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332 vote 0 2022.05.16 (16:37:12)

 

Chapter 1: Righteous·ism vs utilitarianism

 

전략과 전술이 충돌할 때는 전략을 따라야 한다. 바둑의 사석작전과 같다. 전략은 눈앞의 작은 것을 내주고 미래의 큰 것을 얻는 바꿔치기를 반복하는 것이다. 져주는 것 없이 어떻게든 상대를 이겨먹으려고 하는 소인배 행동이 전술집착의 병폐다. 부모는 자식에게 져주는데 소인배는 지려고 하지 않는다. 보통은 그러다가 전투에 이기고 전쟁에 진다. 초반에 기습 한 번을 이기고 의기양양해 하다가 이쪽의 전력을 들켜서 패배하게 된다. 그런데 무리한 전술적 기동을 했는데도 계속 이기면 어떨까? 그 경우는 굉장히 운이 좋은 경우다. 미국이라면 충분히 그럴 수 있다.

You should prioritize strategy when it clashes with tactics. The strategy is a repetition of substitution, giving the present small and getting the future big. It's like '*sacrificial strategy' of Baduk. It's hard to beat an opponent every time without a single defeat. Nevertheless, Petty men are obsessed with tactics only for perfect victory. Parents try to lose to their children, and petty men never try to lose. That's why you win the battle but lose the war. In the beginning, he won once in a surprise attack and was elated, but lost because his power was revealed. Then is it impossible to continue to win with excessive tactics? Then it's a very lucky thing. And you can say that America is the case.

*sacrificial strategy: A strategy that gains more benefits from the opponent, giving away some of the stones from the allies to the opponent

 

미국은 복 받은 나라다. 미국은 영토가 넓고 자원이 많고 인구가 적어서 서로 마찰할 일이 없다. 내부의 갈등을 외부로 돌려서 인디언 땅을 빼앗고 서부로 진출하면 된다. 일어난 전쟁 덕에 지갑을 연거푸 주우니 기쁨 두 배다. 이 경우 전술적 기동을 해도 이긴다. 계속 이기다 보면 나사가 빠져서 잘못된 이론을 만들게 된다. 결과가 좋으면 다 좋다는 영국식 공리주의와 그 연장선상에서 일어난 미국식 실용주의 병폐다. 전성기의 영국도 결과가 좋았다. 나빠지기 전 까지는.

The United states is blessed by God. They get into few conflict each other because of its large territory, resourcefulness and low population. They can turn the internal conflict to the outside, take Indian land and move to the West. Thanks to the war in other countries, various trades go well and becomes rich. In this case, they can continue to win by tactical maneuver. And in the end, they fall into an illusion of continuous success and make a wrong theory. It is the British utilitarianism that all is well if the results are good, and the American pragmatism that took place in the extension. Great Britain in its prime continued to win, until the result gets worse.

 

공리주의는 진지한 철학이 아니다. 소피스트의 궤변에 불과하다. 구조론은 수학으로 보는 것이다. 판을 키우면 강체가 유체로 바뀌면서 수학의 확률이 작동한다. 자원이 가진 고유한 성질은 의미가 없고 자원들 사이의 관계가 결과를 만든다. 결국 확률이 지배하게 된다. 공리주의 결과론도 확률처럼 보이지만 착각이다. 구조론은 원인이 맞아서 확률이 맞는 것이고 공리주의는 결과가 맞아서 확률이 맞는 것이다. 원인이 맞는데 결과가 나쁘면 확률은 어디로 갔을까? 이웃에게 갔거나 후손에게 갔다. 승산이 51 49인 게임에서 51을 선택했는데 졌다면? 큰 수의 법칙에 따라 나중에 이길 확률이 올라갔으므로 손해는 없다. 나중이 없다면? 후손도 없다면? 동료가 확률을 가져갔다. 내가 여기까지 온 것도 동료가 내게 확률을 양보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내 확률을 동료가 챙겨가도 미련은 없다. 승산이 높은데도 졌다면 다음에 동료가 이길 확률이 상승한 것으로 간주하고 만족해야 한다.

Utilitarianism is not a serious philosophy. It is nothing more than a sophist's sophistry. Gujoron is viewed by mathematics. As the game grows in size, the solid turns into the fluid, and the probability of mathematics works. The nature of resources is meaningless, and relation between them produce results. In the end, a large number of laws work and the probability prevails. Utilitarianism also seems to be a probability at a glance, but it is an illusion. Gujoron is a probability by figuring out cause, and utilitarianism is a probability adjusted to the result. But what if the cause is right and the result is bad? So where is the probability? It went to neighbors or descendants. What if you chose 51 in a 51-49 game and lost? There is no loss because 'large number of law' increases your chances of winning later. But what if there was no later, no descendants? A colleague took the probability. Thanks to the probability that my colleague gave to me, I was able to come to this place. Therefore, there is no regret even if my colleague takes my chance. What if you lost even though you had a high chance of winning? You should be satisfied because your colleague's chance of winning has increased with the chance you gave.

 

공리주의는 결과만 본다. 결과가 좋으면 다 좋다. 그것은 확률이 보장한다. 언뜻 봐서 말이 되는 것 같지만 과연 그게 결과일까? 사건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문명의 역사는 길다. 역사의 수레바퀴는 천천히 구른다. 구조론은 질, 입자, , 운동, 량이다. 입자나 힘이나 운동 단계에서 샴페인 터뜨리기 다반사다. 인생만사 새옹지마다. 선이 악이 되고 악이 선이 된다. 좋은게 나쁜 것이고 나쁜게 좋은 것이다. 히틀러도 베를린 올림픽까지 좋았다. 소련은 한때 20퍼센트 경제성장 찍었다. 박정희도 한 때는 좋았고 김일성도 좋은 시절이 있었다. 모택동은 대약진운동 직전까지 좋았다. 누구든 한 번 쯤 좋은 시절이 없었겠는가?

Utilitarianism is judged only by results. Everything is good if the result is good. The probability guarantees that. It seems right at first glance, but is what you saw the result? The event is still ongoing.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s long, and the wheel of history rolls slowly. Gujoron is quality, particle, force, movement, and quantity. 'Popping champagne' is common at the stage of particle, force or movement. Ten thousand things happen in life. Good becomes evil, and evil becomes good. Hitler behaved himself until the Berlin Olympics. The Soviet Union once recorded 20 percent economic growth. Park jung-hee and Kim Il-sung once had a good time. Mao Zedong was good until just before the Great Leap Forward. Everyone has ever had a good time.

이명박근혜도 좋은 시절은 있었다. 청나라도 강희제 때는 좋았다. 망하기 전 까지는 전두환도 좋았다. 도박꾼도 오링되기 전까지는 좋다. 공리주의가 영국에서 일어난 이유는 그때 영국이 좋았기 때문이고 실용주의가 미국에서 유행하는 이유는 미국이 현재 좋기 때문이다. 유럽이 양차세계 대전에 자멸하자 미국은 지갑을 주웠다. 일본도 90년대까지 좋았다. 러일전쟁, 청일전쟁, 중일전쟁, 태평양전쟁을 했지만 그게 경제발전에 기여했다. 공리주의와 실용주의는 과거 잘 나갔던 영국과 현재 잘 나가는 미국의 허세다. 그러다가 미국이 중국에 역전당하면 어쩔 것인가? 스푸트니크 쇼크를 맞아봐야 정신을 차릴 것인가?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lso had a good time. The Qing Dynasty was also good at the time of Kangxi Emperor. Chun Doo Hwan was good until he went crazy. It's good until amblers are lost all their stake. Utilitarianism happened in Britain because Britain was good at that time, and pragmatism is popular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the United States is good now. The U.S. picked up a lost wallet when Europe lost hegemony in two World Wars. Japan was also good until the 90's. They waged The Russo-Japanese War, the Sino-Japanese War, Second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but the wars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Utilitarianism and pragmatism are the bluffs of Britain, which has done well in the past, and the United States, which is doing well in the present. What if the U.S. is defeated by China? Will the U.S. finds out its mistake after another Sputnik shock?

 

공리주의가 공리功利를 추구한다면 구조론은 공의功義를 추구한다. 공리주의는 결과가 좋으면 좋다는 입장이고 공의주의는 원인이 좋으면 좋다는 입장이다. 원인이 좋은데 결과가 좋지 않은 부분은 확률에 맡겨서 처리한다. 방향을 올바르게 잡고 상호작용을 높여가면 개별적인 사정은 닫힌계 안에서 용해된다. 51 49로 계속 이겨서 결국 1000으로 저울을 기울어지게 만든다.

Utilitarianism pursues public interest, and Gujoron pursues public loyal. Utilitarianism is a position that good results are good, and righteousism is a position that good causes are good. But what if the cause is good and the result is not good? The probability will take care of that part. With the right direction and increased interaction, individual circumstances dissolve naturally in a closed system. It continues to win 51-49, which eventually tilts the scale to 100 to 0.

 

구조론은 원인 차원에서 답을 알고 간다. 올바른 방향을 찾은 다음 부단히 맞대응을 한다. 현장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톱니가 맞물려 돌아야 한다. 상호작용을 증대하면 확률이 증가한다. 결과가 나쁘면 불운이다. 재수가 없으면 경영을 잘해도 망한다. 별수 없다. 노무라 증권 보고서 한 장 때문에 망한 김우중도 재수가 없었다. 그런데 그 확률을 누가 만들었지? 오너 리스크가 누적된 것이다. 알고보면 운도 실력의 일부다.

Gujoron seeks answers at the cause step and moves forward. It finds the right direction and then respond constantly. It should be physically connected to real field. Cogs should be interlocked. If you increase the interaction, the probability increases. It is unfortunate if the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probability. Without luck, you will fail even if you are good at management. There's nothing you can do. Kim Woo-joong, who went bankrupt by a report of Nomura Securities, was also unlucky. But who created that probability? Actually owner risk has accumulated. Luck is also part of your ability.

 

공리주의가 아주 틀린 것은 아니다. 백년 단위, 천년 단위의 긴 호흡으로 보면 결과가 좋으면 좋은게 맞다. 그러나 인간은 중간단계에 결과가 나왔다고 착각하고 만세 부르다가 망한다. 인류문명 단위로 크게 보지 않고 마을단위로 좁혀서 보면 결과가 좋다는 착시가 일어난다. 뒤로 리스크가 누적되는 것을 모르고 말이다. 일본인들은 지금 현재 상태에 만족한다. 그들 입장에서 결과가 좋은 것이다. 조만간 청구서가 날아올 것을 모르고 말이다.

Utilitarianism is not entirely wrong. If the results of a long period of 100 years or 1,000 years are good, it can be certainly right. However, humans mistake the phenomenon of the middle stage as the result, so they pop champagne and are ruined. They mistake by looking at the results of village unit, not the result of civilization unit. In fact, they don't know the risks are piling up behind them. The Japanese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Japan. Because the result is good for them. But they don't know that debt collector will visit before long.

 

공리주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는데 결과가 좋으니까 다 좋다고 일찌감치 샴페인 터뜨리다가 망하는 것이고, 공의주의는 원인이 좋으면 결과야 어찌되든 신경쓰지 않는 것이다. 원인이 좋은데 결과가 나쁘다면 확률에 맡겨 처리한다. 좋은 원인이 만든 높은 승률이 내게 돌아오지 않으면 후손이나 동료에게 넘어간다. 의리로 결속하여 동료와 하나가 되면 내가 여기까지 온 것도 동료가 내게 확률을 양보한 결과이므로 만족한다. 일희일비 하지 말고 합리적인 결정을 계속해야 한다. 집단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수학이 답을 내게 한다.

Before the results come out, utilitarianism is ruined by popping champagne early because the middle stage of the situation is good, and righteous·ism does not care about the result if the cause is good. If the cause is good but the result is bad, leave it to the probability. If a high probability of winning due to a good cause does not come back to you, it goes to descendants or colleagues. I came all the way here with my colleagues as a loyal, and that’s because my colleagues yielded the probability to me, so I am satisfied. You should continue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without panic and grief. Moving in a way that increases the interaction of groups, you should induce math to give the answer.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3 관점과 관념 5장 권력과 동원 dksnow 2022-05-30 339
132 강자의전략 6장: 전략과 전술 천분의일 2022-05-28 350
131 강자의전략 5장: 오자병법 손자병법 천분의일 2022-05-27 438
130 강자의 전략 4장: 유체에서 강체로 천분의일 2022-05-24 343
129 강자의 전략 3장: 지식인의 오류 대중의 오판 천분의일 2022-05-21 394
128 강자의 전략 2장: 열린주의 등판 천분의일 2022-05-19 292
127 관점과 관념 4장 이데아 구조론 dksnow 2022-05-17 372
» 강자의 전략 1장: 공의주의 공리주의 천분의일 2022-05-16 332
125 의사결정주체 9장: 자유의지론 천분의일 2022-05-14 287
124 의사결정주체 8장: 상호작용론 천분의일 2022-05-12 310
123 관점과 관념 3장: 심리적 지정학 dksnow 2022-05-10 313
122 의사결정주체 7장: 결정론의 오류 천분의일 2022-05-10 282
121 관점과 관념 2장 바른말을 하자 dksnow 2022-05-09 340
120 의사결정주체 6장: 주체성과 타자성 천분의일 2022-05-09 279
119 관점과 관념 1장 관념에서 과학으로 dksnow 2022-05-06 342
118 의사결정주체 5장: 공자의 주체성 천분의일 2022-05-04 404
117 의사결정주체 4장: 바가바드 기타 천분의일 2022-05-02 280
116 의리 결정 주체 3장 의리 게임 자유 천분의일 2022-04-28 386
115 의사 결정 주체 2장: 소인배의 이겨먹기 천분의일 2022-04-28 277
114 사건의 해석: 12장 공자의 해석 dksnow 2022-04-25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