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463 vote 0 2022.02.25 (22:29:30)

Thought in a closed system

 

사건은 마이너스다. 세상은 마이너스다. 다른 말로는 닫힌계다. 주사위가 던져지면 외부에서 개입할 수 없다. 내부에서의 처리에는 비용이 든다. 주사위가 바닥에 부딪히면 조금이라도 닳는다. 감옥에 갇혀서 무언가 획득할 수는 없고 자해는 가능하다. 무인도에서 솔로가 커플될 수는 없고 커플이 솔로될 수는 있다. 연결된 것을 끊을 수는 있어도 단절된 것을 새로 연결할 수는 없다. 변화에는 비용이 든다. 변화는 자체적으로 비용조달이 가능한 방향으로 일어난다.

The event is minus(-). The world is minus. In other words, it's a closed system. If a dice is thrown, it cannot be intervened from the outside. It costs to treat from the inside. When the dice hits the floor, it wears out even a little. You can't get anything in prison, but you can hurt yourself. On a deserted island, a single can't be a couple and a couple can be a single. You can cut off the connection, but you can't connect the disconnection. It costs money to change. Changes take place in a way that can be financed by itself.

 

연결된 것을 끊을 때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끊는 힘을 전달할 수 있지만 끊어진 것은 연결할 때는 연결에 필요한 힘을 전달할 수 없다. 연결상태에서만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연결상태에서 가능한 의사결정은 그것을 끊는 것이다. 돈 없는 커플이 유일하게 할 수 있는 결정은 헤어지는 것이다. 왜냐하면 데이트 비용이 없기 때문이다. 산 것은 죽을 수 있지만 죽은 것은 살아날 수 없다. 산 것은 죽을 힘이 있고 죽은 것은 살 힘이 없다. 이것이 우주의 제 1 원칙이다. 모든 사유의 출발점이 된다.

When you cut off something connected, the breaking power can be transmitted because it is connected, but a broken one cannot transmit the power required for connection when you connect. It means that decision making is possible only in a connected state. and a possible decision-making in the connected state is to disconnect it. The only decision a couple without money can make is to break up. Because there is no cost of dating. Living things can die, but dead things cannot survive. Living things has the power to die, and dead things has no power to live. This is the first principle of the universe. It's the starting point for all thoughts.

 

1 원리에서 큰 방향을 정해야 한다. 사느냐 죽느냐, 하느냐 당하느냐, 연결이냐 단절이냐, 에너지의 수렴이냐 확산이냐, 공자의 길이냐 노자의 길이냐, 합리주의냐 실용주의냐다.

From the first principle, a large direction should be set. Whether to live or die, to do or be done, to connect or to disconnect, diffusion of energy or convergence of energy, the way of Confucius or the way of Lao-tzu, and rationalism or pragmatism.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한다면 그 이유는 그것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왼쪽으로 못 가므로 오른 쪽으로 가는 것이고, 앞으로 못 가므로 뒤로 가는 것이다. 우리는 심리적 동기에서 원인을 찾으려 한다. 왼쪽으로 가는 이유는 왼쪽에 구미가 당기는 것이 있기 때문이지. 야망 때문이야. 의도가 있어. 목표가 있다구. 다 거짓말이다. 인간은 원래 어디라도 가는 동물이다. 저쪽으로 못 가서 이쪽으로 가는 것이다. 놀고 싶어서 노는게 아니고 공부를 못해서 노는 것이다.

Humans do something because they can do it. If they can’t go left, you go right. and if they can’t go forward, they go back. They try to find the cause in psychological motive. “Why do I go left? Because there's something tempting on the left. It's because of ambition. I have an intention. I have a goal.” It's all lies. Humans originally go anywhere. They can't go that way, so go this way. The reason why students, with poor grades, play out of doors is not because they want to play all day long. Because they can’t get good grades.

 

왜 그러느냐고 당사자에게 직접 물어보면 나는 그것을 원한다고 말하지만 둘러대는 말이고 반대쪽에 늑대가 있다. 늑대에게 쫓기는 사슴이 직진만 하듯이 그쪽으로 떠밀리는 것이다. 반대쪽에 강하게 스트레스가 걸려 있고 집단 무의식이 작용하고 있다. 심리적인 장벽이 있다. 좋은 짓을 못하기 때문에 나쁜 짓을 하는 것이다. 안철수가 저러는 이유는? 할줄 아는게 그것 밖에 없어서. 인간이 배신하고 변절하는 이유는? 그런 상황에 내몰린 것이다.

If you ask why, they say because they wants it, but there is a wolf on the other side. Just as a deer chased by a wolf goes straight, it is pushed toward it. Strong stress puts pressure on the other side, and group unconsciousness is also at work. There is a psychological barrier. Because they can't do good things, you do bad things. Why is Ahn Cheol-soo, Korean politician, doing that? Because it's the only thing he knows how to do. Why do humans betray and defect? That's why they were kicked out of the situation.

 

소도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는다.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른다.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담을 수 없다. 세상에는 외부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있고 할 수 없는 것이 있다. 거기에 사건의 방향성이 있다. 자연은 그저 할 수 있는 것을 한다. 인간도 같다. 친절하게 하고 싶은데 못해서 심통을 부리는 것이다.

The cow sees a place to lie down and stretches its legs. Water flows to a lower place. You can't put a large bowl in a small bowl. In the world, there are things that can be done itself without external help, and in the opposite case. You can find the directionality of the event there. Nature just does what it can. Humans are the same. They want to be kind but they can't, so they bother people who stay still.

 

에너지는 수렴 방향이다. 닫힌계를 지정했을 때 최초상태가 확산상태이기 때문이다. 그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가능한 어떤 변화는 수렴이다. 단순하다. 에너지는 단순하다. 메커니즘은 복잡하다. 최초에 단순했는데 내부에 축과 대칭의 메커니즘이 작동해서 복잡해진 것이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가 증가하기 전의 단순한 처음 상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바르다.

Energy goes in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When a closed system is designated, the initial is a diffuse state. The possible change in the state itself is only convergence. It’s simple. Energy is simple. Conversely, the mechanism is complex. It was initially simple, but the mechanism of axis and symmetry worked inside, and eventually became complicated. It is right to judge based on simple initial state, before entropy called ‘degree of disorder’ increases.

 

에너지의 수렴이 사건의 질, 입자, , 운동, 량의 단계에 각각 대칭을 만들므로 사건은 1, 2, 4, 8, 16배 복잡해진다. 갈수록 태산이다. 이미 복잡해졌다면 대상을 통제할 수 없다. 통제하려면 비용이 많이 든다. 적군이 흩어지기 전에 몰살시켜야 한다. 외부의 도움 없이 자체해결로 제한을 걸면 인간이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은 많지 않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문제아는 세 살 때 교정해야 한다. 강아지는 생후 4개월 때 사회성 훈련이 필요하다. 과일은 통조림이 되어 편의점에 진열되기 전에 조치해야 한다. 이미 편의점에 진열된 상태에서 문제가 발견되면 같은 날짜에 생산된 제품은 전량 폐기해야 하므로 손해가 막심하다. 기승전결로 가는 일의 진행단계마다 두 배로 해결이 어렵다. 한 단계를 통과할 때마다 대칭을 거치며 주변과 더 많은 관계를 맺으므로 엔트로피가 증가되어 구조손실이 일어난다.

As the convergence of energy creates each symmetry in the phases of quality, particles, force, movement, and quantity for an event, the event is multiplied by 1, 2, 4, 8, or 16 times. It's getting worse. Things are getting bigger. If it has already been complicated,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object. It costs too much to control. You must wipe out the enemy before it is dispersed. If it is limited to self-solving without external help, there are not many means to mobilize. What i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tomb. The problem should be corrected at the age of three. Puppies need social training at the age of four months. Fruits should be processed before they are displayed at convenience stores as canned. If a problem is found after being displayed, all products with the same manufacturing date must be discarded, so the cost loss is severe. It is twice as difficult to solve every step of progress to introduction, the development of theme, conversion, and summing up. You go through symmetry each time you pass through a step, and more relation with the surroundings are formed. So eventually entropy is increased and structural loss is occurred,

 

쇠뿔은 단김에 빼고 사건은 초기에 해결해야 한다. 문제는 언제가 사건의 초기단계냐다. 닫힌계를 지정하여 사건을 초기화 시켜야 한다. 에너지 작용의 공세종말점을 확인하면 된다. 합기도의 합기원리와 같다.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만든다. 인체의 모든 동작은 굽혔다가 펴는 것이므로 인체를 더 이상 펼 수 없는 상태로 유도하면 상대방은 힘을 쓸 수 없다. 건장한 사람도 합기술에 걸리면 맥없이 쓰러진다. 적군의 선두와 후미 간의 간격이 늘어져서 보급품이 전장에 도착하지 않을 때가 공세종말점이다. 그 시점에서 사건은 초기화 된다. 닫힌계가 만들어진다. 그때가 반격개시 시점이다. 육이오 때 낙동강 전선에서 일어난 일이다. 을지문덕이 수나라 군대를 평양성까지 유인한 다음 해상으로 전달하려던 보급품을 끊어버린 것이 그러하다.

Strike the iron while it is hot, and events need to be resolved in the beginning. The question is when is the initial stage of an event. So you need to designate a closed system and initialize the event. You can check culminating point of the attack. It is like the Hapgi principle of Hapkido. It creates a state in which energy can no longer move. Since all the movements of the human body are unfolded after bending, if you induce the human body to a state where it can no longer be unfolded, the opponent cannot use strength. Even healthy people collapse helplessly when they are trapped by Hapgi skill. Culminating point of the attack is when the gap between the enemy's lead and the rear is widened and the supplies do not arrive at the battlefield. At that point, the event is initialized. A closed system is created. That's when the counterattack begins. And in fact, during the Korean War, it happened on the Nakdong-gang battle. After Euljimundeok lured the Sui army to Pyongyang Castle, and he cut off the supplies Sui army were trying to deliver through the sea.

 

합기도 고수는 교묘한 속임수로 상대가 신체를 최대한 펼치도록 유도하여 신체의 공세종말점을 만든다. 공세종말점에 도달한 적군은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처럼 옴쭉달싹 못하고 한 방에 무너진다. 합기도 고수는 손가락 하나로 상대방을 쓰러뜨릴 수 있다. 그곳이 특이점이다. 특이점은 산의 정상과 같다. 정상에서 눈덩이를 굴리면 나비효과로 인해 사태는 점점 커진다. 정상에서의 작은 움직임이 산기슭에서 거대한 눈사태를 만든다. 나비효과는 착각이고 비탈효과다. 합기도 고수는 상대방의 신체를 최대한 늘여서 비탈을 만들어낸다. 러시아군은 모스크바를 비우고 나폴레옹군의 보급선을 늘여서 비탈을 만든다. 거기서 에너지의 확산은 수렴으로 바뀐다.

Using a clever trick, Hapkido masters induce the opponent to stretch his body as much as possible, and then, they create the culminating point of attack for the body. Like the Germans of Stalingrad, the enemy forces who reaches the culminating point of attack collapse at once without being able to move. A hapkido master can knock down the opponent with one finger. That's where the singularity is. The singularity is like the top of a mountain. When a snowball is rolled at the top, the situation gets bigger and bigger due to the butterfly effect. A small movement at the top creates a huge avalanche at the foot of the mountain. The butterfly effect is an illusion and the slope effect is real. The hapkido master creates a slope by stretching the opponent's body as much as possible. Russian army vacates Moscow and increases the supply ship of the Napoleon army to create slopes. There, the diffusion of energy turns into convergence.

 

영천 할매돌 착각은 심리적 비탈효과를 이용한다. 무거운 물체를 들 때는 허리를 굽혔다가 펴는데 소원을 빌면 긴장해서 허리를 움직이지 않고 팔로 들려고 하면 들리지 않는다. 그게 합기된 것이다.

The illusion of Dolhalmae in Youngcheon is the result of the psychological slope effect. When lifting heavy objects, bend and stretch your back. But when you make a wish, you don't move your back and try to lift it with arms. So it is not lifted It is combined by hapgi.

 

* Dolhalmae(stone grandma)

It is an ostrich egg-shaped stone weighing about 10kg. There you kneel down, pray, and lift a stone, then you can't lift it well. If it is not lifted, you can make a wish come true.

 

우리가 막연히 많은 것을 할 수 있다고 착각한다. 실제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판이 견고하게 짜여져 있기 때문이다. 톱니가 맞물려 돌아가기 때문이다. 뭐든 생각처럼 잘 안 된다. 일론 머스크의 하이퍼 루프는 왜 아직도 안 되고 있는가? 인공지능은 왜 가시적인 성과가 없는가? 그거 원래 잘 안 된다. 환경과의 얽힘 때문이다. 우리가 세상을 만만하게 보면 안 된다. 곳곳에 암초와 독초가 있다. 방해자가 무수히 많다. 하나하나 풀기가 어렵다. 제트기는 고공으로 날아가므로 환경과 얽히는 정도가 낮다. 환경과 얽히는 정도가 0에 이르면 거기가 닫힌계다. 거기서부터 풀어야 한다.

You vaguely misunderstand that you can do a lot of things yourself. You can’t actually do anything. This is because the platform is firmly organized and the gears are engaged tightly. Anything doesn't work out as you think. Why is Elon Musk's hyperloop still not working? Why doesn't AI have visible results? Because it's intertwined with the surroundings, it doesn't work well. You should not think the world easy. There are reefs and poisonous plants everywhere. There are reefs and poisonous weeds everywhere. There are countless obstructors. So it's hard to solve one by one. The jet flies high, so the degree of entanglement by the surroundings is low. When the degree of entanglement reaches zero, it is a closed system. You have to solve it from there.

 

동전을 잃었다면 동전은 근처 어딘가에 있다. 동전이 굴러갈 수 있는 최대거리가 공세종말점이다. 거기에 동그라미를 그린다. 동그라미의 외곽에서부터 안으로 좁혀 들어와야 외부환경의 교란을 막을 수 있다. 안에서부터 수색하면? 운이 좋으면 1초 만에 찾을 수 있지만, 운에 기대는 것은 과학이 아니다. 안에서부터 수색하면 땅을 헤집어 놓아서 동전이 파묻히므로 수색이 안 된다. 수색활동에 의한 엔트로피 증가로 환경과 더 많이 얽힌다. 음의 피드백이다. 수색이 수색을 방해한다.

The lost coin is somewhere nearby. The maximum distance a coin can roll is the culminating point of attack. Draw a circle from there. To prevent disturbance in the external surroundings, it must be narrowed in from the circle line. What if you search from the inside? If you're lucky, you can find it in a second, but relying on luck is not science. The search from inside is not searchable because the coin is buried as it is dug into the ground. It is more intertwined with surroundings by the increase in entropy caused by search. This is negative feedback. Search interferes with search.

 

방해자를 차단하려면 외곽에서부터 조여오는 마이너스 법을 써야 한다. 소거법이다. 양의 피드백을 만든다. 여기에 방향성이 있다. 수색영역의 마이너스냐 아니면 수색대상의 플러스냐다. 답은 마이너스다. 수색대상을 늘려가는 플러스법은 실패하고 수색범위를 좁혀가는 마이너스법이 성공한다. 수색대상은 무한대이기 때문이다. 수학으로 말하면 발산이다. 발산되면 망한다. 수색대상이 서로 침범하여 일은 복잡하게 꼬인다.

To block obstructors, a minus method that tightens from the outside must be used. It’s an elimination method. It makes positive feedback. There's a directionality here. It is whether the search area is minu or plus.


플러스법 운이 좋으면 1초만에 되지만 꼬이면 영원히 안 될 수도 있다.

마이너스법 초반 세팅에 시간이 걸리지만 갈수록 성공확률이 높아져서 반드시 된다.

Plus(+) method - If you're lucky, you can get it in a second, but if it's twisted, it may not be for ever.

Minus(-) method - It takes time to set up early, but the probability of success gradually increases and it must be done.

 

사람들이 플러스법을 쓰는 이유는 사소한 문제는 대개 3초 안에 해결되기 때문이다. 보통은 반복되므로 경험에서 찾으면 된다. 추론은 필요없다. 그러나 지식인이 나서야 하는 문제는 운으로 되지 않는 경우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끝까지 '겐또' 짚으려고 한다. 과학은 마이너스 법으로 해결해야 한다.

The reason why people use the plus method is that simple problems are usually solved in three seconds. It is well known as repeated, so it may be found from experiences. There is no need for inference. However, in the problem that intellectuals have to take and solve, luck no longer works. Nevertheless, people try to hit the target roughly. Science must be solved by the minus method.

 

과학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면 맨 먼저 닫힌계를 지정하고 수색방향을 정해야 한다. 무슨 일이든 차근차근 조리있게 해야 하는데 덤벙대는 이유는 사건의 출발점을 찍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복잡해서다. 복잡한 이유는 닫힌계를 정하지 않아서다. 닫힌계를 정하지 않으므로 기승전결로 진행하는 사건의 출발점인 기를 찍을 수 없다. 기에서 출발하여 승으로 가야 한다. 기가 엉킨 실의 머리 곧 일을 풀어가는 실마리다.

To solve it in a scientific method, at first, you must designate a closed system and determine search direction. Despite the fact that everything has to be solved calmly and logically, why do people rush and dumb? This is because it is complicated and cannot mark the starting point of an event. And it's complicated because you don't specify a closed system. So you cannot designate ‘introduction’ that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an event, which proceeds with introduction, the development of theme, conversion, and summing up. Introduction, named as the head of a tangled skein, is the first clue to solve things.

 

사건이 터지면 우리는 막연히 많은 것을 할 수 있다고 믿지만 당장 할 수 있는게 없다. 어어 하다가 망한다. 순식간에 배는 침몰한다. 골든타임은 3분이다. 구경만 하고 있다가 비난을 듣는다. 인간은 막연히 플러스 행동을 한다. 엉뚱한 짓을 하는 것이다. 뭐라도 해야 한다는 절박감 때문이다. 나무를 베는데 6시간을 준다면 4시간은 도끼날을 가는데 쓰겠다고 말한 사람은 링컨이다. 목수가 오전 내내 연장만 벼르더라고 말한 사람은 노무현이다. 당신이 그렇게 못하는 이유는 보스가 성과를 재촉하기 때문이다. 도끼날만 만지고 있으면 위에서 질책이 날아온다. 조급해져서 당장 성과를 낼 수 있는 플러스법을 쓰므로 한국인들이 노벨상 수상에 실패한다. 도끼날을 가는 것은 마이너스다. 큰 일을 하는 사람은 곧 죽어도 마이너스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일의 성과를 플러스할 것이 아니라 방해자를 마이너스해야 한다.

When an event occurs, you vaguely think you can do a lot. But there is nothing I can do right now. You're going to rush and then you'll be ruined. In an instant, the ship sinks. Golden time is 3 minutes. If you just watch, you will be criticized. Humans do vaguely a plus act. Because of the urgency to do something, you do something wrong. Lincoln said that “give me six hours to chop down a tree and I will spend the first four sharpening the axe.” The reason why you can't do that is because the boss urges results. If you touch an axe blade, you will be reprimanded from above. You are getting impatient and uses a plus method to get results right away, so Korean fail to win the Nobel Prize. Sharpening the axe is following minus method. Those who pursue a big job should set a negative direction even if they die soon. You should not add to the result of your work, but you should subtract the obstructors.

 

상황을 단순화 시켜야 한다. 닫힌계가 사건을 단순하게 만든다. 공세종말점에 닫힌계를 정해야 한다. 산의 정상에서 눈덩이를 굴려야 한다. 정상은 단순하다. 세상은 에너지에 지배되고 에너지는 방향성 제한이 걸려 있다. 세상을 에너지로 보는 눈을 얻으면 답은 명확해진다. 선거에 누가 이길지는 에너지의 방향이 결정한다. 에너지는 몰아주는 유체의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The situation needs to be simplified. A closed system makes events simple. A closed limit must be designated at culminating point of attack. You have to roll a snowball at the top of the mountain. The top is always simple. The world is dominated by energy, and energy is subject to directionality restrictions. When you come to understand the world as energy, the answer will be seen clearly. Also,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nergy, it is determined who will win the election. Energy has the property of fluids that flock in groups.

 

마이너스는 김어준이 잘하는 역발상이다. 사실이 달라지는건 아니다. 같은 사건을 다른 각도에서 보는 것이다. 그래야 대상을 통제하는 키를 찾을 수 있다. 진화는 미생물이 포유류로 커지는 플러스가 아니라 환경이 유전자로 수렴되는 마이너스다. 갑자기 몸통에 눈과 귀가 돋아서 진화한게 아니라 자연의 빛과 소리가 유전자로 수렴되어 동물이 되었다. 상황을 반대편에서 보는 훈련이 필요하다. 인간의 유전자는 다양한 환경을 집약한다. 인간은 숲과 사헬과 사막과 초원을 두루 장악한다. 다양한 요소가 인간 하나에 압축되는게 마이너스다. 그런데 같다. 자연의 마이너스가 인간의 플러스다. 관측자의 위치가 다를 뿐 사건은 동일하다. 아버지 월급이 자녀의 용돈이다. 돈은 같은 돈인데 아버지 관점에서 보면 마이너스다. 아들 관점에서 보면 플러스다. 아버지의 지출 관점에서 봐야 상황이 통제된다.

The minus method is a reverse idea that Kim Eo-joon, known as Korean journalist, is good at. It's not that the facts change, but it's looking at the same event from a different angle. Otherwise, you can’t find a key that controls the object. Evolution is not a plus for microorganisms to grow into mammals, but a minus for the environment to converge into genes. Suddenly, it's not evolved because eyes and ears suddenly sprout on the body, but it’s became animals because natural light and sound are converged into genes. What is needed is training to see a situation from the other side. Human genes condense a variety of environments. Humans dominate forests, sahels, deserts and grasslands. It is minus for various factors to be compressed into one human being. But it’s the same. The minus of nature is human plus. The observer's position is different, but the event is the same. The father's salary is his child's allowance. It's the same money, but it's minus from the father's perspective. From the son's perspective, it is a plus. The situation is controll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father's expenses.


세상은 마이너스로 통제되어야 한다. 일이 커지면 마이너스로 바뀌기 때문이다. 열린계에서 닫힌계로 바뀐다. 뭐든 궁극적인 단계까지 추궁하면 결국 에너지의 제한에 걸린다. 미국이 잘 사는 이유는 에너지가 많아서다. 아프리카 사람에게 이래라저래라 잔소리를 플러스 해봤자 실패다. 환경을 바꾸어야 한다. 휴대폰이 잠든 아프리카를 깨운다. 방해자인 부족주의에 따른 소통의 단절을 마이너스 시키기 때문이다. 작가들은 초반에 많은 인물을 등장시킨 뒤 하나씩 제거하는 방법을 쓴다. 보나마나 범인은 초반에 죽은 사람을 가장하고 용의선상에서 사라졌다가 갑자기 나타나서 관객의 뒤통수를 친다. 오징어 게임도 같은 수법이다. 인물이 하나씩 제거될 때마다 긴장이 고조된다. 극의 짜임새는 탄탄해진다. 반대로 이야기가 느슨해질 때마다 새 인물을 투입하는 플러스법도 있다. 김성모 화백이 잘 쓰는 기술이다. 그 경우 이야기가 산만해져서 완성도가 떨어진다. 많은 흥행 영화들은 공간과 시간의 제한을 걸어서 흥행한다. 고립된 공간, 교도소, 밀실, 섬이나 혹은 악당이 폭탄을 숨겨놓고 시간제한을 건다. 제한을 걸어야 대칭과 축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같은 데스게임 장르라 해도 넓은 야외가 아니로 좁은 실내로 공간을 닫아건 것이 오징어 게임의 흥행원인이다. 공간의 압박, 시간의 압박, 빚의 독촉 3박자로 선택지를 마이너스 시킨다.

The world must be controlled by minus. This is because when things get bigger, they turn minus, changing from an open system to a closed system. If you interrogate anything to the ultimate step, you will eventually reach the limit of energy. The United States has a lot of energy, so the country is rich. Whether you add nagging African people, "Do this or that," you will fail. The environment must be changed. For example, a cell phone can wake up Africa from sleep.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due to tribalism can overcome as minus. After showing many characters in the part of introduction, writers use an elimination method that removes them one by one. As expected, the criminal pretends to be dead at the beginning, disappears from the line of suspicion, and suddenly appears and stab the reader in the back. Squid games also has the same technique. Tensions rise whenever characters are removed one by one. The composition of the story becomes solid. On the contrary, there is also a plus method of putting in a new person whenever the story becomes loose. It is a technique that artist Kim Sung-mo uses well. In that case, the story gets distracted and the degree of completion decreases. Many box office films are hit by limiting space and time. In isolated spaces, prisons, secret rooms, or islands, villains hide bombs and limit the time. By the limit, symmetry and axis are dramatically revealed. Despite the same death game genre, Squid game recorded a historic hit by closing the space inside the closed room, not outdoors. through the pressure of space, time, and debt writers make the choices subtract as a minus method.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3 관점과 관념 5장 권력과 동원 dksnow 2022-05-30 343
132 강자의전략 6장: 전략과 전술 천분의일 2022-05-28 354
131 강자의전략 5장: 오자병법 손자병법 천분의일 2022-05-27 441
130 강자의 전략 4장: 유체에서 강체로 천분의일 2022-05-24 346
129 강자의 전략 3장: 지식인의 오류 대중의 오판 천분의일 2022-05-21 398
128 강자의 전략 2장: 열린주의 등판 천분의일 2022-05-19 294
127 관점과 관념 4장 이데아 구조론 dksnow 2022-05-17 376
126 강자의 전략 1장: 공의주의 공리주의 천분의일 2022-05-16 336
125 의사결정주체 9장: 자유의지론 천분의일 2022-05-14 288
124 의사결정주체 8장: 상호작용론 천분의일 2022-05-12 315
123 관점과 관념 3장: 심리적 지정학 dksnow 2022-05-10 318
122 의사결정주체 7장: 결정론의 오류 천분의일 2022-05-10 286
121 관점과 관념 2장 바른말을 하자 dksnow 2022-05-09 342
120 의사결정주체 6장: 주체성과 타자성 천분의일 2022-05-09 281
119 관점과 관념 1장 관념에서 과학으로 dksnow 2022-05-06 348
118 의사결정주체 5장: 공자의 주체성 천분의일 2022-05-04 408
117 의사결정주체 4장: 바가바드 기타 천분의일 2022-05-02 281
116 의리 결정 주체 3장 의리 게임 자유 천분의일 2022-04-28 390
115 의사 결정 주체 2장: 소인배의 이겨먹기 천분의일 2022-04-28 281
114 사건의 해석: 12장 공자의 해석 dksnow 2022-04-25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