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260 vote 0 2022.04.10 (22:01:49)

Chapter 6: Society, mobilization, and convening

 

모든 것의 어머니는 구조론이다. 구조론을 응용하면 수학이 되고 수학을 응용하면 물리학이 된다. 화학은 응용물리학, 생물학은 응용화학, 심리학은 응용생물학, 사회학은 응용심리학이라고 한다. 응용할수록 순도가 떨어진다. 중복과 혼잡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다. 심리학과 사회학은 많이 황당해졌다. 명색이 학자라는 양반들이 미아리 점장이 수준의 개소리를 천연덕스럽게 늘어놓고 있다. 방법론의 한계 때문이다. 사물이냐 사건이냐다. 번짓수를 잘못 짚었다. 사건으로 보는 관점을 얻지 않으면 안 된다.

Gujoron is the mother of everything. If you apply Gujoron, it becomes mathematics, and if you apply mathematics, it becomes physics. Chemistry is called applied physics, biology is called applied chemistry, psychology is called applied biology, sociology is called applied psychology. The more you apply, the lower the purity. It is polluted by duplication and congestion. Psychology and sociology are also polluted a lot. Many scholars are talking nonsense of the level of fortune-tellers. This is due to the limitations of methodology. The problem is whether it's an object or an event, but they came to the wrong direction. You have to get a perspective of it as an event.

 

우리가 원자론적 사고를 버려야 한다. 인간의 마음을 잘게 쪼개면 동기든 욕망이든 뭔가 행동의 원인이 되는 알갱이가 튀어나올 것이라고 믿는다면 착각이다. 악기는 누가 연주하느냐에 따라 다른 소리를 낸다. 인간의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이다. 환경이 리모컨으로 인간을 조종한다. 인간이 환경을 연주하고 환경이 인간을 연주하는게 상호작용이다. 인간에게는 에너지와, 호르몬과, 무의식과, 본능과, 기세가 있고 환경에는 자연환경, 사회환경, 내면환경이 있다. 다양한 악기가 하머니를 만들어낸다.

You have to abandon atomic thought. Let's split the human mind into smaller pieces, so do you think there are particles that cause behavior, whether it's motivation or desire? It’s an illusion. Instruments make different sounds depending on who plays them. Human behavior is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The environment controls humans with remote control. The interaction is that humans play the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 plays humans. There are energy, hormones, unconsciousness, instinct, and spirit in humans. And there are natur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internal environment in environment. Various instruments create harmony.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그런데 사회는 어디에 있지? 사회는 동원되는 것이다. 시골의 오일장과 같다. 상설시장이 아니고 장이 서야 한다. 날이 궂으면 장이 서지 않고 날이 더우면 일찍 파장한다. 개장과 파장을 반복하다가 상설로 굳어져서 고정된 사물처럼 보이기도 한다. 사회를 고정된 사물의 관점이 아니라 살아서 움직이는 사건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Humans are social animals. But where is the society? Society is to be mobilized. It's like a five-day interval market in the countryside, so it is not a daily market but a interval market. If the weather is bad, the market does not open, and if all the products are sold out, the market close early. After repe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it becomes daily market and looks like a fixed object. You need to understand society not from the perspective of fixed object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living events.

 

사회의 동원 형태로는 가족, 부족, 민족, 국가, 국제가 있다. 스포츠 활동이나 종교활동 및 각종 문화활동도 동원의 형태다. 유행이나 미디어도 포함된다. 각자 흩어져서 자기 집에 머물러 있다가 리더의 소집에 응하여 동원된다. 그런데 과연 동원되는가? 장이 서면 장돌뱅이들이 모여드는가? 그 부분이 애매하다. 사물은 24시간 존재하지만 사건은 새벽시장처럼 반짝 하고 사라진다.

There are families, tribes, ethnic groups, nations, and internationals as the form of social mobilization. Sports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and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re also a kind of mobilization. And it also includes trends and media. The members are scattered and stay at their homes and are mobilized in response to the leader's convening. By the way, will they be mobilized? Do itinerant vendors gather at the market? That is ambiguous. Objects always exist, but no one knows when events will open and close like early morning markets.

 

가족은 가족적 사건에 의해 동원되고, 부족은 부족적 사건에 의해 동원되고, 민족은 민족적 사건에 의해 동원되고, 국가는 국가적 사건에 의해 동원되는 것이다. 이 말은 국가가 없더라도 국가적 사건이 일어나면 국가가 있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말이다. 전쟁이 국가적 사건이다. 부족민이 전쟁에 동원되면 유엔에서 인정하느냐와 상관없이 국가는 있는 것이다.

Families are mobilized by family events, tribes are mobilized by tribal events, people are mobilized by national events, and nations are mobilized by national events. This means that if a national event occur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ation, regardless of its existence. War is a national event. If tribesmen are mobilized for war, a nation exists regardless of the approval of United Nations.

 

아무런 사건이 일어나지 않으면 사회는 없는 것과 같다. 호랑이가 달려들면 인간들이 뭉치게 된다. 세금 고지서가 날아오기 때문에, 집세를 내야 하기 때문에, 장을 봐서 식탁을 차려야 하기 때문에 가족이 소집된다. 그런데 인간은 도무지 말을 듣지 않는다. 인원을 소집하기 어렵다. 광장에 촛불을 들고 모이면 거기서 실제로 의미있는 의사결정이 가능한가? 그냥 우왕좌왕 하는 것은 아닌가? 합당한 소집절차가 있어야 한다. 권력이 있어야 소집할 수 있다. 의리가 권력을 만든다. 게임이 의리를 만든다. 게임은 피아를 구분하고 각자에게 미션과 포지션을 부여한다. 공유가 의리를 만든다.

If events don't happen, it's like there's no society. If a tiger comes at, humans cooperate. A family is convened in to pay taxes and rent, and to go grocery shopping and set the table. But humans don't listen well. It's hard to convene the people. When they hold candles in the square together, can you actually make meaningful decisions there? Aren't they just wandering around? There should be a proper procedure for convening. Power makes them convene, loyal creates power, and games create loyal. The game distinguishes enemies from allies and gives each mission and position. The game distinguishes Pia, giving each mission and position. Sharing by the game creates loyal.

 

게임을 공유하는 의리 -> 권력의 위임에 의한 집단적 의사결정 -> 사회의 동원

Loyal sharing the game -> Collective decision-making by delegation of power -> Mobilization of society


사회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곧 피아의 게임에 의해 동원되는 것이며 게임의 종류에는 전쟁도 있고, 산업도 있고, 정치도 있다. 어떻게든 사람들은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여 상대의 반응을 끌어내려고 한다. 그래야 사건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게임에 이겨야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그냥 사회라고 말로 선언한다고 해서 사회가 되는 것은 아니다. 가족의 결속도 쉽지 않다. 콩가루 되기가 다반사다. 부족민도 가족이 있지만 결속된 상태가 약하다. 우리가 아는 가족과 다르다. 아버지라는 것은 일단 존재가 없고 어머니도 큰 의미가 없으며, 이모들이 공동으로 육아를 하는게 보통이며, 소년은 열두살이 되면 집에서 쫓아낸다. 이래서는 무리가 결속될 수 없다. 어지간한 일에는 엄마가 불러도 오지 않는다. 전쟁이라도 터져야 움막 밖으로 고개를 내밀고 바깥 동정을 살핀다. 부족민은 전쟁이 무리를 동원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므로 전쟁을 하는 것이다. 거의 모든 부족이 이웃 부족과 적대적인 원한관계를 이루고 있는 이유다.

Society is mobilized by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namely by the games of enemies and allies. There's war, industry, politics as game. People try to influence others and draw reactions from others. Because an event is connected to another. And you have to win the game to exert influence. A declaring society, it is not a society. Family solidarity is not easy either. Tribal people also have families, but they are different from modern families because they are weak in solidarity. The father has no presence, the mother does not mean much, the aunts jointly bring up the children, and the boys are kicked out of the house by the age of twelve. It i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for groups to unite. So the children don't responds even when their mom convenes. If a war doesn’t break out, they never put his head out of the mud hut and judge the situation. Because war is the only way to mobilize tribesmen, they are setting up a war. So almost all tribes have hostile relations against neighboring tribes.

 

사회 - 집단적인 의사결정의 단위

동원 - 집단적 의사결정의 필요에 의해 무리가 결속된 상태

소집 - 의사결정이 필요한 사건의 존재를 집단의 구성원들에 알리는 절차

Society the unit of collective decision-making

Mobilization - A state of solidarity of the group by the need for collective decision-making

Convening - Procedures to inform the members of the group of the existence of events requiring decision-making

 

인간의 사회는 동물의 군집과 다르다. 문명은 야만과 다르다. 사회는 그냥 있는게 아니라 사건의 격발에 의해 동원되는 것이며 무리가 동원된 상태에서 권력이 작동하고 명령이 전달된다. 동물은 각자의 매력이 없어 자유가 없고, 자유가 없어 의리가 없고, 의리가 없어 권력이 없고, 권력이 없어 소집할 수 없고 소집하지 않으므로 동원되지 않는다. 군집은 있는데 사회는 없다. 치고 나가는 진보의 방향성이 없다. 사건의 다음 단계가 없다. 사건을 연결해 갈 남아도는 관성력이 없다.

Human society is different from the herd of animals. Civilization is different from barbarism. Society is mobilized by the occurrence of events, power operates in the presence of crowds, and commands are delivered. Animals have no freedom without attraction, no loyal without freedom, and no power without loyal. And they cannot be convened without power and mobilized without convening. There is a herd, but there is no society. So there is no directionality of progress to move forward, and no next step in the event. Eventually there is not enough and remaining inertia to link events.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3 구조론칼럼6장: 경쟁의 형태 천분의일 2022-07-10 494
152 구조론 칼럼 5장: 한나아렌트의 게임 천분의일 2022-07-05 404
151 구조론 칼럼 4장: 권력의 진화 천분의일 2022-07-05 246
150 구조론 칼럼 3장: 정신병의 원인 천분의일 2022-07-01 443
149 구조론 칼럼 2장: 이념은 없다 천분의일 2022-06-28 359
148 관점과 관념 9장 세상은 마이너스다 dksnow 2022-06-26 296
147 구조론 칼럼 1장: 주입식 교육의 폐해 1 천분의일 2022-06-25 458
146 진화의 전략 8장: 유전자의 입장 천분의일 2022-06-23 252
145 진화의 전략 7장: 상호작용설 천분의일 2022-06-21 312
144 진화의 전략 6장: 주체의 선택 천분의일 2022-06-19 286
143 관점과 관념 8장 우주의 제 1 지식 dksnow 2022-06-17 260
142 진화의 전략 5장: 진화와 진보 천분의일 2022-06-16 264
141 진화의 전략 4장: 자연의 조절장치 천분의일 2022-06-14 272
140 관점과 관념 7장 소크라테스의 논박 1 dksnow 2022-06-11 343
139 진화의 전략 3장: 성선택설의 오류 천분의일 2022-06-10 271
138 진화의전략 2장: 방향과 기세 천분의일 2022-06-07 287
137 관점과 관념 6장 변화의 추적 dksnow 2022-06-06 281
136 진화의 전략1장: 유체와 강체 천분의일 2022-06-05 280
135 강자의 전략8장: 전쟁기계 천분의일 2022-06-05 236
134 강자의 전략 7장 : 원칙과 변칙 천분의일 2022-05-31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