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374 vote 0 2022.03.08 (20:48:40)

The structure of language

 

 

언어는 사건을 전달하는데 인간은 사물에 집착하므로 소통이 불통이다. 사냥꾼이 활을 쏘면 화살은 과녁에 맞는다. 사냥꾼도 움직이고, 활도 움직이고, 화살도 움직이는데 과녁은 제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인간은 움직이는 화살을 보지 못하고 고정된 과녁만 쳐다본다. 총이 고장났는데, 사람들은 표적지를 탓한다.

Language delivers events, but humans are obsessed with objects, so communication is a mess. When the hunter shoots a bow, the arrow hits the target. The hunter moves, the bow moves, and the arrow moves, but the target does not move in place. Humans do not see moving an arrow but only look at fixed target. The gun breaks down, and people blame the target.

 

언어는 전제로 진술을 쏜다. 전제가 활이면 진술은 화살이다. 언어의 실패는 전제를 망각하는 것이다. 활을 설명하는 언어는 상호작용, 권력, 의미, 기세, 의리다. 자유, 민주, 정의, 평화, 평등, 사랑, 선행, 윤리, 도덕 따위 관념어는 과녁을 설명한다.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므로 말이 통하지 않는다. 활이 틀어졌는지는 활과 화살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활은 절대성이다. 과녁은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상대성을 가지므로 누구도 결과에 승복하지 않게 된다.

Language shoots a statement with the premise. The premise is a bow, and a statement is an arrow. The failure of language lies in forgetting the premise. The words that describes a bow is interaction, power, meaning, spirit, and loyal. The conceptual words that describes a target is freedom, democracy, justice, peace, equality, love, good deeds, ethics, and morality. They can't communicate each other because of looking at different places. You can confirm whether the bow is twisted by comparing the bow and the arrow. The bow is absoluteness. The target have relativi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so no one accepts the result.

 

언어는 전제와 진술로 조직되는데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전제를 숨긴다. 눙치고 들어간다. 사기꾼의 말에는 항상 숨은 전제가 있다. 정치판의 프레임 걸기다. 경선에 불복하는 사람이 규정을 들어 말하지만 본뜻은 상대당을 찍겠다는 위협이다. 이런 것이 숨은 전제다. '내가 한나라당 입당하면 니들이 어쩔 건데? 반대급부로 총리자리 확답 줄거야?' 정몽준이 자기 입으로 내뱉지는 않지만 뒤에 숨겨놓고 은연 중에 내비치며 겁주는 말이다.

Language is organized by premises and statements, but the liar hides the premises. He begins his statement equivocating the premises. The swindler always hides the premise in his words. The framing of political world is an example. A man who disagrees with the primary addresses the rules, but it is a threat to vote for the other party. This is the hidden premise. What are you going to do if I join the Grand National Party? Can you confirm a position as Prime Minister in return? Although Jung Mong-joon did not say it out of his mouth, he hid it behind him and was scaring with an implicit demand.

 

숨은 전제는 밸런스 형태로 존재한다. 강도가 '돈내놔.' 하는 말에는 '순순히 금을 넘기면 유혈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나는 그만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너는 알아야 한다.'는 전제가 숨어 있다. 피해자가 돈을 내놔야 서로 더 얻을게 없는 균형상태로 밸런스가 회복된다. 피해자는 목숨을 얻고 강도는 현찰을 얻는다.

The hidden premise exists in the form of balance. A robber says "Give me the money.” It hides a premise that “If you put money out meekly, nothing will happen, and you should know I have that power.” Only when the victim pays, they restore the balance that has nothing to gain from each other. The victim gets his life and the robber gets victim’s cash.

청자+화자=동사 : 변화

동사+동사=명사 : 변화 + 변화

주어+목적어=문장 : 변화의 출발점과 도착점

전제+진술=명제 : 사건의 원인측과 결과측

조건문+반복문=담론 : 대화의 질문과 대답

 

Listener + speaker = verb : change

Verb + verb = noun: change + change

Subject + object = Sentence: Starting point and arriving point of change

Premise + statement = Proposition : The cause side and effect side of event

Conditional sentence + repeated sentence = Discourse: Question and answer of conversation

 

언어는 대칭으로 조직된다. 공이 네트 양쪽을 오가면서 랠리가 이어지는 것이다. 동사는 청자와 화자 사이에서 변화를 반영하고, 명사는 변화에 대한 변화다. 정확히는 변화를 화자와 연결하는 지시다. 그냥 '' 라고 명사 하나를 뱉어도 그것이 '있고' 내가 그것을 '봤다'는 두 가지 동작이 숨어 있다. 그것이 '날고' 내가 그것을 '가리키며' 동사 둘이 합쳐서 명사 하나가 된다. 청자와 화자의 대칭을 축이 되는 동사가 연결한다.

Language is organized in symmetry. It's like a rally as the ball goes back and forth on both sides of the net. The verb reflects the change between the listener and the speaker, and the noun is the change to the change. To be exact, it is a directive that connects changes to speakers. Just by saying a noun 'bird', there are two movements hidden: it 'exists’ and I 'see' it. That's 'flying' and I 'point' it and the two verbs combine to become a noun. The verb as an axis connects the symmetry between the listener and the speaker.

 

동사 : 청자와 화자의 대칭(변화)

명사 : 동사와 동사의 대칭(변화와 그 변화에 대한 지시)

문장 : 명사와 명사의 대칭(변화의 출발점 주어와 도착점 목적어)

명제 : 문장과 문장의 대칭(사건의 원인측 전제어와 결과측 진술어)

담론 : 명제와 명제의 대칭(대화의 질문측 조건문과 대답측 반복문)

 

Verb: Symmetry oflistener and speaker(change)

Nouns: Symmetry of verb and verb (change and direction of change)

Sentence: Symmetry of noun and noun (the starting point as subject and arriving point as object about change)

Proposition: Symmetry of sentence and sentence (the premise word of cause side and the statement word of effect side about event)

Discourse: Symmetry of proposition and proposition (the conditional sentence of question side and the repetition sentence of answer side about dialogue)

 

명사가 동사에 대한 동사라면 문장은 명사에 대한 명사다. 변화의 출발점을 주어로 삼고 도착점을 목적어로 삼는다.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되어도 숨어 있다고 간주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패턴이 반복되어 명제와 담론을 이룬다. 사건의 원인측과 결과측을 반영하는 문장 두 개가 합쳐져서 하나의 명제가 되고, 명제 둘이 합쳐져서 하나의 담론을 이룬다.

If a noun is a verb of a verb, and a sentence is a noun of a noun. It regards the starting point of change as a subject, and the arriving point of change as an object. Even if the subject or object is omitted, it should be considered hidden. Patterns are repeated in this way, and form propositions and discourses. When two sentences, which reflect the cause and effect sides of the event, are combined, they become a proposition. And when two propositions are combined, a discourse is formed.

 

모든 언어는 원자 단위로 쪼개면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가 된다. 형용사나 조사, 부사, 전치사도 동사에 포함된다. 동사는 변화를 나타내며 변화가 반복되면 명사다. 바람이 불면 부는 것이다. '부는 것'이 반복되면 바람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When all languages are split into atomic units, they become verbs that express changes. Adjective, postposition, adverb, and preposition are also included in the verb. The verb expresses a change, and it becomes a noun as the changes are repeated. When the wind blows, it is ‘blowing’. And when ‘blowing’ is repeated, it becomes the name ‘wind’.

 

변화는 사건을 반영하며 사건은 원인과 결과가 있다. 명제는 인과율을 종속관계로 반영한다. 결과측은 원인측에 의해 제한된다. 진술은 전제에 의해 제한되므로 참과 거짓이 판별된다.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다.' 라고 말하면 대한민국의 원인에 서울이라는 결과가 종속된다. 대한민국이 활이고 서울은 화살이다. 화살의 이동은 활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므로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할 수 있다.

Changes reflect events, and events have causes and effects. Proposition reflects causality as a subordinate relationship. The effect side is limited by the cause side. Statements are limited by premises, so true or false is determined. If you say,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the result of Seoul is subordinate to the cause of Korea. Korea is a bow and Seoul is an arrow. The movement of the arrow is restricted by the bow. Therefore, you can judge whether the proposition is true or false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다.'라는 명제는, '대한민국은 수도가 있다.' '수도의 이름은 서울이다.' 하는 두 개의 문장이 합쳐진 것이다. 앞문장이 전제어가 되고 뒷문장이 진술어가 된다. 언어는 담론으로 완성된다. 담론은 대화의 형태다. 질문자가 있고 대답자가 있다. 부름과 응답이다. 호출문과 응답문이다. 질문자가 없어도 있다고 간주하고 자문자답 해야 한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언어는 사건을 반영하므로 어떤 둘을 연결해야 한다. 편지는 주소가 씌어져 있어야 한다. 말을 끌어내는 말을 덧붙여 대칭시키는게 담론이다.

The proposition that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is a combination of two sentences: ‘Korea has the capital.’ and ‘The name of the capital is Seoul.’ The former becomes premise word and the latter becomes statement word. Language is completed by discourse. Discourse is a form of conversation. There is a questioner and a respondent. It’s call and response. It's a call sentence and response sentence. Even if there are no questioners, you should answer your own question, considering that there is a questioner. Events continue one after another, and language reflects events, so it has to connect the two. Just as a letter needs an address, you should create symmetry by adding words that draw words, named discourse.

 

불완전한 문장이라도 담론의 일부를 구성하며 나머지는 표현되지 못하고 숨어 있다고 간주해야 한다. '배가 고프다'고 말하면 '밥을 달라'는 부분이 생략되어 있다. 콩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어야 한다. 언어는 본래 대화다. 질문해주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갑자기' 바람이 분다'고 말하면 이상하다. '바람이 왜 안 불지?' 하고 누가 질문해주면 '이제 바람이 살살 불어오는군. 저기 나뭇가지가 흔들리는 것을 보게나.' 하고 대꾸할 수 있다. 그냥 '일본팀이 잘못했다'고 하면 어색하고 '한국팀은 잘하고 있는데' 하고 앞에 깔아주는 사회자의 멘트가 있어야 한다. 언어는 두 사람이 공을 네트 너머로 날려보내는 주고받기 랠리다. 핑퐁과 같다. 혼자 독백을 해도 자문자답의 형태를 갖추는 것이 담론이다.

Even if it's an incomplete sentence, it forms a part of the discourse, and the rest should be regarded as unexpressed and hidden. When you say 'I am hungry', the part of 'Give me a meal' is omitted. Even if a person speak a part of the story, you have to understand the whole story very well. The basic function of language is conversation. So there should be a person who asks questions. It's strange to say 'wind is blowing' all of a sudden. When someone asks you, "Why isn't the wind blowing?" You can respond, "Now the wind is starting to blow gently. Look at the branches shaking over there.” It doesn’t fit the situation to say "The Japanese team doesn’t play well." Prior to this sentence, there should be a comment explaining the reason. “Even though Korean team is doing well.” Language is a exchange rally in which two people pass a ball over the net like ping pong. Even if you monologue alone, it is a discourse that takes the form of answering your own question.

 

담론은 그냥 씨부리는게 아니고 예시를 든다.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는데 과연 둘이 함께 상자를 옮기니까 편하구나.' 여기서 문장의 뒷부분에 오는 '둘이 함께 상자를 옮기니까 편하구나.' 하는 말이 반복문이고 앞에 내밀어지는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는 조건문이다. 조건문은 말을 끌어내는 말이다. 반복문은 랠리를 받아주는 말이다. 네트 너머로 날아온 공을 되돌려 보낸다. 누가 '산이 높다'고 선창하면 '물이 깊다'로 받아줘야 한다. 산은 높고 물은 깊다 하고 대칭을 이루면 의미가 산다. 그렇지 않고 일방적 선언이 되면 의미가 죽는다. 문장은 반드시 담론의 형태를 가져야 하며 담론의 형식이 아니라도 맥락 속에 담론이 숨어 있다. 연역으로 보면, 언어는 사건을 복제하므로 사건이 숨어 있다. 사건은 연결이므로, 연결고리를 드러내야 한다.

Discourse does not say silly words thoughtlessly but gives examples. “People say ‘it's better to carry a sheet of paper together’, so it's comfortable to move the boxes together.” In these two sentences, the latter is the repetition sentence and the former is the conditional sentence. Conditional sentence is words that draw words. A repetition sentence is a word that keeps the rally going. It send back the ball over the net. If someone starts off "The mountain is high," you should respond as “The water is deep.” Through the symmetry of ‘Mountains and water’ and ‘high and deep’. the meaning comes to live vividly. Otherwise, if it becomes a unilateral declaration, the meaning dies in vain. Sentences must have a form of discourse. Even if it is not a form of discourse, discourse is hidden in context. From a deductive point of view, a language replicates an event, so the event is hidden. An event is a connection, so it must reveal a link

 

언어는 사건을 반영하고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문다. 하나의 사건이 또다른 사건을 물어오는 것이 담론이고, 하나의 사건 안에서 결과측이 원인측을 물고 있는 것이 명제, 명제를 이루는 진술 안에서 다시 변화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반영하는 것이 문장이다. 그 도착점 안에 다시 변화의 반복이 숨어 있다. 완전히 분해하면 동사가 남는다. 그냥 '!' 하고 외마디 소리를 질러도 그 안에 담론이 숨어 있다. 충분히 표현하지 못했을 뿐이다.

Language reflects events and events continue one after another. It is discourse that one event is holding another, proposition that the effect side is holding the cause side in an event, and sentence that reflects the starting point and arrival point of change again within a statement forming a proposition. There is a repetition of change hidden within the arrival point. If you disassemble it completely, the verb remains. Even if you just shout 'go!', there is a discourse hidden in it. You just couldn't express enough.

 

모든 언어는 담론이며 담론은 완전히 갖추어진 말이며 그렇지 않으면 듣는 사람이 맥락을 헤아려서 들어야 한다. 개떡같이 말해도 콩떡같이 알아먹어야 한다. 코끼리 뒷다리만 보여줘도 온전한 코끼리 한 마리의 존재를 인정해야 한다.

All languages are discourse, and discourse is fully equipped, otherwise the listener must understand and listen to the context. Even if a person speak roughly, you have to understand the meaning correctly. Even if he shows the hind legs of an elephant, you must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a complete elephant.

 

한국인들이 유독 외국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주어를 생략하는 습관 때문에 대칭을 찾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영어는 전치사 때문에 헷갈린다. 주어와 목적어가 대칭되는 것이며, 주어라는 활이 동사라는 화살을 목적어라는 과녁에 쏘는 것이다. 이 그림을 머리 속에 그려야 한다. 전치사는 목적어에 포함되어 있는 일종의 조사다. 전치사는 뒤에 오는 명사에 붙어서 사실상 한 단어가 되어 있는데 과도한 띄어쓰기 때문에 헷갈리는 것이다. 하나의 대칭이 하나의 상황을 만든다. 언어학습은 그 상황을 학습하는 것이어야 한다. 하나의 대칭이 하나의 상황을 이루고 하나의 의미를 가진다. 대칭을 만들기 전까지 부속품들은 의미가 없다. 의미가 없으므로 뇌가 접수를 거부한다. 그러므로 암기에 실패한다.

Koreans have difficulty learning foreign languages. It is because they cannot find symmetry due to the habit of omitting subjects. Subject and object are symmetrical, and the bow(subject) shoots the arrow(verb) at the target(object). You have to draw this picture in your head. In particular you are more confused by prepositions. Prepositions are a type of postposition contained in the object. Prepositions are actually used in a meaning by attaching to the following nouns, which are confusing because of excessive spacing. One symmetry creates a situation. And language learning should be learning the situation. The situation takes place, and a meaning is created. The parts are meaningless until symmetry is created. The brain refuses to accept because it is meaningless. Therefore, You fail to memoriz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3 관점과 관념 5장 권력과 동원 dksnow 2022-05-30 336
132 강자의전략 6장: 전략과 전술 천분의일 2022-05-28 344
131 강자의전략 5장: 오자병법 손자병법 천분의일 2022-05-27 433
130 강자의 전략 4장: 유체에서 강체로 천분의일 2022-05-24 335
129 강자의 전략 3장: 지식인의 오류 대중의 오판 천분의일 2022-05-21 389
128 강자의 전략 2장: 열린주의 등판 천분의일 2022-05-19 289
127 관점과 관념 4장 이데아 구조론 dksnow 2022-05-17 366
126 강자의 전략 1장: 공의주의 공리주의 천분의일 2022-05-16 330
125 의사결정주체 9장: 자유의지론 천분의일 2022-05-14 271
124 의사결정주체 8장: 상호작용론 천분의일 2022-05-12 306
123 관점과 관념 3장: 심리적 지정학 dksnow 2022-05-10 311
122 의사결정주체 7장: 결정론의 오류 천분의일 2022-05-10 279
121 관점과 관념 2장 바른말을 하자 dksnow 2022-05-09 337
120 의사결정주체 6장: 주체성과 타자성 천분의일 2022-05-09 275
119 관점과 관념 1장 관념에서 과학으로 dksnow 2022-05-06 338
118 의사결정주체 5장: 공자의 주체성 천분의일 2022-05-04 399
117 의사결정주체 4장: 바가바드 기타 천분의일 2022-05-02 277
116 의리 결정 주체 3장 의리 게임 자유 천분의일 2022-04-28 380
115 의사 결정 주체 2장: 소인배의 이겨먹기 천분의일 2022-04-28 273
114 사건의 해석: 12장 공자의 해석 dksnow 2022-04-25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