, he becomes psychologically uncomfortable. So it is cognitive dissonance to do something ‘for’ relieving the inconvenience. Cognitive dissonance is another name for that discomfort. It’s nonsense. All 'for' is wrong. The reason humans do something is because their action is combined by energy. It is difficult to physically get out of action. It is right that human behavior consists of 'by' the action of energy that proceeds the event. If you ride a cow, you are dragged by a cow, and if you ride a horse, you are dragged by a horse. When a human rides an event, he is dragged by spirit. If you take a car, you will be on the driver's side, and if you take a boat, you will be on the crew’s side. Poor cartoonists will also be on the side of vested rights when they become rich. Each other is to adapt to environment. Psychologist describes it as cognitive dissonance. That’s wrong. Humans ride a cow called spirit, and energy is combined there. It is a natural thing to follow the inertia of energy. In many cases, it is reasonable to match the behavior when the attitude and behavior are inconsistent. It's not cognitive dissonance, it's cognitive adaptation.

 

심리학은 위하여로 설명한다. 동기나 의도, 목적, 생각, 음모, 야심, 계획, 의지, 신념 따위가 인간의 행위를 결정한다는 발상이다. 인간의 행동은 물리학이다. 동기는 누가 물어보니까 둘러대는 것이다. 여우에게 물어보지 않았다면 신포도라고 대답하지 않았을 것이다. '왜 포도를 먹지 않니?' '숏다리라서 손이 닿지 않았어.' 창피하게 내 입으로 숏다리라고 고백할 수는 없잖아.

Psychology is explained as ‘for’. It is an idea that human behavior is determined by motive, intention, purpose, thought, conspiracy, ambition, plan, will, belief, etc. Human behavior is physics. As for motive, he roughly makes up a story because someone asks. If you hadn't asked the fox, he wouldn't have answered it was sour grapes. "Why don't you eat grapes?" “I can't reach because my legs are short.” Embarrassingly I can't confess that my legs are short.

 

문제는 플러스 사고다. 동기, 의도, 목적, 생각, 음모, 야심, 계획, 의지, 신념 하며 주워섬기는 종류가 많은게 오컴의 면도날로 밀어야 할 수염이다. 심리학은 기능주의, 구조주의, 행동주의 하며 분파가 많다. 성격심리학,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 하며 세분하면 수십 가지로 나누어진다. 플러스로 방향을 잡으면 사이비 종교처럼 자꾸만 새끼를 친다.

The problem is a plus mindset. Many kinds of excuses listed, such as motive, intention, purpose, thought, conspiracy, ambition, plan, will, belief, etc. are like beards to be shaved with Ockham's razor blade. Psychology has many branches, such as functionalism, structuralism, and behaviorism. It is divided into dozens of categories when subdivided into personality psychology, social psychology,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If you set the direction to plus, only fanatics continue to increase like a cult.

 

심리학은 연역이 아니고 귀납이다. 귀납은 우연에 기대며 감으로 때려맞추는 비과학이다. 점쟁이 수법이다. 과학은 연역이라야 한다. 인간의 행위는 비탈에서 미끄러지는 것이다. 신념이나 의지나 동기 때문에 그렇게 행동하는게 아니고 비탈의 경사 때문에 그쪽으로 떠밀리는 것이다. 어떤 심리적인 동기로 미끄러지는게 아니고 얼음판에서는 미끄러진다. 이것은 물리학이다.

Psychology is not deductive but inductive. Induction is a non-science that leans on coincidence and guesses with senses. It’s a trick by a fortune teller. Science should be deductive. Human behavior is to slip off the slope. It is not acting like that because of belief, will, or motive, but because of the slip of the slope. It doesn't slip with any psychological motive, it slides on the ice. This is physics.

 

 

인간들이 과거 나치에 홀리고 인종주의에 넘어간 것은 히틀러가 플러스 수법으로 주입한 의지나 신념 때문이 아니고 식량의 부족, 인구의 급증, 과학기술의 발달, 신무기의 출현, 이동기술의 발달이 인류문명에 거대한 급경사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거대한 모순이다. 강대국과 약소국의 격차가 커졌다. 하나의 밸런스가 무너지면 새로운 밸런스로 갈아타는게 구조론의 법칙이다. 비료의 발명, 국제연합의 등장, 핵균형이라는 새로운 밸런스의 등장으로 해결되었다.

Because of Hitler's will or beliefs injected with the plus method, you may think that humans were fascinated by the Nazis in the past and transferred to racism. But it is because there was a steep slope i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due to the lack of food, the surge of populati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emergence of new weapons, and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It is a huge contradiction. The gap, between the great power and the undeveloped power, has widened. It is the law of Gujoron to transfer to a new balance when one balance collapses. And a new balance emerges and replaces the collapse of the balance, which was the invention of fertilizer, the emergence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emergence of nuclear balance,

 

신차를 샀는데 운전기술이 없으면 사고가 난다. 신무기가 등장했는데 그것을 감당할 만큼 인류가 통합되어 있지 않으면 전쟁이 터진다. 인류는 기관총을 보고 흥분해서 일차대전을 일으켰고 전차와 비행기를 보고 흥분해서 이차대전을 일으켰다. 핵무기에 의해 정리되었다. 개가 짖는 것은 흥분했기 때문이다. 인간도 마찬가지다. 흥분하면 심리적 비탈이 만들어져서 폭주한다. 누가 말려주기를 바라면서 말이다. 양차 세계대전은 인류가 단체로 미끄러져서 엉덩방아를 찧은 것이다.

If you buy a new car and don't have driving skills, you will have an accident, If a new weapon appears and humans are not integrated enough to handle it, a war breaks out. Humans were excited to see machine guns and started World War I, and excited to see tanks and airplanes and started World War II. It was organized by nuclear weapons.The dog barks because he is excited. So are humans. When excited, they create a psychological slope and run wild, hoping someone will stop them. Humans slipped and fell on their buttocks as a group by the two world wars.

 

대기불안정이 텍사스에 폭풍우를 일으키는 것은 나비효과가 아니라 비탈효과다. 히틀러라는 나비 한 마리의 날개짓이 2차대전의 재앙을 일으킨 것이 아니라 인구증가와 기술격차와 경제공황이라는 삼각파도가 한꺼번에 인류를 덥친 것이다. 위기가 닥치면 의사결정을 못하는 자들는 집단에 위험을 경고하려고 자해를 한다. 식량이 부족해지면 어미가 새끼를 물어죽인다. 짐 존스의 인민사원 집단자살 사건만 그러한 것이 아니다. 북한과 쿠바만 그러한 것이 아니다. 인간은 원래 위기를 만나면 스트레스를 받아 자해를 한다. 사람을 너무 궁지로 몰면 안 된다.

It is not the butterfly effect, but the slope effect that atmospheric instability causes storms in Texas. The wings of a butterfly called Hitler did not cause the disaster of World War II. But the triangular wave, called population growth, technological gap and economic panic, hit all humans at once. Those who fail to make decisions in times of crisis harm themselves to warn the group of dangers. When food is scarce, the mother bites the young to death. This is not the case with Jim Jones' mass suicide at the People's Temple. North Korea and Cuba are not the only ones. When humans meet a crisis, they harm themselves by stress. If a person is driven into a fatal situation, he does something dangerous.

 

심리학적인 접근은 병에 걸린 환자를 수술하지 않고 마음을 고쳐먹으라고 다그치는 것과 같다. 대안이 없을 때는 심리학적 해석이 도움이 되지만 그 정도는 미아리 점쟁이도 한다. 심리학자는 만면에 미소를 짓고 온화한 표정으로 내담자의 이야기를 들어줄 뿐 실제로 하는게 없다. 아는게 없기 때문이다. 점쟁이는 부적이라도 써주는데. 심리학자가 제대로 했다면 목사와 스님이라는 직업은 진작에 사라졌을 것이다.

A psychological approach is like pushing a sick patient to fix his mind without surgery. When there are no alternative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is sometimes helpful, but even a fortune teller next door also does that much. Psychologists only listen to the client's story with a smile and a gentle expression, but they don't really do anything. Because they don’t know anything. At least, even the fortune teller can writes a talisman like a placebo-effect. If it wasn't for psychologists to cheat, the professions of minsters and monks would have disappeared long ago.

 

생각과 행동이 충돌할 때 인간이 행동을 선택하는 이유는 행동에 에너지가 걸려 있고 그 관성력에서 빠져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늑대에게 쫓기는 사슴이 방향을 틀지 못하고 직진만 계속하는 것과 같다. 사건은 기승전결로 흘러간다. 기에서 촉발되어 승과 전을 거쳐 비탈의 경사를 타고 결까지 쭉 미끄러진다. 에너지가 걸려 있으므로 탈출할 수 없다. 물에 빠진 사람이 구조하려는 사람을 죽이는게 물귀신 행동이다. 패닉에 빠져서 차분하게 생각하지 못한다. 인간이 비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는 상황에 장악되기 때문이다. 휩쓸리는 것이다. 사건은 동적 상태다. 동적 상태에서는 어떻게 할 수가 없다. 달리는 차에서 뛰어내릴 수 없다. 상황을 탈출하려면 굉장한 에너지와 충분한 사전 연습이 필요하다.

The reason why humans choose behavior when thoughts and actions collide is that energy is combined with behavior and cannot escape from its inertia. A deer, chased by the wolf, is like continuing straight without turning. The event flows in the order of introduction, the development of theme, conversion, and summing up. It is triggered by introduction, pass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me and conversion, slides down a slope to summing up. By energy combined strongly, so the deer can't escape. The same principle is that a drowning person, like a water ghost, drags a rescuer into the water. He is in a panic and unable to think calmly. The reason humans behave unreasonably is because they are dominated by situations. Events are in a dynamic state and you cannot do anything in the state. You can't jump out of a running car. It takes a lot of energy and plenty of rehearsal to get out of a situation.

 

사건에 휘말린 인간은 액션을 취할 수 있는 쪽으로 행동한다. 핑퐁을 하듯이 공을 상대쪽으로 넘긴다. 손에 잡히는대로 투척한다. 위기일수록 심해진다. 호르몬 때문이다. 심장이 뛰고 식은 땀이 나고 눈앞이 캄캄해지며 배가 아프고 숨이 가쁘고 근육이 굳는다. 약자는 위기에 몰릴수록 스트레스를 받아 자신에게 해로운 결정을 한다. 순간을 모면하려 할 뿐 유리한 지형을 확보하지 못한다. 아기는 자신의 힘으로 난관을 돌파하기보다 집단에 알리는 것이 더 생존확률이 높다. 집단에 알리려면 위기를 강조해야 한다. 약자의 결정은 집단을 호출하는 것이며 그것은 자신에게 해로운 것이다. 아기가 울면 호랑이가 올 확률과 어른이 구조하러 올 확률이 동시에 높아진다. 어른이 오면 살고 호랑이가 오면 죽는다. 위기상황의 자해행동은 본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지만 30만년간 사피엔스를 살려온 기술이다. 너구리가 기절하거나 여우가 죽은체 하는게 맹수 앞에서는 생존확률을 높이지만 인간에게는 먹히지 않는다. 고도로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호르몬을 따라가는 자해행동은 좋지 않다.

Humans caught up in events act more toward action than thought. Like ping pong, he passes the ball over to the other side. He throws whatever he catches. The more crisis it is, the worse the situation becomes. It causes heart beating, sweating coldly, becoming unseen, stomach hurting, shortness of breath, and muscles stiffen. Hormones are the cause. According to the urgency of crisis, the weak makes decisions that are harmful to themselves due to stress. They try to avoid the moment, and it can not guarantee a vantage point.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rvival, It is better for a baby to inform the group than to break through difficulties with his own power. They need to emphasize crisis to inform the group. The weak's decision is to call a group, which is also harmful to themselves. When a baby cries, the probability of a tiger coming to eat and an adult coming to rescue increases at the same time. He lives if an adult comes and he dies if a tiger comes. Self-harm behavior in crisis is not helpful, but it is also a technology that has saved Sapiens for 300,000 years. When small animals pretend to be fainted or dead in front of wild beasts, the act increases their chances of survival, but it doesn't work in front of humans. In a highly developed modern society, self-harm behavior that follows hormones is bound to be fatal.

 

아기의 울음은 맹수를 동굴로 불러들여 자신의 생존확률을 낮추는 대신 인간의 사회성을 키워서 맹수를 퇴치하도록 만들었다. 약자의 자해행동에는 장단점이 있다. 10만원을 들고 경마장에 왔는데 꼴아박고 3만원이 남았다면? 마지막 경주에 올인하여 0으로 만든다. 어정쩡하게 남은 액수가 불편하다. 인간은 의사결정의 편의를 따른다. 3만원으로 무얼 하지? 할 수 있는게 없다. 에라 모르겠다. 올인을 하다가 오링이 된다. 과거에는 건설현장에 도박꾼이 상주했다. 막노동꾼은 적은 액수의 일당을 받는다. 그 돈으로 할수 있는게 없다. 공동숙소에서 누가 훔쳐갈지도 모른다. 스트레스 받잖아. 차라리 노름을 해서 열 배로 튀기자. 이렇게 된다. 지식인 입장에서 보면 멍청한 짓이지만 노동자의 열악한 환경을 고려하면 일부 합리성이 있다.

The baby's cry brought the beast into the cave and lower its probability of survival, but instead developed human sociality to defeated the beast. There are pros and cons to self-harm behavior of the weak. What if you came to the racetrack with 100,000 won and you had 30,000 won left? He bets all in the last race and makes it zero. The remaining amount is uncomfortable. Humans follow the convenience of decision-making. He asks himself. “What do I do with 30,000 won?” There's almost nothing you can do. So you bets all and lose all. In the past, gamblers resided at construction sites. Manual workers receive a small daily wage. They ask themselves. “There is nothing I can do with the money. Someone might steal it from common lodging house. Rather than being stressed, let's do gambling and make ten times more.” It becomes like this. From an intellectual point of view, this is stupid, but considering the poor environment of workers, there is some rationality.

 

문제는 의사결정 장애다. 원래 의사결정이 어렵다. 스트레스 받는게 문제다. 주변에서 흔들어대기 때문에 차분히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지 못한다. 결국 결정하기 편한 결정을 하는게 인지부조화다. 꾹 참고 합리적인 결정을 하면? 암 걸려 죽는다. 많은 노빠들이 암에 걸린 것이 이유가 있다. 스트레스 때문이다. 진중권도 본인이 살려고 저러는 것이다. 열 명이 모여서 회의를 하는데 도무지 진행이 안 된다. 언성만 높아지고 스트레스 받는다. 결국 아무 것도 결정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계급배반 투표도 같다. 몰린 상황에서는 도박이 차라리 낫기 때문에 이명박근혜 도박을 하고 트럼프 도박을 한다. 지식인들은 농부들이 정치를 몰라서 잘못된 결정을 했다고 믿지만 천만에. 스트레스를 견디는 심리적 비용을 고려하면 나름 합리적이다. 노동자와 지식인이 차분히 대화를 해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노동자가 깽판을 쳐서 사회가 총체적 붕괴위기에 직면하였을 때 오히려 문제가 해결될 확률이 더 높다. 몰렸을 때 노동자는 승산 없는 치킨 게임을 시도하는 것이다. 1만년 단위 긴 호흡으로 보면 그러하다.

The problem is to be bad at decisions making. Originally, it is difficult to make a decision. And stress is the main cause. They can't make plans calmly and put them into action by the interference of various advocacy groups. In the end, it is cognitive dissonance to make decisions that are easy to choose. What if you endure it and make a rational decision? You’ll die with multiple cancers. The reason why Noppa, the people who love Noh Moohyun, have cancer is also caused by stress. Jin Joong-kwon, known as a Korean critic, is also doing this for his own sake. Ten people gather and have a meeting, but it can't proceed at all. The voice is raised and the stress is increased. They decide not to decide anything after all. So is the vote for conservative parties by low-income class. Gambling is better in crisis situations, so you vote for Lee Myung-bak, Bak Geun-hye, or Trump. Intellectual people believe that farmers made wrong decisions because they didn't know politics, but you're welcome.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cost of stress, it is reasonable. Rather than solving problems through calm conversation between workers and intellectuals, it is more likely that the problem will be solved when the society faces a crisis of total collapse when the worker totally make a noise or troubles. When driven in crisis, the workers are trying to play a game of chicken with no chances. At least, this is true in terms of long breathing for 10,000 years.

 

좌파의 원대한 계획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에 백년이 걸리는 거대한 스트레스다. 차라리 도박을 하자. 이렇게 된다. 위대한 지도자가 카리스마의 힘으로 민중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데 그런 지도자가 없는게 문제다. 소아병 걸린 지식인이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의 등장을 방해하는 것도 큰 병통이다. 지식인들은 아는게 많아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모르는 사람은 조선족, 다문화, 성소수자, 장애인의 존재에 스트레스를 받으며 거기에 심리적 비용이 지불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노동자들은 현장에서 그들과 접촉하고 경쟁하고 갈등하는데 지식인은 골방에 앉아서 계몽을 즐긴다.

The grand plan of the left causes a lot of stress. It’s like this. “Global warming? It is a huge stress that takes 100 years to solve. Let's rather gamble.” Great leaders can reduce the stress of the people by showing charisma, but such leaders are not common. It is also a great malfunction for intellectuals with the infantile sickness to interfere with the emergence of charismatic leaders. Intellectuals know so much that they don't have to get stressed. People without knowledge have to admit that they should pay a psychological cost for stress on the existence of ethnic Koreans, multiculturalism, LGBTQ, and disabled people. The workers contact, compete, and conflict with them in the field, and intellectuals sit in the small room and enjoy enlightenment.

 

인간이 차에 맞춰서 운전해야 하는가, 아니면 차가 인간에 맞춰서 작동해야 하는가? 차가 인간에 맞춰주면 좋지만 기술이 안 되잖아. 어쩔 수 없다. 인간이 차에 맞추는게 인지부조화다. 행위가 자동차다. 인식을 행위에 맞춘다.

Should humans drive for a car or should the car operate for humans? It's right for a car to fit a human, but technology doesn’t follow humans action. You have no choice but to fit the car. Action is a car and humans fit perception into action. That’s cognitive dissonanc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3 의사결정 주체 1장: 인간의 나쁜 결정 천분의일 2022-04-22 300
112 사회의 동원 11장: 자유와 매력 천분의일 2022-04-22 220
111 사회의 동원 10장 의리와 자유 천분의일 2022-04-21 260
110 사건의 해석 10장 일체용 dksnow 2022-04-19 255
109 사회의 동원 9장: 인간선언 천분의일 2022-04-18 229
108 사회의 동원 8장: 작가의 권력 천분의일 2022-04-15 430
107 사건의 해석 9장 사건과 사물 dksnow 2022-04-14 336
106 사회의 동원 7장: 자유 의리 매력 천분의일 2022-04-12 251
105 사회의 동원 6장: 사회 동원 소집 천분의일 2022-04-10 265
104 사건의 해석 8장 공간의 일의성 시간의 인과율 dksnow 2022-04-07 332
103 사회의 동원 5장 동원과 명령 천분의일 2022-04-07 279
102 사회동원론 4장: 행위와 인지 천분의일 2022-04-03 291
101 사건의 해석 7장 공간의 구조 dksnow 2022-04-02 327
100 사회의 동원 3장: 사회동원론 천분의일 2022-04-02 358
99 사건의 해석 6장 조절장치 dksnow 2022-03-31 286
98 사회의 동원 2장: 자유 평등 정의 천분의일 2022-03-31 317
97 사회의 동원 1장: 영역 세력 서열 천분의일 2022-03-30 288
96 사건의 해석 5장 매케니즘 dksnow 2022-03-29 261
95 생각의 기술 9장: 일원론 이차식 다양형 천분의일 2022-03-28 223
94 사건의 해석 4장 확산과 수렴 dksnow 2022-03-27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