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1316 vote 0 2022.08.13 (08:51:22)

Chapter1: The power of dimension

 

차원 개념이야 말로 20대 초반부터 내 머리를 하얗게 만든 주범이다. 고등학생 때 교생 선생님한테서 제논의 궤변에 대해서 듣고 바로 감이 왔다. 차원은 자연에 있는게 아니고 사건이 만드는 것이다. 붙어 있는 것을 떼면 한 점에서 떨어진다. 그 점을 찾아내는 절차가 차원이다. 유리창은 한 점에서부터 금이 간다. 사슬은 약한 고리에서 끊어진다. 그 지점을 어떻게 찾아내지?

Dimension concept is the main culprit that made my mind go blank since my early twenties. As soon as I heard about Zeno's paradoxes from my high school teacher, I had a hunch. The dimension is not in nature, it is what events make. If you take off something attached, it is fallen off at a dot. The process of finding the dot is a dimension. The window cracks from a dot. The chain breaks at a weak link. But how do I find that dot?


뭔가 감이 왔는데, 번쩍 하는 전율이 느껴졌는데, 덜커덩 하고 반응이 왔는데, 촉이 왔는데 레토릭이 안 된다. 사실이지 언어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수학자들은 전문용어를 쓸텐데 내게는 그 용어가 없다. '위상동형'이라는 말이 써먹을만하다. 위상은 관측자의 개입 횟수다. 나머지는 컴퓨터가 알아서 한다고 치고 인간이 몇 번을 개입해야 하느냐? 계산은 컴퓨터가 해도 입력과 출력은 인간이 개입해야 한다. 중간에 엔터를 몇 번은 쳐줘야 한다. 하나의 코어에 동시에 맞물리는 매개변수가 몇 개냐다.

I felt a hunch, I felt a flash of thrill, and there was a response, but I can't express it in words. In fact, it is true that it is difficult to express in language. Mathematicians would describe it in jargon but I don't have the right term. The term 'homeomorphism' is useful. The phase is the number of observers' intervention. How many times do humans have to intervene, assuming the rest is done by computers? Even though the calculation is done by a computer, the input and output must be intervened by humans. You have to hit the enterkey a few times in the middle. How many parameters interlock in one core at the same time?

 

선을 점의 집합이라고 하면 게으른 것이다. 태도가 틀려먹었다. 형제는 자식의 집합이 아니라 부모의 복제다. 형제를 자식의 집합이라고 하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귀납적 접근이다. 수학은 연역이라야 한다. 하나의 축에 꿰어서 서로 연동시켜서 일관되게 말해야 한다. 자식은 부모가 낳은 사람이고 부모는 자식을 낳은 사람이다. 이런 식으로 맞보증을 서면 곤란하다. 보통은 이렇게 돌려막기로 말을 하지만 수학은 그렇게 하는게 아니다. 부모가 1대라면 자식은 2, 손자는 3대다. 기점을 정해놓고 한 방향으로 번호를 매겨가는게 수학이다.

If you say that a line is a set of dots, it is an irresponsible expression. It is wrong from the first attitude. Brothers are not a collection of children, but a reproduction of parents. Of course it is not perfectly wrong to say that brothers are a collection of children, but this is an inductive approach. Math has to be deductive. You have to express consistently by penetrating one axis and interlocking it with each other. Two-way equation is not right like "A child is a person born by a parent and a parent is a person who has a child." In normal situations, two-way expressions are possible, but math is not. If parents are in their first generation, their children are the second generation, and their grandchildren are the third generation. It is math to set a starting point and number it in one direction.


연역은 전체에서 부분으로 간다. 점이 모여 선이 되는게 아니고 선이 끊어지는 의사결정점이 점이다. 각이 깨지는 의사결정선이 선이다. 체가 깨지는 의사결정각이 각이다. 계가 깨지는 의사결정체가 체다. 최초에 계가 있었고 그게 깨지는 의사결정점을 찾아가는 순서다. 최초 사건을 격발하는 지점을 찾아야 한다. 뇌관이 공이를 때리는 지점,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발화점, 궁수가 화살을 놓는 지점을 찾아가는 경로가 계, , , , 점이다.

Deduction goes from the whole to the part. If the dots are gathered, does it form a line? No. A dot is the dot of decision making that breaks a line. A line is the line of decision making that breaks an angle. An angle is the angle of decision making that breaks a solid. A solid is the solid of decision making that breaks a system. There was a system at first, and it has the order of finding the dot of decision-making that breaks it. You need to find the dot that triggers off the initial event. The process of tracking the dot where the detonator hits a firing pin, the ignition dot where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and the dot where the archer puts an arrow, that is system, solid, angle, line, and dot.

 

사건은 계 내부의 한 점에서 격발되는데 그 지점이 어떻게 도출되었나를 추적하는 것이 차원개념이다. 코어가 이동해서 점이 생긴다. 코어의 이동선이 선이다. 코어의 이동선이 어떻게 결정되었나? 대저울의 눈금이 이동한 선이 선이다. 대저울의 눈금은 왜 이동하였나? 천칭의 각이 기울었기 때문이다. 천칭의 각은 축의 수직과 대칭의 수평이 꼭지점에서 만나 90도를 이룬다. 천칭은 체 둘의 결합으로 계를 이룬다. 둘 중에서 무거운 쪽을 선택하면 체다.

An event is triggered from a dot within the system. And the notion of dimension is to track how the dot is derived. The core moves to form a dot. The moving line of the core is the line. How was the movement of the core decided? The line on which the scale of a beam balance have moved is a line. Why did the scale of the beam balance move? Because the angle of balance scale is tilted. The angle of balance scale meets the vertical axis and horizontal symmetry at the vertex and forms 90 degrees. Balance scale forms system by the combination of two solids. The heavier side of the two is the solid.

 

입체는 천칭과 같이 맞물려 있는 둘 중에서 하나를 뗀 것이다. 책상 위의 컵은 지구의 일부다. 지구와 붙어서 맞물려 있다. 체는 그것을 뗀다. 사과를 따듯이 꼭지를 뗀다. 아기는 탄생하며 배꼽을 뗀다.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한다고 했다. 중력으로 지구와 결합한 물체를 뗀 것이 입체다. 사과를 따면 남는 꼭지가 사면체의 꼭지점이다. 가장 작은 체가 사면체다. 중복을 피하려면 사면체를 기준으로 사유해야 한다. 사면체는 한 지점에 세 방향을 더하여 넷이 동시에 맞물린다.

If you take one of the interlocked two of balance scale off, it becomes three-dimensional. The cup on the desk is part of the earth. It is closely interlocked with the earth. But when detached, it becomes a solid. The stem is taken off like picking an apple. The baby takes its belly button off when he is born. Quality combines and Particle stand individually. It is three-dimensional that an object combined with the Earth is taken off by gravity. When you pick an apple, the remaining stem is the vertex of the tetrahedron. The smallest solid is the tetrahedron.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the reasoning must be based on the tetrahedron. The tetrahedron adds three directions to one point, and the total four interlock at the same time.

 

의사결정의 관점에서 봐야 한다. 우리 눈이 2D니까 2차원 평면을 보게 된다. 3차원은 뇌가 해석한 것이고 우리는 3차원을 볼 수 없다. 차원의 해석에 인간의 감각기관이 끼어들면 안 되고 자연의 있는 그대로를 논해야 한다. 자연은 에너지의 방향성이 있을 뿐 형태가 없다. 우리가 형태라고 믿는 것은 같은 사건이 나란히 반복되는 것이다.

We have to look at it from a decision-making point of view. Because our eyes are 2D, we see a two-dimensional plane. The three dimensions are just what the brain interprets, and we can't see it. Human sensory organs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interpretation of dimensions and should discuss the nature as it is. Nature has only the directionality of energy but has no shape. What we believe to be a form is the same events repeating side by side.

 

처음 에너지가 유체의 형태로 덩어리를 이루고 외력의 작용에 대하여 1점으로 맞선다. 이때 한 점이 전체를 대표한다. 그것이 4차원 계다. 계가 깨지면 코어가 밖으로 돌출하는데 그것이 3차원 체다. 코어의 이동각이 각이다. 코어의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것이 선이다. 코어는 점이다. 실제로 자연에 있는 것은 계다. 변화는 코어의 이동에 의해 일어난다. , , 선은 코어를 찾는 절차다.

At first energy forms a lump in the form of fluid, and confronts as a dot against the action of external force. At this time, a dot represents the whole. That's a four-dimensional system. When the system is broken, the core protrudes outward, which is a three-dimensional solid. An angle is the moving angle of the core. A line is to indicate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re. Core is a dot. What is actually in nature is a system. Changes happen by the movement of the core. Solid, Angle, and Line are the procedures for finding the co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93 깨달음은 둘째 내게서 네게로 나아가는 '삶'을 깨닫는 것이다. 윤이상 2014-09-18 20449
192 마르크스 구조론 2 창준이 2014-08-26 19144
191 깨달음은 첫째 출발점이 되는 '나'를 깨닫는 것이다 3 윤이상 2014-05-18 18550
190 연주하라 3 윤이상 2013-01-24 17356
189 어디까지 왔나? 3 큰바위 2014-01-12 17000
188 우리는 가르치지 않는다 11 윤이상 2013-05-13 15923
187 쉬운 엔트로피 11장: 첫번째 물음 천분의일 2022-10-11 11459
186 쉬운 엔트로피 8장: 닫힌계 열린계 천분의일 2022-10-04 11334
185 쉬운 엔트로피9장: 상성 상생 상극 천분의일 2022-10-06 11200
184 쉬운 엔트로피 10장: 의사결정구조 천분의일 2022-10-08 11113
183 쉬운 엔트로피 7장: 언어의 혼선 천분의일 2022-10-02 10006
182 쉬운 엔트로피 5장: 쓸 수 있는 에너지 천분의일 2022-09-27 6067
181 쉬운 엔트로피 6장: 에너지의 개념 천분의일 2022-09-30 5948
180 [질문] "돈오"가 영어로 뭔가요? 8 윤이상 2013-01-27 5706
179 "상부구조는 역사, 진리, 문명, 진보, 공동체이며 그 정점은 신(神)이다." Высшие структуры - это история, истина, цивилизация, прогресс, общество, и выше всех Бог 3 wisemo 2013-03-14 5431
178 깨달음을 그리다 중에서 - 바라님 번역 2 ahmoo 2012-11-08 5044
177 하는 일이 잘 안 될 때는 Когда что-то не получается “달이뜨다” 164페이지 “Восход луны“ 164стр. 2 wisemo 2013-02-07 5024
176 구조론 번역 작업을 시작합시다 7 ahmoo 2012-11-06 4951
175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Ради чего живет человек? 3 wisemo 2012-12-06 4942
174 왜 깨달음인가? К чему познание? 2 wisemo 2013-01-18 4880