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806 vote 0 2022.02.02 (13:37:31)


Numbers, atoms, Gujos

 

수는 숫자로 이루어지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진다면, 변화는 구조자로 이루어져야 한다. 의사결정의 1 단위가 구조다. 구조 다섯이 모여 사건 하나를 이룬다.

Number consists of numbers, material is made up of atoms, and change must be made with Gujos. Gujo構造 is one unit of decision-making. Five Gujos come together to form an event.


서구의 원자론은 변하지 않는 것을 찾으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변화를 추적하려면 변하지 않는 잣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반면 동양의 주역사상, 음양오행, 연기사상은 변화 중심의 사유다. 노자의 이유극강이 그러하다. 유가 강을 이기고 변화가 불변을 이긴다. 변화를 뜻하는 음은 불길하고 안정을 뜻하는 양이 길하다는 주역의 해석은 잘못된 것이다. 주역의 역은 원래 변화를 뜻한다는 점에서 모순이 있다.

Western atomism is the product of an effort to find something that dosen’t change. It is because, in order to track change, they have needed an unchanging criterion. On the other hand, Eastern Iching ideology, yin and yang five elements, and ideology of acting are change-oriented ideology. Lao-tzu's thought called iyugeuggang以柔克剛 is also the same. Softness overcomes strongness, and change overcomes invariance. Iching interprets that ‘yin which means change is ominous, and yang which means stability is good’. But the interpretation is wrong. Iching周易 is contradictory in that yinmeans change.


문제는 관측의 역설이다. 서양은 변화의 핵심을 찌르지 못하고 주변을 탐색했으나 오히려 성과가 있었고, 동양은 정곡을 찔렀으나 도리어 혼미해졌다. 이는 직관의 한계다. 변화가 본질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직관으로 안다. 딱 봐도 정답은 변화다. 그러나 변화를 보면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흐름 속에서는 흐름을 읽을 수 없다. 불변을 봐야 변화가 보인다.

The key is the paradox of observation. The West could not penetrate the core of change and explored the surroundings, but rather had results, and the East hit the nail on the head, but rather became confused. This is the limit of intuition. Everyone knows by intuition that change is the essence. Intuitively, the answer is change. However, if you try to see a change, you can't see a change. The flow cannot be read in the flow. When you find invariance, you can see the change.

 

한의학의 기는 변화를 추적하려는 것이다. 실패한다. 변화의 뒤꽁무니를 쫓아서는 변화를 따라잡을 수 없다. 변화의 앞길을 막아서야 한다. 변하지 않는 질량을 봐야 뉴턴이라도 힘의 법칙을 찾아낼 수 있다. 변하지 않는 바퀴축을 기준으로 변하는 바퀴의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21세기다. 불변을 추구하던 서구과학은 양자역학의 변화에 막혔다. 닐스 보어는 동양의 주역에서 힌트를 얻어 상보성 원리를 정립했다. 정답은 역시 변화다. 교통정리가 필요하다. 먼저 불변을 보고 다음 변화를 봐야 한다. 불변의 씨앗을 보고 다음 성장과정에서의 변화를 봐야 한다. 도장은 불변이나 도장을 찍어보면 종이와 잉크의 상태에 따라 변한다. 일란성 쌍둥이 유전자는 같은데 성장환경에 따라 변한다.

Oriental medicine tried to track changes through Gi. But it failed. You can't catch up with the change by chasing after the back of the change. You must block the path of change. Only after finding the unchanging mass can even Newton find out the laws of motion. It is possible to judge the speed of the changing wheel based on the unchanging wheel axis. It's the 21st century. Western science, which pursued invariance, was blocked by changes in quantum mechanics. Niels Bohr established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by taking hints from the Eastern Iching周易. The answer is also change, and the sequential order needs to be organized. First, you have to look at invariance and then the next change. You should look at the invariable seeds and see the changes in the next growth process. The stamp is unchanged, but when stamped, its expression chang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aper and ink. Identical twins have the same genes, but they change depending on the growth environment.

 

동양의 한의학은 변화하는 기를 찾으려다가 길을 잃었고, 서구의 원자론은 불변의 요소를 찾으려다가 길을 잃었다. 우주의 근본은 변화다. 변화 안에서 불변을 찾아야 한다. 그것은 나란함이다. 동양의 기는 변화해서 망하고 서구의 원자는 변하지 않아서 망하는데 구조론의 정답은 변화 속의 불변이다. 그것은 나란함이요 대칭이요 밸런스다. 변화의 대칭에서 변하지 않는 바퀴축이 되는 토대의 공유다. 그것이 구조다.

Oriental medicine got lost trying to find a changing Gi. Western atomicism lost its way trying to find invariant elements. Oriental Giwas ruined by change and western atomism was also ruined by invariance. The foundation of the universe is change. You have to find invariance within change. It’s being parallel. And here is Gujoron that defines the answer, which speaks of invariance in change. It’s being parallel, symmetry. and balance. It is the share of the foundation that becomes the unchanging wheel axis in the symmetry of change. That's GUJO.

 

사물은 변하지 않고 사건은 변한다. 실제로는 그 반대다. 사건은 변하지 않는다. 사건의 진행은 변하지만 사건의 질서는 변하지 않는다. 사물은 변한다. 쇠가 녹쓸고, 소금이 물에 녹고, 생물이 죽고, 음식이 변질된다. 자동차가 달린다. 자동차는 변하지 않는다. 내부에서 변하는 것은 바퀴다. 외부에서 변한 것은 자동차와 주변의 관계다. 사건은 법칙을 따르며 사건은 변하나 법칙은 불변이다. 얕은 관찰에서는 사물이 불변하고 사건이 변하지만 깊이 파헤치면 사물이 변하고 사건이 불변이다.

Objects do not change and events change. In reality, it's the opposite. Events do not change. The progress of the event changes, but the order of the event does not change. Objects change. Iron rusts, salt melts in water, living things die, and food goes bad. Cars are running. Cars don't change. What changes on the inside are the wheels. What has changed from the outside is the relation between the car and its surroundings. Events follow the law, and events change, but the law is invariance. In shallow observation, objects don’t change and events change, but when dug deep, objects change and events do not change.

 

우주 안에서 모든 것은 변한다. 겉보기가 변하지 않을 뿐이다. 씨앗에서 싹이 나오고, 싹에서 가지가 나오고, 가지에서 꽃이 나오고, 꽃에서 열매가 나오는 것은 변화다. 그 변화의 순서는 불변이다. 열매를 먼저 맺고 나중에 꽃이 피는 일은 절대로 없다.

Everything changes in the universe. It just doesn't change in appearance. It is a change that sprouts from seeds, branches from sprouts, flowers from branches, and fruits from flowers. The order of the change is invariant. There is no way that bears fruit first and then flowers later.

 

 

쪼개지지 않는 불변의 원자는 없다. 두 변화의 나란함이 원자로 행세한다. 그것이 양자다. 쪼개면 쪼개지지만 사건을 추적하려면 쪼개지 말아야 한다. 원자의 쪼개지지 않는 성질은 추적하기 쉽도록 변하지 않고 제 자리에 가만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인간의 희망사항인 것이다. 그런데 변한다. 과학계가 원자에 기대했던 제 자리에 가만이 있는 성질은 구조에 있다. 구조의 방향과 순서는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

There is no invariant atom that does not split. By being parallel of the two changes, the atom behaves as an atom. That's the quantum. You can split it, but should not split up to track an event. The undivided nature of atoms is a human-made hope that it should stay in place without changing to be easy to track. But in reality it changes. The scientific community expected atoms to stay in place, but in fact, such nature can be found in Gujo. The direction and order of Gujo never change.

 

원자는 하나고 구조는 둘이다. 변화하는 둘이 대칭을 이루고 나란한 것이 구조다. 나란하면 하나처럼 보인다. 둘이 하나로 행세하면 효율적이다. 그 효율성의 힘으로 외력에 맞서 자기 존재를 달성한다. 어떤 것이 존재한다는 것은 외력에 맞서 자기 위치를 지켰다는 말이다. 어떻게 이겼을까? 강하기 때문이다. 왜 강하지? 외력은 하나인데 구조는 둘이기 때문이다. 21을 이긴다. 대표적인 것이 전자의 공유결합이다. 공유하면 효율적이고 효율적이면 안정적이다. 외력을 이기고 자리를 지켜서 존재를 달성한다. 자연계의 4대 힘 곧 중력, 강력, 약력, 전자기력이 모두 수학적으로 도출되는 구조적 효율성의 힘이다. 자연계의 4대 힘은 그렇게 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라는 말이다.

The atom is one and the Gujo is two. Gujo is that the changing two are symmetrical and parallel. Being parallel looks like one. It is efficient when the two act as one. With the power of its efficiency, it achieves its existence against external forces. The existence of something means that it has maintained its position against external forces. How did it protect and win? Because it was strong. Then why strong? Because there is one external force but two Gujos against it. 2 wins 1. A typical example is the covalent bond of electrons. Sharing is efficient and efficient is stable. It achieves existence by overcoming external forces and maintaining its position. The four forces of the natural world are the forces of structural efficiency in which gravitational force, strong force, weak force, electromagnetic force are all mathematically derived. They are more stable and efficient when shared.

 

변화의 문제는 브레이크가 없다는 것이다. 한 번 시작되면 멈출 수 없다. 불이 번지듯이, 화약이 폭발하듯이, 돌풍이 몰아치듯이 겉잡을 수 없게 변화가 일어난다. 쓰러지는 도미노를 멈출 수 없다. 변화를 유지하면서도 멈추려면 닫힌계를 닫아걸고 변화가 내부를 향하게 해야 한다. 변화에는 비용이 소비되므로 내부를 쥐어짜기 어렵다. 구조가 변화과정에 효율성을 소비한 상태에서 또다시 효율성을 쥐어짜는 방법은? 둘이 나란한 상태에서 또다른 나란함을 만들어내려면? 내부를 쪼개서 또다른 나란함을 도출해야 한다. 이 과정은 질, 입자, , 운동, 량에 걸쳐 5회 반복된다.

The problem of changes is that there is no brake. Once it starts, you can't stop. Like a fire spreads, gunpowder explodes, and a gust of wind blows, changes occur uncontrollably. You can't stop the falling domino. However, in order to stop the brake while maintaining the change, the closed system must be closed and the change must be directed inward. However, the cost of change makes it difficult to squeeze the inside. After exhausting all of the efficiency in the process of change, is there any way Gujo can squeeze the efficiency again? In addition to a set of being parallel, is there any way to create another being parallel? It is solved by splitting the interior and deriving another being parallel. This process is repeated five times over quality, particle, force, movement, and quantity.

 

계가 만들어지면 질에서 입자로 가며 밸런스를 얻어 안정되지만 관성력은 또다른 불균형을 야기한다. 또다른 밸런스를 찾아 축이 이동한다. 질 밸런스에서, 입자 밸런스, 힘 밸런스, 운동 밸런스를 거쳐 량 밸런스에서 멈춘다. 밸런스를 만들면서 효율성을 소비했으므로 다음 밸런스에서는 선택지가 줄어든다. 여기에 사건의 방향성이 있다. 문어가 제 살을 깎아먹듯이 내부자원을 갉아먹는 형태로 밸런스를 도출하므로 구조손실이라는 마이너스가 일어난 것이 엔트로피 증가다. 닫힌계 안에서 의사결정 참여정도가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회의를 할때마다 참여자가 줄어든다. 회원의 일부가 진행요원으로 차출되기 때문이다.

When a system is created, it goes from the quality to the particles and obtains a balance and is stable, but the inertial force causes another imbalance. The axis moves in search of another balance. It starts and stops in the sequential order of quality balance, particle balance, force balance, movement balance, and quantity balance. Since efficiency was consumed while creating a balance, options are reduced in the next balance. Here is the directionality of the event. As octopus gnaws its own flesh, it derives a balance in the form of gnawing on internal resources. At the time, a structural loss of minus occurs, which is an increase in entropy. In a closed system,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decreases step by step. Each time a meeting is held, the number of participants decreases. This is because some of the members are transferred to the staff.


[레벨:5]천분의일

2022.02.02 (13:49:14)
*.77.91.93

1. 물체 물질에 대한 영어 단어를 찾아보았는데 일단 물체는 object, 물질은 matter가 적당하다 생각되는데 다른 좋은 의견이 있으면 제안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물체, 사물: object(물질이 모여 완성된 형체, 물체의 이름이 있음, , 유리, 책상, 책 등)

-재료: material (물체를 이루는 요소, 컵은 유리로 만들어졌다)

물질: matter(물체와 대비되는 용어로 완성되지 않은 형체, 책상이 되지 않은 나무덩어리 등으로 이름이 없음, substance의 집합)

-순물질: substance, 성분

-재료: Stuff(material 보다 넓은 의미)

-사물: things (형태가 있거나 없는 개념까지도 포함하는 모든 물체)

 

2, 생물은 일단 living things로  썼는데 이 역시 다른 좋은 단어가 있으면 제안 부탁드립니다.

(생명을 갖고 있거나 살아있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

- living things: possesses or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life or being alive.

- creature: an animal, as distinct from a human being


3. 질 입자 힘 운동 량은 일단 고유명사가 아닌 영어 단어로 번역했는데 이 부분은 제 능력으론 잘 모르겠으니 좋은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22.02.03 (12:16:11)
*.244.135.141

구조론에서 사용하는 개념들은 번역하실 때 밑줄만 그어주시면, 차후에 통합할 때 각주처리하든, 하이퍼링크로 개념만 따로 설명을 하든 할 예정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3 의사결정 주체 1장: 인간의 나쁜 결정 천분의일 2022-04-22 300
112 사회의 동원 11장: 자유와 매력 천분의일 2022-04-22 219
111 사회의 동원 10장 의리와 자유 천분의일 2022-04-21 260
110 사건의 해석 10장 일체용 dksnow 2022-04-19 254
109 사회의 동원 9장: 인간선언 천분의일 2022-04-18 228
108 사회의 동원 8장: 작가의 권력 천분의일 2022-04-15 430
107 사건의 해석 9장 사건과 사물 dksnow 2022-04-14 335
106 사회의 동원 7장: 자유 의리 매력 천분의일 2022-04-12 251
105 사회의 동원 6장: 사회 동원 소집 천분의일 2022-04-10 264
104 사건의 해석 8장 공간의 일의성 시간의 인과율 dksnow 2022-04-07 332
103 사회의 동원 5장 동원과 명령 천분의일 2022-04-07 278
102 사회동원론 4장: 행위와 인지 천분의일 2022-04-03 291
101 사건의 해석 7장 공간의 구조 dksnow 2022-04-02 327
100 사회의 동원 3장: 사회동원론 천분의일 2022-04-02 357
99 사건의 해석 6장 조절장치 dksnow 2022-03-31 286
98 사회의 동원 2장: 자유 평등 정의 천분의일 2022-03-31 317
97 사회의 동원 1장: 영역 세력 서열 천분의일 2022-03-30 288
96 사건의 해석 5장 매케니즘 dksnow 2022-03-29 261
95 생각의 기술 9장: 일원론 이차식 다양형 천분의일 2022-03-28 223
94 사건의 해석 4장 확산과 수렴 dksnow 2022-03-27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